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선족 농촌주거의 부엌공간의 형태와 취사 및 식사방식 - 중국 동북3성 각 지역의 조선족 농촌주거에 대한 조사연구를 중심으로 -

The Research on the Kitchen Spatial Structure in the Rural China Korean Ethnic Group and Their Cooking and Dietary Way - Concentrating on the Countryside of China Korean Ethnic Group in the Three Provinces of NortheastChina -

  • 김일학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
  • 박용환 (한양대학교 건축대학)
  • 발행 : 2010.02.25

초록

The house of the China Korean ethnic group in the countryside, kitche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ooms, which works for cooking, warming, and storage. Besides, it has some complementary functions such as washing and showering.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kitchen is divided into three types, 'jeongji', 'walkway' and 'independent' one. Those houses which are near Korea peninsula mainly belong to the 'jeongji' type; whereas those houses which are in the inland of Jilin, Heilongjiang and Liaoning Provinces mainly are 'walkway' and 'independent' types. The main constituents of the kitchen include pots and pans, water supply and sewerage, fuel and storage etc. The differences among these constituents lead to the geographic differences in the aspect of cooking method and dietary culture, and finally the different kitchen spatial characters are manifes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고도임.최형선.박경난(1998), 중국 연변 조선족 전통농가의 변용에 관한 연구-개조와 증축을 중심으로-, 생활과학연구논집, 18(1), 45-69.
  2. 국립민속박물관(1996), 중국 길림성 한인동포의 생활문화, 국립민속박물관.
  3. 국립민속박물관(1997), 중국 요녕성 한인동포의 생활문화, 국립민속박물관.
  4. 국립민속박물관(1998), 중국 흑룡강성 한인동포의 생활문화, 국립민속박물관.
  5. 김준봉(2000), 중국 동북지역 한인동포(조선족) 전통민가 평면의 분류와 특성, 충북대학교 박사논문.
  6. 박경휘(1994), 조선족의 의식주 생활풍습, 잡문당.
  7. 심혜숙(1994), 중국조선족의 취락지명과 인구분포, 연변대학출판사.
  8. 울산대학교 건축연구소(1994), 증국 동북지방 조선족 취락 및 주거에 관한 조사연구-장재촌, 울산대학교 출판부.
  9. 양승정(1997), 중국 조선족 농촌주거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길림성 용흥촌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10. 주성화(2007), 중국조선인 이주사, 한국학술정보(주).
  11. 李恩鄕(2006), 異文化との接觸における食の變容, 國際開發硏究フォ一ラム(31), 139-159.
  12. 矢崎高儀(1944), 滿洲の住宅とその生活, 國民會報社大連出 版部.
  13. 三橋俊雄, 張靑蘭, 趙岩(2003), 中國朝鮮族における台所道 具文化の容, デザイン學硏究, 硏究發表大會槪要集,(50), 218-219.

피인용 문헌

  1. A Research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Farmhouses of Ethnic Korean Chinese Origined From Ham-kyeong do vol.27, pp.1, 2016, https://doi.org/10.6107/JKHA.2016.27.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