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녹색건축물인증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7초

녹색건축물 디자인가이드라인과 녹색건축 인증 비교를 통한 외피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 공공기관 지방이전 건축물을 중심으로 - (Comparison of the Building Envelope Design Elements between Green Building Design Guidelines and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 Focus on public institution relocation projects -)

  • 김소영;황성필;오준걸
    • KIEAE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61-68
    • /
    • 2014
  • Due to rapid climate changing and the need for energy conservation, environment friendly initiatives have emerged, and regulations to support establishment of green structures in construction have been legislated and enacted. In this study, the supporting of green build method act for rapid climate change and energy conservation. Using green build method, protecting surrounding ecosystem and developing green building continuously, I suggest alternative for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Identifies Envelope Design Elements among various construction Green Building Design Guidelines. Green buildings that we extract the Green Building envelope design from Design Guideline, select the object building through the green buildings examples of public institution relocation projects. Since then analyzes the planned schematic design and Green Envelope Design Elements and Green Building Certification(G-SEED). So, that future directions for planning correlation of Green Building and Design Guidelines about Green Design Elements Can be presented.

미국의 LEED와 한국의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의 비교 연구 -학교시설 사례분석을 통한- (A Study on Comparison between Korea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and LEED by School Cases)

  • 이승민;이상민;맹준호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0권2호
    • /
    • pp.30-4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items an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spread of Korea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KGBCC) by comparing items and school cases of KGBCC with those of LEED 2.1. LEED 2.1 is concentrating on 'Energy' and 'Indoor Air Quality' and KGBCC is relatively showing even distribution. And LEED 2.1 is not evaluate 'Ecology' that is important to us. And school cases of KGBCC and LEED 2.1 obtained similar scores by field or those of KGBCC obtained more scores. Domestic buildings need to ontain certification by KGBCC considering domestic situation. Also we need to lead activating of KGBCC through incentive programs.

기존 건축물의 녹색건축인증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Direction of G-SEED for Existing Buildings)

  • 현은미;이재은;안광호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4권5호
    • /
    • pp.59-67
    • /
    • 2018
  • G-SEED's evaluation of existing buildings is an important point because the energy consumption and CO2 emissions of existing building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due to the aging of buildings over time. However, as G-SEED certification is concentrated on new buildings and the standards are not yet available, we will make improvements to evaluate the existing buildings of G-SEED. In order to improve G-SEED for EB, two research procedures were carried out. First, LEED EBOM and LEED for NC compare and analyze evaluation items and methods, and LEED EBOM focuses on evaluation of existing buildings. Second, we analyzed the certification evaluation contents of eight domestic LEED EBOM accredited buildings and obtained items that can be applied or need to be applied when revising G-SEED for EB. LEED EBOM is focused on improving the performance and utilization of data that track and manage the energy and environmental effects of building operations.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the evaluation of G-SEED for EB requires quantitative evaluation items such as environmental management of buildings, energy performance status of building, improvement plan and improvement of performance according to tracking value. Although G-SEED for EB is not structured yet and there are few cases of certification, it is expected that quantitative evaluation of existing buildings will be made through continuous research.

녹색건축인증제(G-SEED)에 따른 한옥의 친환경 요소 평가에 관한 기초연구 -구례 운조루와 진원당을 중심으로- (A basic study on the Eco-friendly elements evaluation of Hanok according to G-SEED -Focus on the Unjoru and Jinwondang-)

  • 최형석;김학래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9-1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age of eco-friendly elements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o evaluate Hanok(Unjoru and Jinwondang) according to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G-SE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Unjoru and Jinwondang was not enough to obtain certification points. From Site usage and Traffic category, Jinwondang gets more points than Unjoru. It's because Jinwondang is located in downtown Seoul, so it gets more points of traffic and neighborhood facility. From Energy and Environmental Pollution category, Jinwondang gets more points of energy performance than Unjoru, too. It's because Jinwondang secured insulation performance of wall and windows using insulator and glass. From Resources category, Unjoru gets more points than Jinwondang. It shows that modern Hanok was limited using natural resources. From Ecological Environments category, Jinwondang is located urban area, it's difficult to secure the open space, so Unjoru gets more points than Jinwondang. If Modern Honok installs a system that can getting point and secure insulation performance, it will be certificated according to G-SEED.

공공사옥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향상을 위한 개선기법 및 사례 (A Improvement of Energy Efficient Ratings for Public Buildings)

  • 정한상;변일환;김우용;정경원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2097-2098
    • /
    • 2011
  • 한국수자원공사 전북지역본부는 2009년 1월 전북 전주시 여의동에 본부신축공사를 착공하였다. 같은 해 12월 정부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해 신축 공공청사 건축물에너지효율 1등급 취득 의무화 제도를 시행하여 2010년 1월부터 신축되는 모든 공공청사는 건물에너지효율 1등급 취득이 의무화 되었다. 전북지역본부와 같이 진행중인 건축물에 대해서는 강제성은 없고 에너지효율 향상을 위한 제반 조치 마련토록 권고하였다. 그러나 전북지역본부는 정부정책과 공사 이미지 제고를 위해 진행중인 공사에 대해 건축물 에너지효율인증등급 향상을 위한 개선 방안을 수립하고 설계변경을 통해 결국 1등급 인증을 획득하였다.

  • PDF

Special Interview - 건축물의 미학을 다시 쓰다

  • 에너지절약전문기업협회
    • ESCO지
    • /
    • 통권70호
    • /
    • pp.40-43
    • /
    • 2011
  • 이제 하나의 건축물을 짓는다는 것은 단순히 건물을 짓는다는 개념을 넘어 지구환경을 생각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일이 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발맞춰 미국에서 시작된 녹색건물인증제도인 LEED가 국내에도 서서히 그 이름을 알리고 있다. 자연과 공존할 수 있는 생활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커지는 시점에서 한국 LEED 연구소 브래드 박 소장은 친환경 건축에 대한 자신의 소신을 들려주었다. 앞으로 변화될 국내 친환경 건축 시장과 LEED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브래드 박 소장의 얘기를 들어보기로 한다.

  • PDF

G-SEED 인증 건축물과 비인증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량 특성에 관한 연구 : 업무시설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Comparison for Energy Consumption Characteristics between G-SEED certified and non-certified Office Buildings in Korea)

  • 김종현;김진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33-43
    • /
    • 2019
  •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계 각국은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건물부문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25%를 차지하며, 향후 40%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는 만큼 정부는 에너지 절감 계획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여 추진 중이다. 건물부문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녹색건축인증제도 시행을 통해 보다 에너지 절감형 건축물 설계와 시공을 유도하고 있다. 본 연구는 G-SEED 인증 건축물과 비인증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량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에 대한 분석과 결과를 바탕으로 현행 제도의 실효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G-SEED 제도의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인증 업무시설 135동과 비인증 업무시설 142동을 대상으로 건축물 정보와 에너지 소비량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인증 업무시설은 비인증 업무시설에 비해 연간 50% 이상의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은 난방 도일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승인연도가 높을수록 인증 업무시설의 에너지 소비량은 감소하며, 비인증 업무시설은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규모와 인증등급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은 상관관계가 미미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이상의 분석을 통하여 G-SEED 인증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또한 건축물의 에너지성능 기준이 강화되는 추세를 감안하여, 분야별 점수를 공개적인 자료로 전환하는 것을 제시한다.

녹색건축물인증제도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학교시설 용도구분 개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s for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focused on the school use classification-)

  • 이재옥;맹준호;이상민;이승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1권2호
    • /
    • pp.28-3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of School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by comparing items of domestic system with those of foreign system. Especially, we focused on school use classification. Use classification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must be based on Building Codes and reflect the nature of building use and size. School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 preschool, school(elementary, junior high school, high school), university and ect. Also they must be set up assessment method reflecting the nature of school use and size.

녹색건축 인증제도의 신·재생에너지 인증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New and Renewable Energy Certification Criteria in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 이미령;박지혜;한찬훈;태춘섭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80-88
    • /
    • 2013
  • Deploying new and renewable energy should be encouraged due to scarce of natural resources and to reduce the $CO_2$ emission. Regarding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2.2.1 new and renewable energy use', and '2.3.1 carbon dioxide emission reductions' are related to new and renewable energy. Applying new and renewable energy can achieve the score in two criteria mentioned above and most of buildings get a perfect score in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So these criteria needs to be revised to have discrimination. In this study, supply rate of new and renewable energy of the buildings that have achieved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by 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Institute was analyzed. The improvement of assessment criteria related to new and renewable energy is proposed and could be applied to the revisions.

학교시설의 에너지사용 및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유지관리 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of Energy Usage and Maintenance of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in School Facilities)

  • 김성중;이승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1권2호
    • /
    • pp.25-35
    • /
    • 2022
  • '기후 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탄소 중립 및 녹색 성장에 관한 기본법' 이 제정됨에 따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다양한 부문별 계획들(NDC)이 시행되고 있다. 학교시설은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의 의무대상 건축물이며, 공공기관 건축물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건물로, 탄소중립 시나리오의 건물부문에서 주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학교시설의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보급 활성화 및 효율적인 운영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하여, 최근 에너지사용 동향과 제로에너지수준을 다양한 방면에서 분석하였으며, 학교시설에 적용된 BEMS의 효과 및 사용자 의견을 조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