• Title/Summary/Keyword: 대체해법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Variational Mode Decomposition with Missing Data (결측치가 있는 자료에서의 변동모드분해법)

  • Choi, Guebin;Oh, Hee-Seok;Lee, Youngjo;Kim, Donghoh;Yu, Kyungsang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8 no.2
    • /
    • pp.159-174
    • /
    • 2015
  • Dragomiretskiy and Zosso (2014) developed a new decomposition method, termed variational mode decomposition (VMD), which is efficient for handling the tone detection and separation of signals. However, VMD may be inefficient in the presence of missing data since it is based on a fast Fourier transform (FFT) algorithm. To overcome this problem, we propose a new approach based on a novel combination of VMD and hierarchical (or h)-likelihood method. The h-likelihood provides an effective imputation methodology for missing data when VMD decomposes the signal into several meaningful modes. A simulation study and real data analysis demonstrates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produce substantially effective results.

A Numerical Analysis of the Shallow Water Equations Using the HLLL Approximate Riemann Solver (HLLL 근사 Riemann 해법을 이용한 천수방정식의 수치해석)

  • Hwang, Seung-Yong;Lee, Sam-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48-148
    • /
    • 2011
  • Riemann 문제는 천수방정식과 같은 쌍곡선형 방정식과 단일한 도약에 의해 불연속인 어떤 점의 좌 우에서 상수인 자료로 구성되는 초기치 문제로서 그 해법은 Godunov 방법과 같이 정확해에 의하면 정확 Riemann 해법, 근사 기법에 의하면 근사 Riemann 해법으로 불린다. 지금까지 이용되는 근사 Riemann 해법으로는 1981년에 P. L. Roe가 제안한 Roe의 선형화 기법과 1983년에 A. Harten, P. D. Lax, 그리고 B. van Leer가 제안한 HLL 기법의 수정 기법들이다. 최대 및 최소 파속만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진 HLL 기법은 1988년에 B. Einfeldt의 제안에 의해 두 파속의 결정에서 Roe의 선형화 기법에 따른 고유치와 비교하는 것으로 수정되었다(HLLE 기법). 또한, 1994년에 E. F. Toro 등은 접촉파를 고려하기 위해 선형화된 지배방정식의 정확해로부터 중앙 파속을 고려하는 기법을 제안하였고, 이를 HLLC 기법으로 불렀다. 2002년에 T. Linde는 중앙 파속을 평가하기 위해 일반화된(수학적) 엔트로피 함수를 도입하였으며, van Leer는 이를 HLLL 기법으로 불렀다. 이 기법에서는 접촉파의 평가를 위해 보존변수에 대한 일반화된 엔트로피 함수로부터 중앙 파속이 유도되며, 이것과 특성 속도의 비교를 통해 최대 및 최소 파속이 결정된다. 따라서 이 기법에서는 모든 파속이 초기치로부터 결정되므로 HLLE 기법과 달리 Roe의 선형화 기법과 완전히 결별되고 HLLC 기법과 달리 정확해에 의존되지 않는 점에서 HLLL 기법은 모태인 HLL 기법의 온전한 계승으로 볼 수 있다. HLLL 기법은 여러 분야에 적용된 바 있으나, 수공학 분야에 적용된 사례는 알려진 바 없다. 이는 천수방정식에 대한 (물리적) 엔트로피 함수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보존변수로부터 정의되는 총 에너지를 일반화된 엔트로피 함수로 간주하여 모형을 구성하고, 정확해가 알려진 1차원 문제에 대해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정확해가 알려진 경우에 대해 모의한 결과, 1차 정도 수치해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HLLL 기법의 결과는 대체로 정확해와 잘 일치하였으며 그 외의 HLL-형 기법의 그것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물이 빠져 바닥이 드러나는 상태에 대한 접촉 파속의 추정에서 Riemann 불변량을 이용하는 HLLC 기법에 비해 물이 빠지는 전선을 더 정확하게 포착하는 HLLL 기법의 결과는 매우 고무적이었다.

  • PDF

unifying solution method for logical topology design on wavelength routed optical networks (WDM의 논리망 구성과 파장할당 그리고 트래픽 라우팅을 위한 개선된 통합 해법)

  • 홍성필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5 no.9A
    • /
    • pp.1452-1460
    • /
    • 2000
  • A series of papers in recent literature on logical topology design for wavelength routed optical networks have proposed mathematical models and solution methods unifying logical topology design wavelength assignment and traffic routing. The most recent one is by Krishnaswamy and Sivarajan which is more unifying and complete than the previous models. Especially the mathematical formulation is an integer linear program and hence regarded in readiness for an efficient solution method compared to the previous nonlinear programming models. The solution method in [7] is however elementary one relying on the rounding of linear program relaxation. When the rounding happens to be successful it tends to produce near-optimal solutions. In general there is no such guarantee so that the obtained solution may not satisfy the essential constraints such as logical -path hop-count and even wavelength number constraints. Also the computational efforts for linear program relaxation seems to be too excessiv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proved and unifying solution method based on the same to be too excessiv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proved and unifying solution method based on the same model. First its computation is considerably smaller. Second it guarantees the solution satisfies all the constraints. Finally applied the same instances the quality of solution is fairly competitive to the previous near optimal solution.

  • PDF

Real Gas Speeds of Sound and Approximate Riemann Solver (실제 기체 음속과 근사 리만 해법)

  • Moon, Seong-Young;Han, Sang-Hoon;Choi, Jeong-Ye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8 no.1
    • /
    • pp.1-11
    • /
    • 2010
  • The definition of the speed of sound is reexamined since it is crucial in the numerical analysis of compressible real gas flows. The thermodynamic speed of sound (TSS), $a_{th}$, and the characteristic speed of sound (CSS), $a_{ch}$, are derived using generalized equation of state (EOS). It is found that the real gas EOS, for which pressure is not linearly dependent on density and temperature, results in slightly different TSS and CSS. in this formalism, Roe's approximate Riemann solver was derived again with corrections for real gases. The results show a little difference when the speeds of sound are applied to the Roe's scheme and Advection Upstream Splitting Method (AUSM) scheme, but a numerical instability is observed for a special case using AUSM scheme. It is considered reasonable to use of CSS for the mathematical consistency of the numerical schemes. The approach is applicable to multi-dimensional problems consistently.

Humanity and Automotive (인간과 자동차)

  • Choi, Seibu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10a
    • /
    • pp.870-870
    • /
    • 2013
  • 운송수단은 시대별로 요구되는 성능과 기술 수준 그리고 사용 가능한 에너지의 형태에 따라서 변화되어 왔습니다. 1900년대 초 전기자동차의 고질적인 제한적 운행 거리 문제는 내연기관의 발명으로 인해서 쉽게 해결되었다. 이 후 내연기관의 급속한 보급과 도심 과밀화로 인해서 공해 문제가 대두되었는데, 공해 문제 역시 배기 가스 환원 촉매의 발달과 자동차 전자 제어 기술의 발달로 대부분 해결된 상태이다. 최근에는 사용 가능한 화석에너지의 절대량 측면에서 하나의 커다란 시대적 전환점에 서게 되었다. 즉 아직도 사용 가능한 석유의 절대적인 양적 측면에서는 적당한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가격 면에서는 급격한 상승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석유의 채굴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음에 기인한다. 에너지의 현황을 객관적으로 살펴 보기 위해서 자동차에 있어서 절대적인 오일을 중심으로 그리고 통계자료 위주로 문제를 분석해 본다. 그리고 수소 연료 전지와 전기자동차 등 여러 가지 대체 에너지 운송기술이 많이 거론되고 있으나 널리 대중화 되고 있지 못하는 근본적인 문제점들이 어디에 있는지 분석해 본다. 이어서 소위 대체 에너지들이 자동차에 있어서 석유의 대체 수단으로 적합하지 않다면 과연 에너지를 가장 많이 쓰는 영역중의 하나인 운송 분야의 현재와 미래의 나아갈 방향은 무엇인지 그 해법을 생각해 본다. 석유를 대체할 에너지의 공급 방안이 충분하지 않다면 마지막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에너지의 소비 측면이다. 다행히도 그간 소비 측면의 개선 방안이 많이 소홀하게 취급되어져 왔다. 즉 에너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력이 충분하고도 많이 있다는 희망적인 소식이다. 이에 따라 에너지 효율 향상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제어 기술을 소개한다. 에너지와 운송수단의 문제를 거시적이고 동시에 현실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을 갖게 되기를 기대한다.

  • PDF

사업 다각화해야 살아남는다 - 예주테크코리아의 의미심장한 불경기 타개 전략

  • 한국자동판매기공업협회
    • Vending industry
    • /
    • v.8 no.3
    • /
    • pp.42-45
    • /
    • 2008
  • 자판기 관련사업의 경기가 말이 아니다. 대외적인 경기침체의 악재와 더불어 "정말 힘드네..."하는 신음소리가 곳곳에서 들린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자판기 사업 메리트가 과거보다 점점 떨어진다는 점이다. 돈 될만한 아이템도 드물고, 기존 아이템의 사업성도 점점 떨어지는 현실. 정말 답답하기 그지없는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까?'에 골몰하지 않을 수 없다. 기존 아이템의 시장이 막히면 어떻게든지 다른 사업모델을 찾는 일이 불황 타파의 좋은 해법이 될 수 있다. 예주테크코리아의 손민호 사장은 이 부분에 주목하고 있는 사람이다. 그는 기존 자사의 주력 사업영역인 껌볼 캔디 자판기 사업이 부진해지는 양상을 보이자 발빠르게 다른 사업 모델을 찾아 나섰다. 도대체 최근 사업에 무슨 일이 있기에 "사업 다각화를 해야 살아남는다"고 주창하고 있는 것일까?

  • PDF

유제품 멀티자판기, 성공시대가 보인다 - 서울우유, 200여대 유제품 멀티자판기 전개하며 시장 활성화 주도

  • 한국자동판매기공업협회
    • Vending industry
    • /
    • v.8 no.3
    • /
    • pp.24-26
    • /
    • 2008
  • 이제 멀티자판기는 시장 활성화의 해법을 서울우유협동조합(이하 : 서울우유)에게 물어야 할 것 같다. 과장된 얘기만은 아닌 것이 서울우유는 공격적인 유제품 멀티자판기 전개로 판로 확보에 애로점을 겪고 있는 멀티자판기 시장에 있어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운영실적도 좋고 고객선호도도 높다. 게다가 탄산음료 대체를 통해 건강증진이라는 명분 역시 뛰어나 설치되는 곳마다 환영을 받고 있다. 벌써 200여대의 유제품 멀티자판기가 활발히 설치 운영되며, 성공시대를 예상케 하고 있다. 뛰어난 내용상품을 가진 '서울우유'와 다양한 제품을 취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멀티자판기'의 이상적인 만남. 유제품 멀티자판기의 성공시대를 열어가는 서울우유의 사업 행보를 따라가 봤다.

  • PDF

CZTS태양전지 흡수층 제작을 위한 열분해법 나노 파티클 합성

  • Lee, Su-Ho;Kim, Dong-Uk;Lee, Jae-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444.1-444.1
    • /
    • 2014
  • 높은 광흡수 계수를 갖는 Cu(In,Ga)Se2(CIGS) 화합물 박막 소재는 고효율 태양전지 양산을 위해 가장 전도유망한 재료이나 상대적으로 매장량이 적은 In 및 Ga을 사용한다는 소재적 한계가 있다. Cu2ZnSnSe4(CZTSe) 혹은 Cu2ZnSnS4(CZTS)와 같은 Cu-Zn-Sn-Se계 화합물 반도체는 CIGS 내 희소원소인 In과 Ga이 범용원소인 Zn 및 Sn으로 대체된 소재로써 미래형 저가 태양전지 개발을 위해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데, 그 화합물 조합에 따라 0.8eV부터 1.5eV까지의 에너지 밴드갭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열분해법으로 CZTS 나노 입자를 합성하였다. 용매로 Oleylamine을 사용하였는데, $220^{\circ}C{\sim}340^{\circ}C$의 온도 범위에서 3시간 30분 동안 CZTS 나노입자를 합성하였고, $240^{\circ}C$에서 3시간~5시간까지 합성하였다. 헥산을 이용하여 원심분리기와 초음파세척기로 용매인 Oleylamine을 제거하였고, 진공오븐에서 건조된 CZTS 분말의 FE-SEM(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XRD(X-Ray Diffraction), EDS(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분석 등을 통해 합성온도에 따른 구조적, 화학적 조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 PDF

CZTS 태양전지 제작을 위한 열분해법 나노 파티클 합성

  • Lee, Su-Ho;Seo, Mun-Su;Hong, Byeong-Yu;Park, Yong-Seop;Lee, Jae-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8a
    • /
    • pp.321.1-321.1
    • /
    • 2013
  • 높은 광흡수 계수를 갖는 Cu(In,Ga)Se2(CIGS) 화합물 박막 소재는 고효율 태양전지 양산을 위해 가장 전도유망한 재료이나 상대적으로 매장량이 적은 In 및 Ga을 사용한다는 소재적 한계가 있다. Cu2ZnSnSe4(CZTSe) 혹은 Cu2ZnSnS4(CZTS)와 같은 Cu-Zn-Sn-Se계 화합물 반도체는 CIGS 내 희소원소인 In과 Ga이 범용원소인 Zn 및 Sn으로 대체된 소재로써 미래형 저가 태양전지 개발을 위해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데, 그 화합물 조합에 따라 0.8eV부터 1.5eV까지의 에너지 밴드갭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열분해법으로 CZTS 나노 입자를 합성하였다. 용매로 Oleylamine을 사용하였는데, $260{\sim}340^{\circ}C$의 온도 범위에서 5시간 30분 동안 CZTS 나노입자를 합성하였고, $300^{\circ}C$에서 5시간 30분~9시간까지 합성하였다. 헥산을 이용하여 원심분리기와 초음파세척기로 용매인 Oleylamine을 제거하였고, 진공오븐에서 건조된 CZTS 분말의 FE-SEM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XRD (X-Ray Diffraction), EDS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분석 등을 통해 합성온도에 따른 구조적, 화학적 조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 PDF

Typological System of Nature-based Solutions and Its Similar Concepts on Water Management (물관리를 위한 자연기반해법과 유사개념들의 유형분류 및 체계)

  • Woo, Hyoseop;Han, Seung-wa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7 no.1
    • /
    • pp.15-25
    • /
    • 2020
  • We've compared and conceptually evaluated the newly emerging concept of nature-based solutions (NbS's), in the aspect of water management, and existing similar solutions of different naming, all of which are based on ecosystem functions. In this study, it is found that NbS's seem significant and meaningful both educationally and understandably in the aspect that it can comprehensively cover and include the existing methodologies and solutions using the functions of natural ecosystem to socio-environmental challenges. It, however, seems not quite different from the broad-meaning of green infra, including Eco-DRR, in terms of the approaching methodologies in water management. The conceptual and spatial hierarchy of each practice in water management considered in this study can be expressed in the narrowing order of NbS-(EE)-BGI-(CRT)-GI-LID. Last, the term LID, which is the best management practice for storm water management in the development project, can be replaced with the term GI for clarification and less confusion both in academia and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