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actors influencing multicultural receptive behavior on immigrant wives of international marriage

대학생의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다문화 수용적 행동: 계획된 행동이론의 수정모형 검증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0.05.10
  • Accepted : 2010.06.25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in explaining multicultural receptive behavior intention as well as multicultural receptive behavior, i.e., test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Ajzen, 1991), to investigate the role of Korean social identity in the prediction of multicultural receptive behavior, and to investigate the role of stereotype and prejudice(i.e. attitude about object) in the prediction of multicultural receptive behavior. A sample of 505 undergraduat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from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the multicultural receptive intention was explained 47.4% by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while multicultural receptive behavior was explained 61.1% by this theory. When the Korean social identity, stereotype and prejudice were added into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variance was increased to 51.8% for multicultural receptive intention and 65.9% for multicultural receptive behavior. Furthermore, the influence of the Korean social identity on multicultural receptive intention/behavior was weak, but the influence of the stereotype on multicultural receptive behavior was strong.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the future directions of this area were discussed.

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적 행동의도와 행동을 구분하고 예측하기위하여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계획된 행동이론(Ajzen, 1991)을 검증하고, 이에 사회정체성이론(Tajfel, 1982)에 근거한 한국인집단정체성 및 고정관념과 편견이 포함된 모형의 유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505명을 대상으로 결혼이주여성에 대하여 다문화 수용적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한국인집단정체성, 고정관념, 및 편견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먼저 계획된 행동이론에 의해서 다문화 수용적 행동의도의 47.4%가 설명되었고, 다문화 수용적 행동은 61.1%가 설명되었다. 이어서 한국인집단정체성을 추가하고, 고정관념, 편견을 더하여 다문화 수용적 행동의도의 51.8%, 행동의 65.9%가 설명되었다. 전체 모형에서 한국인집단정체성의 영향은 대체로 약했고, 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고정관념은 행동의도 다음으로 중요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문화 수용적 행동의도와 행동을 높이는데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력, 고정관념 및 편견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관적 규범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논의를 비롯하여 이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앞으로 연구 과제도 논의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9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과제번 호: KRF-2009-353-H00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