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국민서비스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32초

국가기록포털 검색 품질 개선을 위한 파일럿 시스템 구축 및 실효성 검증 (Construction of Pilot System to Improve Search Quality in National Archives of Korea Portal and Effects Validation)

  • 소현기;염경록;오효정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7-135
    • /
    • 2023
  • 국가기록원에서는 국민에게 소장하고 있는 공공기록물에 대한 접근점을 제공하기 위해 국가기록포털이라는 대국민 검색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검색 결과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가 낮다는 의견들이 수렴되고 있으며, 그와 더불어 포털 이용률도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수행한 국가기록포털 검색서비스 품질 점검 연구의 후속 연구로, 국가기록포털의 문제점을 규명하고 그에 따른 개선안을 제안하고, 나아가 그 실효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선행된 품질 평가를 통해 국가기록포털의 주요 문제점으로 검색 도구의 저조한 성능, 검색 결과의 일관성 결여, 기본검색 기능 부재를 비롯한 6가지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규명했다. 제안한 방안의 실효를 검증하기 위해 이 중에서 현실적으로 당장 도입 가능한 방안을 적용한 파일럿 시스템을 구축, 국가기록포털과 검색 성능 비교를 수행하였다. 평가 결과, 파일럿 시스템 검색 도구의 정확률, 재현율, MRR 모든 측면에서 유의미한 상승을 확인하였으며 그 효과를 입증하였다.

수돗물 이용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과 사회적 인식 (The Research Trend and Social Perceptions Related with the Tap Water in South Korea)

  • 김지윤;도윤호;주기재;김은희;박은영;이상협;백명수
    • 생태와환경
    • /
    • 제49권3호
    • /
    • pp.208-21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돗물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805건의 연구문헌 정보를 수집하여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주제어 관계 분석을 시행하고 수돗물 이용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사회적 인식을 조사하였다. 수돗물에 연관된 연구는 1990년대부터 수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정확한 수돗물 불신의 원인파악과 대국민 소통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는 매우 미흡하였다. 그동안 진행된 주요 연구분야는 크게 상수도 수질, 불소농도조정사업, 수돗물 잔류물 영향, 미생물 관리의 4개 주제군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수돗물 음용에 대한 대국민 설문조사결과 응답자의 22.4%만이 수돗물을 주 음용수로 이용하고 있었으며 그대로 마시는 비율은 4.5%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수돗물의 주 음용수 사용에 미치는 주요한 영향요인으로는 수돗물 품질보고서 인지 여부, 수돗물 관리 정책에 대한 신뢰도 등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적인 수돗물 음용 확대를 위해서는 수돗물 관리 정책 소통의 전환과 연구정보 공유 확산을 통해 이용자의 사회적 관심과 기관의 신뢰를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 철저하게 관리되고 있는 수돗물 수질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전달 체계를 확대하여 사회공공서비스의 모범을 제시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수돗물 불신에 대한 이용자 인식과 행동 원인에 대한 연구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험적 접근들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정보시스템을 통한 생활안전 위험의 예방·대응을 위한 안전약자 요구사항 분석모델 연구 : 의사소통기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cessibility Requirements Analysis Model for the Preventive Safety and Disaster Service Information System - Focusing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 이용직;지석연;김상화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13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생활안전 위험의 예방·대응을 위한 대국민 정보시스템 개발에 있어 장애인을 포함한 안전약자들이 서비스가 달성하고자 하는 효익에 도달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내재된 의사소통능력을 고려하여 개인화한 서비스를 구성하기 위해 안전약자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모델을 제시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특정 재난 주제에 대한 대국민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시나리오에 대하여, 나이, 장애, 환경, 직업 등 다양한 특성에 대응되는 가상 인물을 선정하고 분석하는 페르소나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의사소통기능 문제와 관련된 대상자들의 요구사항을 파악하였으며, 이는 ICF를 기반으로 분석을 실시한 뒤, 최종적으로 이 요소들을 특징으로 하는 중재 및 촉진방법을 제공하였다. 결과 : 페르소나 분석 방법을 통해 가상인물들이 스마트 폰 등 의사소통장치를 활용하여 재난정보를 수신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을 파악하여 ICF의 의사소통문제와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ICF코드를 기준으로 정리하여 ICF코드의 의사소통문제와 관련된 d300번 대 코드 중 d310 (음성메시지로 의사소통하기-수용), d315 (비언어적 메시지로 의사소통하기-수용), d320 (공식적인 수화메시지로 의사소통하기-수용), d325 (문자메시지로 의사소통하기-수용), d360 (의사소통장치 및 기술 사용하기) 등 총 5개의 코드에서 19가지의 어려움 혹은 장벽 요인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그에 대한 각각의 중재 및 촉진 방법을 제안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생활안전예방을 위한 정보서비스를 구축함에 있어 사용자의 의사소통능력의 개인차를 극복하고 모든 사용자에게 서비스가 목적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ICF 분류체계와 페르소나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접근성을 확보한 시스템 사용자 요구사항을 도출하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CF의 분류체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장애나 질병을 포함한 건강상태와 신체 기능, 구조 및 활동과 참여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개별 사용자들의 의사소통의 수준 및 요구에 따라 적절한 중재방법과 촉진방법을 도출하여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민간경비에 대한 행정규제 및 감독의 실효성 확보 방안 (A Study on Assuring the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onal Regulation and Supervision in Korea Private Security)

  • 이상철;신상민;이민형
    • 시큐리티연구
    • /
    • 제12호
    • /
    • pp.245-269
    • /
    • 2006
  • 민간경비업무의 공공성에 따른 행정규제의 필요성과 그에 따른 실질적 감독의 이행은 민간경비업계의 전문성과 대국민적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담보하게 된다. 이러한 국가적 규제와 감독의 이면에는 업계의 자율적 책임 이행을 내포하고 있으며 그러한 자체적인 업무 수행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국가는 반드시 그 책임을 강제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자체적인 치유능력의 신장과 그 근간을 이루기 위해서는 현행 행정 규제 및 감독은 강화되어야 하며 그러한 내용을 경비업법상 명시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그러한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경비업의 허가는 그 규제의 우선적 장치로서 자격 요건과 심사절차를 엄격히 하여야 한다. 둘째, 허가 이후에 지속적인 감독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그 취지가 희석되므로 민간경비 관련 감독기관을 독립적으로 운영하여 실질적인 이행을 담보하여야 한다. 셋째, 허위 또는 부당한 방법에 의한 허가 취득과 위법${\cdot}$부당한 도급업무 수행 및 경비지도사 선임의 편법적 행위는 그 처벌이 강화 되어야 한다. 넷째, 민간경비 업계의 자체적인 의무 이행을 담보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형식적인 경비지도사제도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전문자격증제도를 도입하여 한다.

  • PDF

스마트폰을 통한 대국민커뮤니케이션 수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Communication for People through Smart Phone)

  • 박진우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465-471
    • /
    • 2011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이 정부정책을 국민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수단으로 상정하고 그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의 서비스품질인 이동성은 스마트폰을 활용한 정부정책 전달에 대한 태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개인적합성은 정부정책 전달에 대한 인식도나 유용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스마트폰 유용성은 정부정책 전달에 대한 유용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스마트폰의 시스템품질인 사용용이성은 정부정책 전달에 대한 인식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보안성은 정부정책 전달에 대한 인식도와 유용성, 그리고 태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서비스연결성은 정부정책 전달에 대한 인식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을 활용한 정부정책 전달에 대한 유용성 및 태도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정부정책 전달에 대한 수용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위성 관측정보의 대국민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Public Service for Environmental Satellite Observation data)

  • 최원준;은종원;김상균;최광호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56-61
    • /
    • 2017
  • 최근 우리나라 위성 개발 사업은 과거와 달리 다양한 목적에 따라 수요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단순 지상 영상 관측 위성에서 벗어나 위성 자료를 가공, 고부가가치 정보 생산에 대한 중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위성 정보에 대한 수요 확대를 위해 최종 수요 대상인 국민들의 요구 사항을 반영한 맞춤형 개발과 정보 제공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경위성의 국민 맞춤형 서비스를 위해 요구사항 분석을 위해 대학생을 중심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환경위성은 발사, 운영 전임에 따라 인지가 부족한 상황이나, 최근 환경이슈인 미세먼지에 대한 인지가 높아 활용의지는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환경안보에 대한 의지가 높아 독자적인 환경위성 개발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며, 언론 등을 통한 홍보와 접근이 용이한 매체를 통한 자료 제공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GC기반 도시공간정보 데이터 연동서비스를 위한 상호연계기술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Interconnection Technology for Urban Geographic Information on OGC Standards)

  • 김태훈;김성수;홍창희;황정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15-22
    • /
    • 2013
  • 최근 u-City, Smart city 등 첨단도시를 구축하려는 다양한 움직임이 있으며, 이러한 첨단도시의 기반인프라로서 공간정보가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 있어서 기존에 구축된 공간정보 즉 GIS 데이터는 포맷의 다양성으로 인한 자료간 호환성 부족으로 기관간 상호연계 및 대국민 웹서비스 등에서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기종 분산환경에서 기 구축되어 활용되고 있는 GIS 및 UIS 데이터를 국제표준인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 표준기반으로 상호연동할 수 있도록 중계역할을 해주는 상호연계서버를 개발하고, 테스트베드 적용을 통해 성능을 검증하였다. 해당 성과는 향후 첨단도시의 통합관제플랫폼 및 화산재해대응플랫폼 등에 적용되어 기 구축 DB의 활용성을 제고하고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유관 시스템 분석을 통한 시설물정보관리종합시스템 개선방향 (Improvement Direction of Facility Management System(FMS) through Related Systems Analysis)

  • 정인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751-6758
    • /
    • 2015
  • 공중의 안전을 확보하고 나아가 국민의 복리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1995년에 시특법이 제정되었고, 시설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FMS가 개발 운영되고 있지만, 몇몇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FMS와 유관시스템의 현황을 면밀히 분석하여 (1) 1 2종 외 소규모 시설물을 포함한 범 국가 시설물정보 관리체계로 확장, (2) 시설물별 표준화된 점검진단시스템 개발 및 보급, (3) 관리주체 의사결정지원기능 등 DB활용시스템 개발, (4) 최신 정보기술을 활용한 FMS 성능 향상 및 안정적 운영환경 마련 등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개선방향에 따라 개선해 나간다면 소규모 시설물의 안전관리를 강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시설물 안전 및 유지관리 업무 관계자에게 최적의 정보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업무효율을 향상시키고 대국민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웹 기반 공공고용정보시스템 워크넷(Work-Net)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Work-Net, a Web-based Public Employment Information System)

  • 김순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3-112
    • /
    • 2003
  • 정보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국가경쟁력 및 대국민 서비스 강화를 위한 공공정보시스템의 구축이 확산되고 있다. 또한 막대한 공공재원이 투자되는 공공정보시스템은 효율성에 대한 정기적인 평가를 통한 존재가치의 입증 및 문제점 진단을 통한 성능개선의 요구도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인 웹 기반 공공고용정보시스템 워크넷(Work-Net)의 데이터 및 서비스 품질을 102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측정도구는 학계에서 많이 사용해온 정보내용, 정확성, 적시성, 출력형태, 사용의 용이성, 지원성으로 구성하였으며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이용자의 특성 및 검색정보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최근 구직자들의 고용정보시스템에 대한 요구사항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공공 및 민간운영 고용정보시스템 운영체제 효율화에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무인기 탑재 다중 센서 기반 국지 산불 감시 및 상황 대응 플랫폼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ocal Forest Fire Monitoring and Situational Response Platform Using UAV with Multi-Sensor)

  • 신원재;이용태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626-632
    • /
    • 2017
  • 최근의 해마다 발생하는 자연재해를 살펴보면 사망, 실종과 같은 심각한 인명 피해와 더불어 수억 원에 달하는 재산피해가 동반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ICT 기반의 자연재난 감시 및 대응 기술 개발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제안하는 플랫폼은 무인기에 탑재된 다중 센서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 분석을 통해 국지적 산불 재난의 감지 및 상황대응을 지원하고, 통합경보 시스템과 연동하여 대국민 재난 정보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본 논문에서는 재난 영상의 획득, 분석, 대응을 수행하는 재난 감시 및 대응 플랫폼의 세부 기능들에 대해서 소개하고, 재난 인지에 핵심요소 기술인 Deep Learning 기반의 산불 영상 분석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Deep Learning 기반 재난 영상 분석은 과거로부터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재난이 촬영된 영상 정보를 사전에 미리 학습함으로써, 새롭게 획득한 재난 영상에 대한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제안하는 산불 영상 분석 알고리즘에 대한 실험 결과를 확인하여 제안하는 기법의 성능을 검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