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ffic Analysis Model for Exit Ramp Congestion at Urban Freeway

고속도로 진출램프 대기행렬 발생 현상 분석모형 개발

  • 전재현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김영찬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Received : 2010.03.29
  • Accepted : 2010.05.22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freeway congestion is largely generated by a mainline spillover of the exit ramp queue. So it is necessary to study for modeling of the phenomenon and applying the model. In this study, the authors evaluated applicability of the Supply-Demand model, which can express traffic flow for the freeway by applying flexibly supply and demand curves for capacity of the freeway. First the authors proposed methods processing input data required in the Supply-Demand model, such as sending & receiving functions and time-varying capacity constraints for the freeway mainline. After modeling the Supply-Demand application model, the authors applied the model to the site including congested Hongeun exit ramp in Seoul Ring-road, and improved the model by adjusting application techniques and calibrating parameters.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upply-Demand model yielded a queuing pattern and queue location similar to them observed in the field data, and applicability of the Supply-Demand model was varified.

고속도로 본선 정체의 원인으로 진출램프에서 발생한 대기행렬의 본선 역류가 크게 작용하며, 이에 고속도로 진출램프 대기행렬 발생으로 인한 본선 영향을 적절히 표현하는 연속류 모형과 실제 제어 시 기반이 되는 적용성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용량 변화에 따른 공급과 수요 곡선을 탄력적으로 적용하여 진출램프 대기행렬 영향으로 인한 고속도로 본선 교통류를 표현할 수 있는 Supply-Demand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Supply-Demand 모형 적용 시 요구되는 입력자료인 구간별 Sending & Receiving function과 진출램프 대기행렬의 본선 영향 등을 고려한 고속도로 본선 용량제약을 처리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실시간 data를 사용하여 Supply-Demand 모형을 적용하는 일련의 과정을 모형화 한 후, 극심한 상습정체가 발생하는 내부순환로의 홍은진출을 포함하는 구간에 적용, 조정 및 발전시켜 분석하였다. 적용결과, 대기행렬의 본선 영향 범위와 대기행렬 패턴이 실제 교통류와 유사하게 예측되었다. 즉, Supply-Demand 모형이 Sending & Receiving function을 탄력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진출램프 대기행렬의 본선 역류 등으로 인한 고속도로 본선의 용량 변화가 적절히 반영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M. J. Lighthill and G. B. Whitham, "On kinematic waves. I: Flow movement in long rivers. II: A theory of traffic flow on long crowded roads," Proc. Royal Society, A 229, pp. 281-345, 1955.
  2. G. F. Newell , "A simplified theory of kinematic waves in highway traffic, Part I: General theory; Part II: Queuing at freeway bottlenecks; Part III: Multi-destination flow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vol. 27, pp. 281-314, Aug. 1993. https://doi.org/10.1016/0191-2615(93)90038-C
  3. C. F. Daganzo, "A finite difference approximation for the kinematic wave model of traffic flow,"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vol. 29, pp. 261-276, Aug. 1995. https://doi.org/10.1016/0191-2615(95)00004-W
  4. S. K. Godunov, "Bounds on the discrepancy of approximate solutions constructed for the equations of gas dynamics," J. Computers Mathematics and Mathematical Physics 1, pp. 623-637, 1961.
  5. C. F. Daganzo, "The cell-transmission model: A simple dynamic representation of highway traffic,"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Part B, vol. 28, no.4, pp. 269-287, Aug. 1994. https://doi.org/10.1016/0191-2615(94)90002-7
  6. C. F. Daganzo, "The cell transmission model. Part II: network traffic,"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vol. 29, pp. 79-93, Apr. 1995. https://doi.org/10.1016/0191-2615(94)00022-R
  7. Y. H. Kim, Online traffic flow model applying dynamic flow-density relations,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Munchen, 2002.
  8. V. F. Hurdle and B. S. Son, "Road test of a freeway model,"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vol. 34, no. 7, pp. 537-564, Sept. 2000.
  9. 손봉수, "고속도로의 교통류해석을 위한 컴퓨터 알고리즘 개발: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14권, 제4호, pp.131-154, 1996. 12.
  10. 손봉수, 김보현, "도시고속도로 구간소통상황 판단을 위한 지점데이터 가공방법," 대한토목학회지, 제24권, 제3D호, pp. 363-363, 2004. 7.
  11. 이승준, 도시고속도로 차로별 교통류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