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문화 태도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8초

대학생의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다문화 수용적 행동: 계획된 행동이론의 수정모형 검증을 중심으로 (The factors influencing multicultural receptive behavior on immigrant wives of international marriage)

  • 김금미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 /
    • 제15권2호
    • /
    • pp.259-283
    • /
    • 2010
  • 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적 행동의도와 행동을 구분하고 예측하기위하여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계획된 행동이론(Ajzen, 1991)을 검증하고, 이에 사회정체성이론(Tajfel, 1982)에 근거한 한국인집단정체성 및 고정관념과 편견이 포함된 모형의 유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505명을 대상으로 결혼이주여성에 대하여 다문화 수용적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한국인집단정체성, 고정관념, 및 편견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먼저 계획된 행동이론에 의해서 다문화 수용적 행동의도의 47.4%가 설명되었고, 다문화 수용적 행동은 61.1%가 설명되었다. 이어서 한국인집단정체성을 추가하고, 고정관념, 편견을 더하여 다문화 수용적 행동의도의 51.8%, 행동의 65.9%가 설명되었다. 전체 모형에서 한국인집단정체성의 영향은 대체로 약했고, 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고정관념은 행동의도 다음으로 중요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문화 수용적 행동의도와 행동을 높이는데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력, 고정관념 및 편견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관적 규범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논의를 비롯하여 이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앞으로 연구 과제도 논의하였다.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n Academic Adaptation :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 Park, Hwiese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265-27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의 학업적응 변화양상을 확인하고 이중문화수용태도, 자아존중감이 학업적응 변화에 미치는 영향의 종단변화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문화청소년 패널 조사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 이중문화수용태도, 학업적응, 자아존중감은 각각의 선형변화모형을 통해 3년간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다변량잠재성장모형을 통한 이중문화수용태도와 학업적응 간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변수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도를 높이기 위해 이중문화수용태도와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대전지역 중학생의 다문화가정생활문화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효능감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Family Life Culture and Multicultural 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jeon)

  • 이명희;김정현;송진숙;문희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2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다문화가정생활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다문화효능감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전지역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다문화가정생활문화 인식의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과 가정의 월수입에 따라 다문화적 태도의 다문화적 태도의 하위변인인 관계존중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학년이 높을수록 다문화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며 다문화인과의 관계를 존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다문화적 태도가 긍정적이고 다문화에 대한 열린자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어머니의 교육수준은 다문화가정생활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대전시 중학생의 다문화가정생활문화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효능감 사이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청소년기에 있는 중학생들의 다문화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문화가정생활문화 인식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 태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n Depression of Multicultural Adolscent: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 유혜영;백진아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0호
    • /
    • pp.113-12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패널(MAPS) 8차년도(2018)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1,158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Process Macro Model과 Bootstrapping 등의 분석방법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긍정적인 이중문화수용태도는 사회적 위축과 우울감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위축은 우울감을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중문화수용태도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의 우울을 낮추고 사회적 위축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간호 대학생의 다문화에 대한 지식과 결혼이민 여성에 대한 태도 (Knowledge about Multicultural and Attitude toward Migrant Wives by Nursing Students)

  • 최성남;정은영;공정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1권1호
    • /
    • pp.27-40
    • /
    • 2016
  • 본 연구는 미래 결혼이민 여성의 간호를 담당할 간호 대학생들의 다문화에 대한 지식과 결혼이민 여성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그들의 태도를 확인하고, 다문화에 대한 지식과 결혼이민 여성에 대한 태도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병원에 임상실습을 한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전라남도, 경기도,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간호 대학생의 다문화에 대한 지식은 13점 만점에 8.10점(${\pm}2.01$)으로 이를 100점으로 환산하면 62.4점 높게 나타났으며, 결혼이민 여성에 대한 태도는 전체 문항 평균이 5점 만점에 2.45점(${\pm}0.46$)으로 나타났으며, 하부영역별로 편견이 가장 낮았으며, 관심도, 신뢰도, 영향력, 배타감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문화에 대한 지식은 연령이 유의한 인자로 나타났으며 결혼이민 여성에 대한 태도는 연령, 거주 지역, 해외여행 경험 유무와 해외 체류경험 정도가 유의한 인자로 나타났다. 다문화에 대한 지식과 결혼이민 여성에 대한 태도는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하부영역별로 신뢰성, 관심도, 수용, 영향력은 정적 상관관계, 배타감은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간호 대학생의 결혼이민 여성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외국어 능력을 함양하고 지속적으로 다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안을 제언함으로써 실질적이며 효과적인 교육내용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본 연구 결과만으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연구대상 및 지역을 확대한 반복 연구 진행을 제언한다.

다문화청소년의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교생활적응과 진로태도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Depression on Their Life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s of School Adjustment and Career Attitude)

  • 박순진;백진아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139-15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살펴보고 우울감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학교생활적응과 진로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MAPS) 7차(2017)년도 데이터에서 1,079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구조방정식과 Bootstapping 등의 분석방법을 통해서 검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우울감은 삶의 만족도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의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생활적응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진로태도는 다문화청소년의 우울감과 삶의 만족도 간에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 수립과 실천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다문화 가정 부모의 성 역할태도가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ent's Sex-role Attitude on Parent-child Relationship in Multicultural Families)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71-179
    • /
    • 2017
  • 이 연구는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와 아버지의 성 역할태도가 부모-자녀관계의 질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서술적 인과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부모의 커플자료 분석을 위해 여성가족부의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대상 중 만 5세 이하 자녀를 두고,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인 남성으로 구성된 5,531쌍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0.0과 AMOS 20.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모형 검증 방법에 기초한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성 역할태도가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자기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평등한 성 역할태도를 가질수록 긍정적인 부모-자녀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과 간 크기 비교 결과, 어머니보다는 아버지의 경우 성 역할 태도가 부모-자녀관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아버지의 성 역할태도는 어머니-자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방효과가 있는 반면, 어머니의 성 역할태도가 아버지-자녀관계에 미치는 상대방효과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상대방효과 보다는 자기효과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배우자의 성 역할태도 보다는 자신의 성 역할태도가 부모-자녀관계에 더 큰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는 다문화 가정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부모 교육 시 평등한 성 역할태도 교육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특히 본 연구는 아버지의 경우에도 평등한 성 역할태도가 긍정적 자녀관계를 촉진할 수 있다는 경험과학적 증거를 확인했다는 의의가 있다.

다문화 가족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부 관련 변인 (Factors of The Married Couple Influencing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ulticultural Family Husband)

  • 강기정;변미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3권3호
    • /
    • pp.123-13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arital satisfaction of husbands in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the policies and services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i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method from 99 multicultural couples. Analysis of the data consisted of t-tests to compare the psychological characters of the couple and multiple regression to analyze the independent effects of the related variable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lf-esteem, depression,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a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wife than for the husband. Second, regarding the influence of the relevant factors on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include the gap in the couple's ages, the husband's self-esteem and sex role attitude, and the wife's sex role attitude, godi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 PDF

국민정체성과 다문화태도의 관계-한·중·일 대학생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Identity and Attitudes towards Immigrants - A Comparison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 김현숙;최송식;김희재
    • 국제지역연구
    • /
    • 제15권2호
    • /
    • pp.141-168
    • /
    • 2011
  • 한·중·일 대학생의 국민정체성과 다문화태도의 관계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가 조사한 "한·중·일 대학생의 다문화태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Scheffe 사후검정, 구조방정식 모델링, 다집단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국 대학생은 혈통적 정체성과 시민적 정체성 모두 비교 국가 대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대학생은 혈통적 정체성이, 일본 대학생은 시민적 정체성이 비교 국가 대학생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태도의 경우 한국 대학생들은 일자리, 경제 기여 등에서, 중국 대학생들은 사회문제, 외국 집단 거주 등에서, 일본 대학생들은 혈통훼손, 세금 증가 등에서 비교 국가 대학생보다 인지된 위협 수준이 높았다. 셋째, 국민정체성 각 하위 요인은 다문화태도에 각각 독립적이기보다는 상호 영향관계 속에서 다문화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융합연구 (A Convergent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s' Mental Health of Multicultural Family)

  • 김민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89-197
    • /
    • 2018
  •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중 우울과 사회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건강증진 프로그램개발 및 정책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211명의 다문화 가정 청소년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 방법으로 수집되었으며 자료분석은 SPSS 23. 프로그램에 의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스트레스, 진로성숙도와 부모의 권위주의적 양육태도가 우울에 중요한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사회적 부적응에는 스트레스, 권위주의적인 양육태도가 부정적 영향을, 탄력성, 진로성숙도와 문화다양성 태도, 개방적 의사소통과 부모의 지지가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청소년에 대한 이해와 우울과 사회부적응 등 정신건강을 위한 개입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