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기 행렬 모형

Search Result 116,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 Discrete Time Queueing Model for Intersection Analysis (교차로 분석을 위한 불연속 대기행렬 모형 개발)

  • 하동익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2 no.4
    • /
    • pp.89-97
    • /
    • 1994
  • 신호화된 교차로의 운영비율을 측정하기 위해 현재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 는 척도는 교차로 통과차량의 평균지체시간이다. 그간 교차로 분석을 위해 많은 대기행렬 모형이 발표되어 왔고 또 그중 일부가 현재 사용 중에 있는데 이들은 모두 steady-state를 가정한 해법이다. 그러나 steady-state 모형은 시간에 따른 대기행렬 길이의 변화를 고려하 지 못하므로 현실적인 분석에 한계가 있는 방법론이다. 그러므로 정당한 교차로 시간산출을 위해서는 time-dependent한 분석형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discrete Markov chain을 이용하여 단순히 단위시간 동안의 도착율과 출발율로써 transition probabilities를 계산하는 새로운 대기행렬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불연속 대기행렬 모형을 이용하여 교 차로 분석을 할 경우 기존의 교차로 지체모형과 비교하여 기대되는 개선효과는 다음과 같 다. 변화를 고려한 dynamic한 분석으로 현실적이고 정당한 예측을 할 수 있다. 신호자동에 의한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독립적교차로 뿐만 아니라 간선도로, 나아가서 network 분석을 할 수 있으며, 동시에 주어지 교통여건에 대해 신호자동화를 위한 최적값을 산출해 낸다.

  • PDF

Traffic Analysis Model for Exit Ramp Congestion at Urban Freeway (고속도로 진출램프 대기행렬 발생 현상 분석모형 개발)

  • Jeon, Jae-Hyeon;Kim, Young-Cha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9 no.3
    • /
    • pp.30-40
    • /
    • 2010
  • The freeway congestion is largely generated by a mainline spillover of the exit ramp queue. So it is necessary to study for modeling of the phenomenon and applying the model. In this study, the authors evaluated applicability of the Supply-Demand model, which can express traffic flow for the freeway by applying flexibly supply and demand curves for capacity of the freeway. First the authors proposed methods processing input data required in the Supply-Demand model, such as sending & receiving functions and time-varying capacity constraints for the freeway mainline. After modeling the Supply-Demand application model, the authors applied the model to the site including congested Hongeun exit ramp in Seoul Ring-road, and improved the model by adjusting application techniques and calibrating parameters.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upply-Demand model yielded a queuing pattern and queue location similar to them observed in the field data, and applicability of the Supply-Demand model was varified.

A Study of Traffic Flow Characteristics for Estimating Queue-Length in Highway (고속도로 대기행렬 길이 산정모형 개발을 위한 연속류 특성 분석)

  • 노재현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297-297
    • /
    • 1998
  • 고속도로의 교통혼잡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혼잡지점 상류부의 진입교통량을 제어해야 한다. 이를 위한 효과적인 램프미터링 운영전략이나 고속도로 교통정보제공방안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혼잡영향권(대기행렬길이)에 관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가 반드시 필요하다. 고속도로의 대기행렬길이를 산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충격파이론과 Queueing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충격파 이론을 포물선형의 교통량-밀도관계식을 근거로 하고 있어 충격파간에 발생하는 부수적인 충격파를 해석하는 과정이 수학적으로 불가능하여 실질적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음은 이미 잘 알고 있는 사실이다. 최근에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교통량 밀도간의 관계식을 삼각형으로 가정하고 교통량 대신에 누적교통량을 사용하는 Simplified Theory of Kinematic Waves In Highway Traffic이 개발(Newell, 1993)되었지만, 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대상 고속도로 구간의 교통량-밀도관계식을 규명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사실 실시간으로 밀도데이터를 수집하기란 불가능하다.) Queueing이론에서 제시하는 대기행렬은 모두 대기차량이 병목지점에 수직으로 정렬하여 도로를 점유하지 않는 Point Queue(혹은 Vertical stack Queue)로서 실제로 도로상에 정렬된 대기행렬(Real Physical Queue)과는 전혀 다르다. 이미 입증된 바 있어, Queueing이론을 이용함은 타당성이 없다. 이러한 사실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고속도로 대기행렬길이를 산정할 수 있는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혼잡상태의 연속류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도시고속도로에서 수집한 실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진입램프지점의 혼잡상태에서 대기행렬의 증가 또는 감소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혼잡초기의 대기행렬은 다른 혼잡시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급속한 속도로 증가함. 2. 혼잡초기의 대기행렬의 밀도는 다른 혼잡시기에 비해 비교적 낮음. 3. 위의 두 결과는 서로 관계가 있으며, 혼잡시 운전자의 행태(차두간격)과 혼잡기간중에도 변화함을 의미함. 4. 교통변수 중에서 대기행렬길이를 산정하는데 적합한 교통변수를 교통량과 밀도로 판단됨. 5. Queueing이론에서 제시하는 대리행렬길이 산정방법인 대기차량대수$\times$평균차두간격은 대기행렬내 밀도가 일정하지 않아 부적합함을 재확인함. 6. 혼잡초기를 제외한 혼잡기간 중 대기행렬길이는 밀도데이터 없이도 혼잡 상류부의 도착교통량과 병목지점 본선통과교통량만을 이용하여 추정이 가능함. 7. 이상에 연구한 결과를 토대로, 고속도로 대기행렬길이를 산정할 수 있는 기초적인 도형을 제시함.

  • PDF

Development of a Queue Length Based Optical Length Set Methodology Using Image Detectors (영상기반의 대기행렬길이를 이용한 최적주기 결정모형 개발)

  • 이철기;오영태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9 no.4
    • /
    • pp.109-121
    • /
    • 2001
  • 본 연구는 공간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영상검지기를 이용하여 주어진 대기행렬길이를 기반으로 하는 최적주기 알고리즘을 개발함으로써 교통신호 제어에 대한 새로운 신호계획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수요의 공간적인 정보를 획득하는 방안으로서 영상검지기 기반의 대기행렬길이를 사용한다. 전략적 측면에서 다양한 교통상태를 적용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영상검지기 기반의 대기행렬길이 계산방안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한 링크의 상류부와 하류부에 2대의 영상검지기를 설치하여 대기행렬길이를 산출하는 방안이다. 2. 신호제어 변수인 주기 계산모형이 개발된다. 이 방법 역시 영상검지기를 기반으로 하는 대기행렬길이를 사용한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a Multiclass Priority Queue with Layered Scheduling Algorithm (계층적 스케줄 방식을 고려한 다계층 우선순위 대기행렬시스템의 성능척도 분석)

  • Hong, Sung-J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29 no.4
    • /
    • pp.18-26
    • /
    • 2006
  • 여러 형태의 고객이 외부로부터 포아송과정에 따라 각 대기행렬에 도착하고 정해진 서비스규칙에 따라 해당 서비스를 받은 후 마코비안 확률분포에 따라 시스템을 떠나거나 다른 형태의 고객으로 시스템을 다시 돌아 올 수도 있는 M/G/1 대기행렬시스템을 고려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 모형을 확장하여 계층적 서비스 규칙을 갖는 우선순위 대기행렬모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시스템 성능척도를 보다 체계적으로 구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대기행렬시스템의 거동을 나타내는 시스템 상태를 정의하고, 바쁜기간과 서비스기간 분석을 통하여 시스템 상태의 선형 함수로 평균체제시간을 구할 수 있음을 보인다.

The binary bootstrap for single simulation output analysis

  • 김윤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2.04b
    • /
    • pp.105-116
    • /
    • 1992
  • 이 논문에서는 discrete-event모의실험을 사용해서 대기행렬모형에서 대기시간이 길어지는 확률을 추정하는 문제를 연구했습니다. 단 한번의 모의실험에서 확률의 신뢰구간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인, binary bootstrap을 개발했습니다. Bernoulli trial과 first-order Markov processes에 적용하여 본 결과 이론치에 별 차이없이 추정하였습니다. 또한 M/M/1 대기행렬모형에서 대기시간이 길 확률을 추정했을 때 batch means방법보다 binary bootstrap이 월등히 우수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 PDF

A Study of Traffic Flow Characteristics for Estimating Queue-Length in Freeway (고속도로 대기행렬길이 산정모형 개발을 위한 연속류 특성 분석)

  • 노재현;손봉수;도철웅;신치현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2
    • /
    • pp.179-191
    • /
    • 1999
  • To device effective freeway traffic flow control strategies and freeway traffic information dissemination strategies, it is very important to estimate real physical queue length on the freeway. Shock wave theory and queueing theory have limitation to be used to estimate the queue length.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liable method for estimating the physical queue length and level of congestion. Queueing propagation processes were analysed by using such traffic data as main line traffic volume, ramp volume, density. speed, and physical queue length collected by video photographing on Olympic Freeway. As a result of analysi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real queue length can be estimated by using the traffic counts arriving the congested region and passing a bottleneck location. Further more, a reliable method for estimating the level of congestion could be developed on the basis of real-time traffic counts.

  • PDF

A Study on the Queueing Process with Dynamic Structure for Speed-Flow-Density Diagram (동적구조를 갖는 대기행렬 모형: Speed-Flow-Density 다이어그램을 중심으로)

  • Park, You-Sung;Jeon, Sae-Bom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3 no.6
    • /
    • pp.1179-1190
    • /
    • 2010
  • Management of the existing traffic network and understanding current traffic conditions is the most important and effective way to solve traffic congestion.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status of Korea expressway through the Speed-Flow-Density diagram and finds the best suitable queueing model for each area. Dynamic structure in the queueing model enables us to reflect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road in case of traffic congestion. To find the best model and estimate the parameters, we use the Newton-Raphson method. Finally, we examine the road efficiency in view of the optimal speed and density using the conditional distribution of speed and density of a S-F-D diagram.

A Case Study on the Appropriate Construction Personnel of the Typical Floor of Apattment Frame Construction Using the Queueing Model (대기행렬 모형을 활용한 아파트 골조공사 기준층 인적 자원관리 선정사례에 관한 연구)

  • Lee, JeongWon;Kim, BoHee;Ham, NamHyuk;Kim, JaeJu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3 no.6
    • /
    • pp.3-14
    • /
    • 2022
  •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number of construction workers and construction period can present a new standard for appropriate personnel. This study presents a Queueing model that predicts the execution time of work procedures,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work efficiency indicators. During the working cycle of apartment frame construction the same process tends to be repeated the volume of contruction.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is study used a Queueing Model and analyzed reference layer cycle of the delayed frame construction. After adjusting the number of people and the construction period,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was analyzed and suggested. This study aims to support the decision making of personnel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volume of construction by performing a performance analysis of the Queueing Model.

대기행렬 모형을 사용한 기업 업무절차의 수행시간 예측

  • Ha, Byeong-Hyeon;Bae, Jun-Su;Gang, Seok-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548-551
    • /
    • 2004
  • 합리적인 업무 수행도의 예측을 통해 기업은 기존 업무절차의 평가뿐 아니라 업무 개선방안과 새로운 업무의 설계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업무효율지표들 중 가장 중요한 요소인 업무절차의 수행시간을 예측하는 모형을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업무는 예측가능하며 장기적으로 안정된 성격을 가진다. 우리는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한 대기행렬 모형을 구축하고 그것을 분석하여 정적인 방식의 업무실행 시 수행시간을 예측하였다. 그리고 모형의 성능을 시뮬레이션 기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