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처방법

검색결과 1,707건 처리시간 0.027초

해양사고 수량화 데이터 구축 방법 고찰

  • 조수산;박득진;임정빈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94-195
    • /
    • 2016
  • IMO에서 규정하는 모든 교육 및 훈련을 이수한 전문 해기인력이 매년 배출되고 있지만, 해양사고의 발생은 끊이지 않고 있다. 이는 해양사고를 대처하는 해기사의 위험상황 대처 능력이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는 점을 의미한다. 공통적으로 해기사에게 제공되는 교육 및 훈련뿐만 아니라 해기사 개개인의 위험요소를 파악하여 해당 위험 요소에 대한 매뉴얼을 제공할 수 있는 모델이 개발되면 해양사고를 대처할 수 있다. 이러한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모델 구축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Data Base, D/B)가 필요하다. 이러한 D/B는 모델에 활용할 수 있도록 숫자로 표기된 것이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안전심판원에서 제공하는 해양사고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해양사고 예방을 위한 모델에 활용할 수 있는 해양사고 수량화 D/B를 구축하는 방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1차적으로 해양사고 수량화 D/B를 구축하였으나, 이의 유용성이나 목적에 적합한 D/B의 규모 등에 관한 연구는 추후에 계속 되어야 한다.

  • PDF

자율운항선박 육상원격제어사의 행동기반 비상대응능력 평가 방법

  • 황태민;황태웅;황효선;윤익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55-256
    • /
    • 2022
  • 자율운항선박 육상원격제어사의 육상원격제어능력은 자율운항선박의 안전 운항 달성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특히 화재, 침수와 같은 비상상황은 긴밀한 대처를 필요로 하며, 선박에 자율화된 대응 시스템이 있다 하더라도 육상원격제어사의 비상상황 대응능력은 중요도가 높은 원격제어능력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육상원격제어사의 능력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선박조종능력에 편향된 경향을 보이며 선박조종 이외의 비상상황대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자율운항선박의 비상상황에 대한 육상원격제어사의 대처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행동기반 비상대응능력 평가 모델을 개념화하여 제시하였다.

  • PDF

암환자와 가족원의 스트레스와 대처방법 차이 (The Comparison of the Stress and Coping Methods of Cancer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 김희승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38-543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ess and the coping methodes in the cancer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Method: The stress method was measured by V AS(Visual Analogue Scale). The coping methodes was measured using the modified Ways of Coping Questionnaire. The phases of patient illness consisted of Ist(initial) stage, and 2nd(recurred) stage and 3rd(terminal) stage based on Lewandowski & Jones(1988)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survey of convenience sampling of 257 cancer patients and 196 of their caregivers from two hospitals in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unpaired t-test. Result: The stress level of cancer patients was lower than their caregivers. The cancer patients used emotion-focused coping mode than problem-focused coping mode. The caregivers problem-focused coping mode over emotion-focused coping mode. In the problem-focused coping mode, the caregivers significantly used two coping strategies that were ‘positve cope’, ‘information seeking’ more than patients. In emotion-focused coping mode, the caregivers significantly used one coping strategies that was ‘wish’ more than patients. The patients tended to used two coping strategies that were ‘blame’ and ‘emotion expression’ more than the caregivers. Conclusion: Further study needs to be done to positively identify these coping methods and develop interventions to assist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사상체질별 스트레스인지와 대처방법 (Perception and Ways of Coping with Stress of Sasangin)

  • 유정희;이향련;이의주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73-182
    • /
    • 2003
  • Purpose: This study was founded to identify perception and ways of coping with stress according to classification of Sasangin(4 constitutions). Method: The subjects were 258 regular students who majored in oriental medicine in Jechon and Seoul. Data was collected by 3 types of questionnaires for 3 months; Perceived stess, ways of coping, Questionnaires of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QSCCII).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SPSS version 10. Result: 1) Difference of perceived stress in Sasangin: Perceived stress by the Sasangin indicated that Soeumin perceived more stress than Soyangin and Taeumin(P=.013). 2) Different method in coping with stress of Sasangin: It was found that Soeumin didn't make use of emotional coping way according to the analysis(P=.040). 3) Relationship between ways of coping for stress and perceived stress in Sasangin: It was shown that as Soeumin perceived stress so higher than Soyangin and Taeumin, they tended to use the solving problem-method therefore it was shown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P=.044). Conclusion: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of Sasangin in perceived stress and ways to cope with it. The dos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and coping method of stress was found.

  • PDF

암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와 대처방법 비교 연구 (A Comparison on Stress and Coping of Bereavement Care between Nurses in the Cancer Unit and Nurses in the General Unit)

  • 이향련;이연옥;최은영;박영미
    • 종양간호연구
    • /
    • 제7권1호
    • /
    • pp.26-35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the strategy that clinical nurses can efficiently cope with the stress from bereavement care, by examining and analyzing stress factors and coping methods of nurses' bereavement care. Methods: A total of 628 nurses were recruited from four university hospitals, two cancer specialized hospitals, and three public hospitals. Stress was measured using the bereavement care stress measurement tool, and coping was done using the cope with stress scale. Results: The stress level about bereavement care of the nurses working in the cancer uni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nurses working in the general unit.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of coping level between nurses working in cancer unit and general unit. Conclusions: It is important to ensure the methods that contrive to perform bereavement care efficiently by generating hospice nurses and by activating the system for nurses specialist who perform bereavement care.

  • PDF

주관적 스트레스 대처에 따른 스트레스, 공감, 의사소통능력 차이 (A comparison of stress, empathy and communication in stress coping and non-coping group)

  • 이유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147-152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주관적 스트레스 대처에 따른 스트레스, 공감, 의사소통능력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1, 2, 3, 4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기술통계, t-test,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관적 스트레스 대처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군 259명(67.1%), 스트레스 미대처군 78명(32.9%)이었으며, 스트레스 대처군은 스트레스 미대처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스트레스가 낮고(2.42 vs. 2.97; p=.000) 의사소통능력이 높은 것(3.33 vs. 3.21; p=.008)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간호대학생들의 주관적 스트레스 관리 방법을 찾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