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중격차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5초

노년기 정보격차의 메카니즘, 특징 및 시사점에 관하여 (Discussions on Mechanisms, Features and Implications of the Digital Divide in Old Age)

  • 김영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46-262
    • /
    • 2015
  • 노년기 정보격차는 정보화와 고령화로 특징되는 현대사회에서 노인 개인적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문제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노년기 정보격차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논의가 미흡한 실정임을 고려하여, 노년기 정보격차에 대한 이론적인 접근과 논의들을 종합적으로 탐색하여 개념적 이해를 확장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지식격차가설, 정보격차가설, 혁신확산이론 및 정치경제학 등 네 가지 이론을 통해 정보격차의 일반적 메카니즘을 고찰한다. 둘째, 구조기능주의적 접근, 갈등이론적 접근 및 상호작용론적 접근 등 다양한 이론적 시각들을 통해 노년기 정보격차를 설명한다. 셋째, 노년기 정보격차 현상과 특징에 대하여 정보복지격차 등 다섯 가지 개념적 설명과 정의들에 대해서 살펴본다. 노년기 정보격차는 다중적이고 복합적이므로 이에 대해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또한 노인 개인적 안녕과 사회적 불평등 측면에서 노년기 정보격차 해소에 더 많은 학문적, 실천적 관심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사회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정보격차의 다원모형분석 (A Multivariate Analysis of Changing Information Gaps in Korea)

  • 심상완;김정석
    • 한국인구학
    • /
    • 제24권2호
    • /
    • pp.235-253
    • /
    • 2001
  • 정보격차현상은 정보화 혹은 정보사회로의 진입과 더불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상하리라 예측되고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사회적 관심들이 적지 않다. 그러나 정보 격차 현황과 추이를 파악하려는 대부분의 연구들은 기술적 분석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들에서 정보격차 배경변인으로 알려진 거주지역, 성, 연령, 교육수준 및 가구소득 등의 상대적 영향력과 이들 변인에 따른 정보격차가 지난 몇 년간 심화, 지속 혹은 완화되었는지를 파악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정보문화센터가 실시한 <1998년도 국민정보화인식 및 정보생화실태조사>와 <2000년도 정보생활 실태 및 정보화인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컴퓨터와 인터넷 이용여부에 대한 다중로짓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998-2000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에 컴퓨터와 인터넷 사용에서의 남녀간 격차는 다소 줄어들었으나, 대부분의 사회집단간 격차는 지속되거나 증가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점차 가속되는 정보화과정에서 이러한 사회경제적 인구학적 배경변인에 따른 정보격차는 사회통합과 발전에 중요한 걸림돌로 등장하며, 그에 따른 사회적 정책적 대응이 요구된다.

  • PDF

여성의 경제생활 위험인식이 출산 격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Women's Economic Risk Perception on the Fertility Gap)

  • 정윤태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2호
    • /
    • pp.219-241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경제생활 위험인식이 출산 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여성이 체감하는 실업 빈곤의 위험, 주거불안의 위험, 금융불안의 위험, 경기침체 불안의 위험 등 경제생활 위험이 실제 출산한 자녀의 수와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자녀의 수의 차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2014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경제생활 위험의 발생 가능성을 심각하게 인식하는 여성일수록 출산한 자녀의 수가 적은 반면 출산 격차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다문화가정 초중등학생을 위한 정보격차해소 방안 연구 (A Study on Bridging the Digital Divide of K-12 Students of Multicultural Background)

  • 이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41-51
    • /
    • 2009
  • 본 연구는 국제결혼 자녀, 외국인노동자 자녀 등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화를 통해 다문화가정에서 성장하고 있는 초중등학생들의 학교생활 및 사회 적응도를 높이고 학업성취도를 향상 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의 실태에 대한 다양한 정책자료 및 관련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심층적인 문헌 분석을 통해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당면한 교육적 문제점을 정리한 후 정보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정책 개선 방안으로 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해 개인별 정보 인프라 제공 대신 다중 활용 공간에 대한 인프라 지원을 제시하였으며, 정보 활용 방법으로서 교육환경 자체가 정보격차 해소에 도움을 주는 이러닝 서비스의 확대, 정보격차 해소 교육을 위한 교원 및 학부모의 교육역량 강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치과위생사의 기대업무와 수행업무 격차가 이직의도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p between Expected Job and Performed Job on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Dental Hygienists)

  • 최하나;배현숙;조영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63-469
    • /
    • 2011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기대업무 수준과 수행업무 수준의 차이가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655명을 편의추출하여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612명이 회신하였다. 이 가운데 이직경험이 없는 치과위생사 295명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진료보조업무, 예방업무, 상담업무, 접수업무 등 네 가지 업무영역별로 기대업무 수준과 수행업무 수준의 격차를 측정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기대업무와 수행업무 격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정과 일원분산분석(ANOVA)를 수행하였다.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령과 근무경력에 따라 진료보조업무의 기대-수행업무 격차(p<0.01)와 접수업무의 기대-수행업무 격차(p<0.05)가 나타났다. 또한 연령, 근무경력, 학력에 따라 상담업무의 기대-수행업무 격차가 나타났다(p<0.01). 예방업무의 기대-수행업무 격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료보조업무(${\beta}$=0.163, t=3.102, p=0.002), 급여만족도(${\beta}$=0.538, t=10.788, p=0.000), 월차유무(${\beta}$=0.115, t=2.244, p=0.026)로 나타났다. 모형의 결정계수($R^2$)는 0.608로써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12.162, p=0.000). 3.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녀유무(${\beta}$=-0.254, t=-2.711, p=0.007), 진료보조업무 격차(${\beta}$=-0.186, t=-3.162, p=0.002), 급여만족도(${\beta}$=-0.313, t=-5.623, p=0.000)로 나타났다. 모형의 결정계수($R^2$)는 0.466으로써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5.749, p=0.000). 결론적으로, 급여만족도와 진료보조업무격차가 이직의도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월차유무는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나 이직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코로나-19 확산 시기별 디지털 격차: 모바일 인터넷 이용량 증가를 중심으로 (Digital Divide in the Era of COVID-19: Focused on the Usage of the Mobile Internet)

  • 김현정;김범수;김미예
    • 지식경영연구
    • /
    • 제25권1호
    • /
    • pp.193-215
    • /
    • 2024
  • 본 연구는 코로나-19시기에 따라 디지털로의 변화가 요구되는 시대 속에서 디지털 격차를 일으키는 주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한다. 이를 통해, 디지털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2020년과 2021년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실시한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두 해의 데이터 분석에서 일관되게 신뢰성과 타당성 기준을 충족한 항목을 사용하여 연구모델을 구축하였다. 연구 방법은 SmartPLS 4를 분석 도구로 사용하여 PLS-SEM 및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0년과 2021년을 통합한 코로나-19 시기의 모바일 인터넷 이용량은 디지털 역량, 활용, 사회참여를 제외한 활용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 활용의 영향은 코로나-19 시작 시기보다 확산 시기에 큰 폭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코로나 확산이 지속되면서 디지털 활용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였고, 그에 따라 인터넷 이용 증가도 같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코로나-19 확산 시기에 따른 모바일 인터넷 이용량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인구통계요인이기보다는 앞서 검증한 디지털 활용 변수가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 개발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하였다. 특히, 모바일 인터넷 이용량 증가에는 디지털 활용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디지털 서비스 이용자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구성 시 디지털 활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한다.

교육환경과 주택가격 간 관계와 사회공간적 격차에 대한 함의 -서울시의 사례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Housing Prices And Its Implication For Socio-spatial Inequality: The Case of Seoul, Korea)

  • 하영주;이원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6-98
    • /
    • 2013
  • 본 연구는 교육환경이 형성하는 주택가격에 관한 문제를 사회공간적 격차(양극화)의 문제와 연관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즉 본 연구는 공적인 특성과 기능을 가진 교육환경이 주택가격 결정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주택가치의 사유화되는 과정 속에서 사회적인 격차를 초래한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서울시 사례를 통하여 교육환경으로 인한 부동산 가치의 결정, 그에 따른 소득(자산)의 공간적 격차 심화가 일어나는 현상을 거시적으로 확인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의 핵심주제인 교육환경으로 인한 주택 가격의 결정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세부 요인들을 양천구를 사례로 실증분석 하였다. 결과적으로 공간적 스케일에 따라 모두 교육환경, 주택가격 및 사회적 격차는 상관관계를 가진 분포패턴을 분명히 보이고 있으며, 아울러 세부 실증분석에서도 교육환경이 주택상품 그 자체의 물리적 특성에 못지않게 가격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결국 교육환경과 교육성과 및 소득격차 간 연계성을 사회적으로만 다루는 것이 아니라 공간적으로 다루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게 된다. 아울러 기존 주택부문 연구에서도 단지 주택가격 결정이 기술적인 연구가 아니라 사회공간적 격차와 관련된 사회과학적 이슈로도 다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내용 자체의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시론적이며 기초적인 연구로서 향후 더 많은 관련 연구의 출발점으로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 PDF

다중센서 데이터 융합에서 이벤트 발생 빈도기반 가중치 부여 (Multi-sensor Data Fusion Using Weighting Method based on Event Frequency)

  • 서동혁;유창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581-587
    • /
    • 2011
  • 무선센서네트워크는 높은 수준의 상황정보를 추론할 수 있기 위해 이질적인 다중센서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다중센서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상황 정보추론에 활용할 때 다중센서 데이터 융합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Dempster-Shafer의 증거이론에 입각하여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융합할 때 센서별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센서별 이벤트 발생빈도수를 기준으로 하였는데, 센서별 이벤트 발생 빈도수는 해당 센서가 입수한 상황데이터의 가중치를 계산하는데 반영해야 할 요소이다. 센서별 이벤트 발생빈도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계산하였으며 이 가중치를 부여하여 다중센서 데이터 융합하였을 때 신뢰도가 더욱 뚜렷한 격차를 보이게 함으로써 상황정보를 추론함에 있어서 용이할 수 있었다.

실외노동과 보상적 임금격차: 지역별·분위별 추이 (Outdoor Workers and Compensating Wage Differentials: A Comparison across Regions and Wage Levels)

  • 정상윤;송창현;김연우;임업
    • 지역연구
    • /
    • 제38권2호
    • /
    • pp.3-20
    • /
    • 2022
  • 본 연구는 폭염 등 기후변화의 영향에 가장 취약할 수 있는 실외근로자에 초점을 맞춰 실외노동에 대한 보상적 임금격차가 지역별 그리고 분위별로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 개인 수준의 일반 특성과 작업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근로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Oaxaca-Blinder 분해, 무조건분위회귀 분석, 권역별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임금 결정요인의 경우 자원효과와 가격효과가 실내근로자에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력과 성별 특성의 경우 실외근로자의 임금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금 분위가 높을수록 실외근로자에 대한 금전적 보상이 커지며, 하위 분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보상적 임금격차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전국적으로 실외근로자에 대한 보상적 임금격차는 2.4%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권역에 따라 보상적 임금격차의 크기에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실외노동에 대한 보상적 임금격차의 지역별 및 분위별 이질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정보화에 따른 국토공간변화 전망 (Prospects of Territorial Changes Resulting From Informatization Processes : Results of a Survey to Professionals)

  • 주성재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권1_2호
    • /
    • pp.169-182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에 따라 국토공간구조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에 대하여 국토정책전문가, 정보화정책전문가, 그리고 인터넷이용자에 대해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정리하고 그 의미를 찾고자 한다. 종합적으로 볼 때 서울의 기능과 역할이 강화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으며 정보화의 확산정도에 따라 인구분산 내지 집중의 반전을 어느 정도 가능할 것으로 보여진다. 대도시의 외연적 확산은 어느 정도 한계를 가질 것으로 전망되며 도시내부구조는 제한된 기능적 분화와 다중심지의 출현이 전망된다. 지역의 발전잠재력 실현과 관련한 정보학 정책의 추진 등을 고려할 때 정보화는 지역간 균형발전에 기여할 기회가 보다 나은 것으로 전망한다. 전반적으로 정보화의 영향에 대하여 국토전문가보다는 정보전문가가 긍정적인 효과(지방으로의 분산, 지역격차의 해소 등)를 전망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