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인적 돌봄 프로그램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정신건강 취약 청소년을 위한 대인적 돌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Development and Effects of Interpersonal Caring Program for Vulnerable Adolescents in Mental Health Clinics)

  • 최은정;이영은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6권3호
    • /
    • pp.184-194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n interpersonal caring program "Muldan Dongsan" for vulnerable adolescents in mental health clinics an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is program. Methods: The interpersonal caring program was composed of group interpersonal caring (one time per week for two weeks, for a total of 8 hr) and individual interpersonal caring (1-2 times per day for 2 weeks). For this research, a non-synchronized quasi-experimental model including nonequivalent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used. The experimental group was made up of 17 students and the control group, of 22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1 to July 25, 2009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17.0 program. Results: The interpersonal caring program "Muldan Dongsan' was effective for mental health, including self-esteem, hope, and quality of life for vulnerable adolescents. Conclusion: The positive finding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personal caring program "Muldan Dongsan" and the participants' high satisfaction with this program indicate that it can be utilized actively as a specific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s at school and in the community.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의 인권감수성, 대인돌봄행위와 생명의료 윤리의식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ights Sensitivity, Interpersonal Caring Behavior, and Biomedical Ethics in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 김선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410-418
    • /
    • 2020
  • 본 연구는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의 인권감수성, 대인돌봄행위와 생명의료 윤리의식 정도를 파악하고, 세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경기도와 충청도 소재 3개 대학에 재학 중이며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학과 3~4학년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10일부터 10월 12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인권감수성, 대인돌봄행위, 생명의료 윤리의식은 평균 112.23점, 3.95점, 2.03점으로 나타났다. 인권감수성은 전공 만족도(t=3.320. p=.001), 임상 실습 만족도(t=2.557, p=.012), 실습 동료와의 관계(t=4.234, p=.000)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인돌봄행위는 전공 만족도(t=3.423. p=.001), 임상실습 만족도(t=4.364, p=.000), 실습 동료와의 관계(t=3.708,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생명의료 윤리의식은 전공 만족도(t=-2.404, p=.01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인권감수성은 생명의료 윤리의식(r=.27, p<.01)과, 대인돌봄행위는 생명의료 윤리의식(r=.17, p<.05)과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인권감수성을 강화하고, 대인돌봄행위 및 생명의료 윤리의식을 강화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아이돌보미의 근무특성과 대인관계 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n the Child Caregiver's Job Satisfaction from Characteristics of Work and Characteristic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 김나원;고재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636-648
    • /
    • 2016
  • 본 연구는 아이돌보미의 근무특성과 대인관계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아이돌봄사업의 서비스의 질을 향상 시키는 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는 S특별시 지역 아이돌보미 11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에 일부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일부는 영향이 없었다. 둘째, 아이돌보미의 근무특성, 대인관계특성, 직무만족 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회귀모형의 추정결과 근무특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대인관계특성은 직무만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동료관계, 이용자가족 관계, 돌봄대상아동 관계가 높아질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만족을 높일수 있도록 제도적인 개선과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는데 노력을 해야 한다.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의 죽음에 대한 태도가 임종돌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ttitude to Death in the Hospice and Palliative Professionals on Their Terminal Care Stress)

  • 양경희;권성일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8권4호
    • /
    • pp.285-293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의 죽음에 대한 태도의 임종 돌봄 스트레스에 대한 효과를 탐구하고, 이 두 변수와 관련된 우울, 대처전략들의 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 131명이며, J도를 중심으로 2개의 상급종합병원과 2개의 종합병원 암병동, 2개의 호스피스 시설, 2개의 전문요양병원 및 2개의 노인병원에서 실시되었다. 자료는 2015년 3월부터 6월에 수집되었으며, 자료 분석에는 SPSS/WIN 21.0과 AMOS 18.0 programs을 사용하였고, t-test, factor analysis, ANOVA ($Scheff{\acute{e}}$), Pearson's correlation 및 path analysis를 실시하였다. 결과: 죽음에 대한 태도는 낮았으며(2.63점), 우울 점수는 0.45점이였으나 15.0%의 대상자는 우울관리가 요구되었다. 임종 돌봄 스트레스가 높고(3.82점), 그 중 의료 한계에 대한 갈등이 가장 높았다(4.04점). 스트레스 대처는 낮았으며(3.13점), 대인관계 기피(4.03점), 간식이나 잠을 취하는 기본욕구 충족(3.65점)과 같은 소극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죽음에 대한 태도는 임종 돌봄 스트레스에 직접적으로 부적 영향을 주었으며, 우울과 기본 욕구 충족(CS2)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결론: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들에게 죽음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고 효과적인 대처전략을 활용하게 하는 인지적 지지와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제공이 요구된다.

고학년 간호대학생의 인간중심간호역량 영향요인: King의 역동적 상호작용 체계모형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Person-Centered Care Competence for senior nursing students: Focused on King's dynamic interaction system model)

  • 조인영;윤지영;김효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57-367
    • /
    • 2021
  • 본 연구는 King의 역동적 상호작용체계를 기반으로 고학년 간호대학생의 인간중심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임상실습경험이 있는 4학년 간호대학생 242명을 대상으로 2021년 3월 20일부터 4월 3일까지 google 설문지를 통해 윤리적 민감성, 동료돌봄행위, 대인관계유능성, 사회적지지, 인간중심간호역량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program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인간중심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인관계유능성(β=0.42, p<.001)과 사회적지지(β=0.29, p<.001)였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44.1%였다(F=23.77, p<.001). 본 연구는 개념적 기틀을 바탕으로 고학년 간호대학생의 인간중심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대인관계적, 사회적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나아가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외상 후 성장 (Posttraumatic Growth in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 최순옥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7권1호
    • /
    • pp.1-9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외상 후 성장수준과 이에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및 돌봄관련 특성들을 심층 분석하여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간호중재 모색에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두 개의 종합병원과 일개의 대학병원에서 입원 및 외래 치료를 받고 있는 201명의 암환자의 가족돌봄자이다. 외상 후 성장은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orean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K-PTGI)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외상 후 성장 점수 평균은 3.10점이었다. 하위 요인별로는 자기 지각의 변화, 대인관계의 깊이 증가, 새로운 가능성의 발견, 영적 종교적 관심의 증가 순이었다. 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돌봄 관련 특성에 따른 외상 후 성장 수준의 차이는 나이, 종교, 종교생활의 중요성, 돌봄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어려움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결론: 암환자에 대한 질적인 간호를 제공함에 있어 환자뿐 아니라 가족돌봄자들도 포함해야 한다. 또한 암환자 가족돌봄자가 환자의 암 투병 경험에서 궁극적인 성장에 도달할 수 있도록 자신들의 영적 종교적 신념을 유지할 수 있는 영적 간호중재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