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상집단

검색결과 5,586건 처리시간 0.029초

주부의 시간압박감에 따른 소비자행동 - 시간절약형 내구재의 구매의사결정과정을 중심으로 - (Housewives' Perception of Time Pressure and Their Consumer Behavior: Purchase Decision-Making on Time-Saving Durables)

  • 김기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2권2호
    • /
    • pp.229-238
    • /
    • 1994
  • 본 연구는 시간자원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현대사회에서 주부가 지각하는 시간압박 감이 점차 높아질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시간압박감이 소비자행동에 어떻게 작용하고 그로 인한 문제점은 무엇인지 밝혀보려는 의도에서 수행되었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주부 546명을 대상으로 시간압박지각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집단을 분류된 소비자 집단 사이에 인구.사회 경제적특성과 시간 절약형 내구제의 구매의사결정 과정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간 압박지각 정도에 따라 고.중.저의 세집단으로 구분되었는데 중간집단에 가장 많은 응답자가 포함되었고 높게 지각하는 집단에 가장 적은 응답자가 포함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취업주부의 18.7%가 시간압박을 낮게 지각하는 집단에, 그리고 전업주부의 6.8%가 시간압박을 높게 지각하는 집단에 분류되어 취업주부가 시간압박을 높게 지각하는 전형적인 소비자집단이 아닐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집단별 인구.사회경제적 특성과 시간절약형내구재의 구매의사결정과정의 차이도 부분적으로 밝혀졌으나, 예상과 달리 시간압박감을 높게 지각하는 집단의 시간절약형내구재의 소유와 사용이 오히려 낮게 나타났다.

  • PDF

소비자의 집단구성원에 대한 지각이 소비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Group Membership Perspective on Consumer Decision)

  • 김영아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5권4호
    • /
    • pp.31-47
    • /
    • 2003
  • 소비자의 집단 구성원에 대한 자아지각은 소비자 의사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 집단소비자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는 의사결정 상황이나 소비자 개인적 의사결정상황 등 의사결정 상황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미칠까? 본 연구는 소비자가 집단의식을 인식할 때 개인적 차원과 집단적 차원에서 행해지는 의사결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검증하고, 이때, 소비자의 위험회피성향에 따라 소비자 의사결정이 어떻게 조절되는가를 2 가지 실험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미국 오레곤 주립대학교의 아시아계 학생들을 대상으로 2 가지 실험을 실시한 결과, 집단의식을 지각한 소비자는 집단관련 의사결정은 물론 개인관련 의사결정에서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위험회피성향의 조절효과에 대한 실험결과는 집단의식을 지각한 소비자와 집단의식을 지각하지 않는 개인적 소비자 모두 처벌에 관한 상황에서 형평성 선호와 협상적 대안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집단의식지각의 의사결정에 대한 위험회피성향의 조절효과는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 PDF

SNS에서의 스포츠이슈에 대한 집단감정과 집합행동의 관계 (Analysis of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Emotion and Behavior to Sport Issues in SNS)

  • 이종길;이공주;양재식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65-17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SNS에서의 스포츠이슈에 대한 집단감정과 집합행동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 대표 포털사이트로부터 집합행동이 명확히 관찰되는 스포츠이슈 5건과 관련 포털 기사 5건을 선정하였고, 그 댓글 중, 추천 수에 따른 상위 100개 씩 총 500개의 댓글을 집단감정의 분석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또한 해당 이슈로부터 발생한 대중의 행위를 집합행동의 분석대상으로 선택하였다. 각 분석대상 댓글과 집합행동은 전문가 회의를 통하여 1~5점의 점수를 부여하였으며, 이에 대한 일원배치분산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에서의 스포츠 집단감정은 스포츠이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SNS에서의 스포츠이슈에 대한 집단감정과 집합행동 간에는 유의한 인과관계가 있음이 규명되었다. 본 연구는 스포츠 집단감정과 집합행동의 인과적 관계를 계량적 분석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2013년도 어린이집 평가인증 운영체계 개선에 따른 성과평가와 개선안 (Performance Evaluation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2013 Child 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 제경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01-521
    • /
    • 2015
  • 본 연구는 2013년 평가인증 운영체계의 주요 변경내용 8개 항목에 대한 성과를 검토하고 보완점을 모색하고자 보육현장 종사자와 부모, 보육관계자를 대상으로 개선내용의 적절성에 대한 인식비교를 하였다. 보육교직원 200명, 보육담당공무원, 심의위원, 현장관찰자 등 전문가집단 150명, 학부모 144명이 2014년 2월말에 시행된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자체점검의 상시화와 소요기간 단축, 기본사항 중 필수항목 확대, 현장관찰일 미고지, 관찰자 파견 수 조정, 재참여수수료 부과 및 참여대상 조정, 확인점검과 인증유효기간 연계 등 8개 항목으로 구성된 대상별 질문문항은 모두 동일하였으나 보육교직원 대상으로 3개 문항이 추가되었다. 빈도, 백분율로 일반적 인식수준을 알아보았으며, 집단별 비교를 위해 1차적으로 집단의 크기가 같은 전문가 세 집단 간 분산분석을 하였고, 통계적 유의차가 없는 경우 2차적으로 세 집단을 하나로 묶은 전문가집단, 보육교직원, 부모의 세 집단을 대상으로 분산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2013년 평가인증 운영체계 변경내용 각 항목별 집단차이는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하여 주요개정사항들은 적절하고 필요한 조처였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법적준수를 요구하는 기본사항 확인내용 점검과정의 일원화, 유효기간 단축과 불인증, 재참여기회 제한 등 기준점수 미달기관의 관리방안과 현장관찰일 사전고지 및 불시방문에 대한 보육현장의 부담에 대해 좀 더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안을 제언하였다.

노인대상 자원봉사활동이 대학생들의 노인 및 노인복지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the Volunteer Program for the Aged o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toward the Aged and the Aged Welfare)

  • 이은주;한창완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233-1245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대상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노인 및 노인복지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에 있다. 조사대상은 사회복지관련 학과 대학생 72명이다. 이 중 자원봉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34명을 실험집단, 참가하지 않은 학생 38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사회복지사로부터 노인대상 재가복지 서비스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기본적인 교육을 받았으며, 일주일에 한 번씩 4개월 간 대상자 노인의 집을 방문하여 말벗해드리기, 건강 체크 등의 재가복지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설문조사는 두 집단 모두 자원봉사 프로그램 시작 전과 프로그램이 끝난 후 두 차례에 걸쳐 실시되었다. 설문조사 내용에는 노인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는 척도와, 노인에 대한 공경심, 노인복지에 대한 지식 및 관심도를 알아보기 위한 4점 리커트 척도가 포함되었다. 사전조사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노인복지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노인에 대한 태도, 노인에 대한 공경심, 노인복지에 대한 지식 측면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조사결과 통제집단은 사전조사결과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집단의 경우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후 노인에 대한 태도가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노인에 대한 공경심도 보다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노인대상 자원봉사 활동이 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의식을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청소년의 문자메시지 사용실태 및 몰입정도와 심리 간의 관계 (Adolescents' Txt Message Use, its Immersion and its Relation with Mental Process)

  • 이경철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773-77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남녀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사용 실태 및 몰입 정도가 자신의 심리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결과, 문자 메시지를 사용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부적응/일탈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메시지 사용수준이 중간인 집단과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강박/집착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메시지 사용수준이 중간인 집단과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금단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문자 메시지를 많이 사용하는 청소년은 적게 사용하는 청소년에 비해 부적응/일탈정도가 높고, 강박/집착정도도 높고, 또한 금단정도가 높아 문자 메시지가 청소년의 정신 병리적 장애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자 메시지를 사용하는 빈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이나 중간인 집단에 비해 혼미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문자 메시지를 많이 사용하는 청소년은 적게 사용하는 청소년에 비해 혼미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몰입정도의 세 가지 구성개념인 부적응/일탈, 강박/집착, 금단요인이 자기 통제 능력의 구성개념인 착각성 및 혼미성과의 상관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휴대전화 문자메시지과다사용으로 청소년들이 건강한 성장을 하는데 악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기름종개과(Family Cobitidae) 어류의 계통분류에 관한 연구, 7. 새코미꾸리의 mtDNA 분석에 의한 종분화 연구 (Systematic Study on the Fishes of the Family Cobitidae (Pisces, Cypriniformes) 7. A Study on Mitochondrial DNA Differentiation and Speciation in Korean Cobitid Fish, Cobitis rotundicaudata)

  • 김재흡;민미숙;김종범;양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3권1호
    • /
    • pp.21-27
    • /
    • 1997
  • 한국 고유종인 새코미꾸리(Cobitis rotundicaudata)의 집단간 유전적 차이에 따른 종 분화 여부를 밝히고자 4개집단을 대상으로mitochondrial DNA(mtDNA)의 RFLP분석을 실시 하였다. C. rotundicaudata mtDNA를 10개의 6-base cutting 제한요소로 처리한 다음 그 절 편 양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 4개 집단 공히 mtDNA의 전체 genome 크기는 약 16.5$\pm$ 0.5Kbp였으며 공통절편수(F)에서 한강 2개 집단(가평, 진부)과 동해안 마읍천 짐단간의 F값 은 0.911로 매우 가까웠으나 낙동강의 산청집단은 타 3개 집단과 F=0.375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염기치환율(p)에 있어서도 한강 2개 집단 및 마읍천 집단간은 평균 p=0.005로 매우 유 사하였으나, 산청 집단은 타 집단들과 염기치환율에 있어 p=0.059로 종수준의 뚜렷한 차이 를 나타내어서 이들은 각각 별종으로 사료된다.

  • PDF

공직 적격성 검사의 개발

  • 김청택;김명소;이순묵
    • 한국조사연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사연구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89-109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 고등고시 1차 시험에서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하여 적성검사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일반적성이론에 관한 문헌조사와 재직자와의 면접을 통한 직무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언어능력, 상황판단능력, 자료해석 능력, 상식의 네 가지 하위영역을 측정하는 검사를 제작하여 대학생 집단, 재직자 집단, 수습사무관 집단을 대상으로 1차 실험평가를 실시하였다. 문항분석을 통해 문항의 양호도를 검토한 후 이러한 정보를 기초로 새로운 문항을 제작하고 대학생 집단, 재직자 집단, 수습사무관 집단을 대상으로 2차 실험평가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문항들은 신뢰도와 타당도 면에서 수용할만한 수준이었다. 개발된 공직 적격성 검사의 의의와 앞으로 고등고시에 지원할 응시자들에게 미치는 순기능을 논의하였다.

  • PDF

집단글쓰기수업의 단계별 하위요소 탐색 (The Process of Group Writing and Processes Factor)

  • 김세미;김성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85-598
    • /
    • 2015
  • 본 연구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집단 글쓰기 활동을 통해 집단 글쓰기 과정의 3단계인 정보수집, 정보의 논리적 조직, 검토 단계에서 나타나는 하위요소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과학교과 논리 및 논술을 수강하는 19명의 예비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집단 글쓰기 수업을 구성하여 그 과정을 탐색하였다. 집단 글쓰기는 예비 과학교사들로 하여금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4~5명으로 형성된 집단을 구성하여 실행되었다. 집단 글쓰기 3단계의 하위요소 분석은 집단별 토의내용과 작성한 글을 대상으로 귀납적으로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예비 과학교사들의 집단 글쓰기 과정의 3단계에서 다음과 같은 하위 요소가 추출되었다. 정보수집 단계에서는 정보 공유, 정보이해, 정보판별의 하위요소가 추출되었으며, 정보의 논리적 조직 단계에서는 정보의 범주화, 분산, 정보의 균형화, 성찰이라는 하위요소가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검토 단계에서는 글 형식 통일, 전체적 글의 흐름검토, 가독성 고려라는 하위요소가 추출되었다.

우수 선수와 준우수 여자 창던지기 선수들의 운동학적 특성 (Analysis of Kinematic Parameters between Skilled and Less Skilled Female Javelin Throwers)

  • 이영선;류지선;김태삼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707-717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창던지기 선수를 대상으로 지지발 착지와 릴리즈 국면 시 우수 집단과 준우수 집단 간의 운동학적 차이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여자선수 8명을 대상으로 측정 최고기록이 45m이상인 선수를 우수 집단으로, 45m이하를 준우수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창의 투사속도에 있어서 릴리즈 단계의 수직속도는 집단 간에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수평속도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p<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릴리즈 순간의 투사각에 있어서 우수 집단은 평균 36.3도를 보였고, 준우수 집단은 평균 42.3도를 보이면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p<.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지다리 무릎각에 있어서는 힘 발 착지(우수>준우수)와 지지발 착지(우수<준우수) 그리고 완전착지(우수<준우수)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p<.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릴리즈 순간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어깨각에 있어서도 힘 발 착지에서만 유의한 차이(p<.05)를 보였고, 릴리즈 단계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