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촌주거

Search Result 28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Rural Housing and Housing Environment (농촌주택의 분석 및 농촌 주거 현황 연구)

  • Kim, Jin-Hy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7.11a
    • /
    • pp.422-425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1960년대 이후 농촌의 주거 환경을 농가 인구와 연령 비율 그리고 경지 면적의 변화를 조사하여 이와 함께 농촌 주택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문헌 조사를 통해 분석해 보았다. 농촌의 주거 요구는 도시의 그것과는 많은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농촌의 현실에 맞는 주거 모델은 아직 부족한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Satisfaction with Housing , Community , and Living Environment - Comparison among Urban , Rural , and Fishing Village Residents - (지역별 주거만족도와 생활환경 만족도 - 도시 , 농촌, 어촌 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

  • 정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6 no.2
    • /
    • pp.113-121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도시, 농촌, 어촌지역 주민들의 주거만족도와 지역사회 및 생활환경 만족도를 비교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특성은 지역을 하나의 통제변인으로 분석에 포함시켜 제변인들의 영향력의 방향과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는 점이다. 자료는 1993년 6월 부터 1994년 6월 동안 488명의 주부를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 대구에 거주하는 주부 254명과 경북권내의 영천과 청도 등의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주부 124명, 그리고 한산도 섬내에 거주하는 주부 110명을 대상으로 각 가정을 방문하여 면접법을 실행하였다. 회귀분석을 실행한 결과,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주거비와 주거소유형태였으며,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와 생활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주거만족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을 고려할 때, 도시거주자의 주거만족도가 농촌이나 어촌거주자의 주거만족도 보다 높은 반면 지역사회에 대한 만족도와 생활환경 만족도는 농촌거주자와 어촌거주자가 도시거주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을 고려한 주거정책 관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Performance Review and Revitalizing Support Plans for Rural Residence though Current Status Survey (현황조사를 통한 농촌주거의 성능검토 및 재생지원방안)

  • Park, Junmo;Kim, Okkyue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6 no.2
    • /
    • pp.3-11
    • /
    • 2015
  • The urban has been improved houses and facilities as accelerating industry and society, while the rural area was inferior to the city. Furthermore, there was not a maintenance in time as ageing, and did not expect to rebuilding of using proper techniques and materials for financial reasons. This study find a way to make a revitalizing plan for appropriate real state. For this, perform a current status survey that 900 rural residences of 36 rural villages in Chungcheong area. As a result, Korean traditional structure is a half in residential type, and has poor residential conditions by comparison with western pattern. The structural type comprises two type that a pure structure and a mixed structure, and Korean traditional structure is a mixed structure more than a pure structure. It is considered continuous changes by a resident due to a pure structure was not satisfy various functions. It need appropriate plan to improve a rural residence for each characteristics.

A Study on Rural Housing and Housing Environment (농촌 주거 현황과 농촌주택에 관한 연구)

  • Kim, Jin-Hy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11a
    • /
    • pp.121-124
    • /
    • 2008
  • 1960년대 이후 농촌의 주거 환경을 농가 인구와 연령 비율 그리고 경지 면적의 변화를 조사하여 이와 함께 농촌 주택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문헌 조사를 통해 분석해 보았다. 농촌의 현실에 맞는 주거 모델은 아직 부족한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농촌 주택은 농어촌 인구의 변화등 사회적 변화에 따라 그 요구가 시대별로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Temporary Housing for the Displaced People in Rural Area Emergencies (농촌지역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지정 현황 및 개선 방안)

  • Lim, Changsu;Lee, Seung-chul;Kim, Eun-Ja;Park, Mi-Ju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3 no.4
    • /
    • pp.413-421
    • /
    • 2017
  • This study intends to conduct a thorough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designated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ster victims in order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ster victims in country and city, and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designated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ster victims in rural and urban areas. As a result, the designated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ster victims in urban areas are bigger and have higher capacity, implying the necessity to designate facilities in rural areas that can accommodate larger number of people. As to the analysis of the representative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ster victims in rural areas, different regions had different types of designated facilities and the number of facilities also showed big difference depending on regions. So it is believed that local governments should improve the process and system of designating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ster victims.

The Research on the Kitchen Spatial Structure in the Rural China Korean Ethnic Group and Their Cooking and Dietary Way - Concentrating on the Countryside of China Korean Ethnic Group in the Three Provinces of NortheastChina - (조선족 농촌주거의 부엌공간의 형태와 취사 및 식사방식 - 중국 동북3성 각 지역의 조선족 농촌주거에 대한 조사연구를 중심으로 -)

  • Jin, Ri-Xue;Park, Yo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21 no.1
    • /
    • pp.11-21
    • /
    • 2010
  • The house of the China Korean ethnic group in the countryside, kitche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ooms, which works for cooking, warming, and storage. Besides, it has some complementary functions such as washing and showering.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kitchen is divided into three types, 'jeongji', 'walkway' and 'independent' one. Those houses which are near Korea peninsula mainly belong to the 'jeongji' type; whereas those houses which are in the inland of Jilin, Heilongjiang and Liaoning Provinces mainly are 'walkway' and 'independent' types. The main constituents of the kitchen include pots and pans, water supply and sewerage, fuel and storage etc. The differences among these constituents lead to the geographic differences in the aspect of cooking method and dietary culture, and finally the different kitchen spatial characters are manifested.

농촌생활지표에 관한 조사 연구 - 교육 및 교양부문을 중심으로 -

  • 조영숙;이한기;박은식;고정숙;조록환;황대용;강경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3.11a
    • /
    • pp.160-161
    • /
    • 2003
  • 농촌생활 전반에 대한 생활수준 진단과 농촌주민들의 의식과 욕구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미래 농촌생활의 모습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종합적인 지표 및 표준화된 실태에 관한 통계자료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 생산되고 있는 공식통계 중 농촌생활을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는 자료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농촌생활연구소에서는 1994년 농촌생활지표를 인구 및 사회, 식생활, 건강생활, 주거 및 환경, 가정경제, 교육 및 교양, 여가생활, 가족생활 등 8개 부문을 기본틀로 하여 1994년, 1999년 두 차례에 걸쳐 $\boxDr$농촌생활지표$\boxUl$ 집을 발간한 바 있고, 2000년부터는 이들 지표 중 기존 통계자료 이용이 불가능한 82종의 지표항목에 대해 3년 주기로 직접조사를 통해서 자료를 생산하게 되었다. 여기서는 2002년에 조사한 주거 및 환경. 가정경제, 교육 및 교양부문 중, 교육 및 교양부문의 조사결과를 제시 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