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인이용자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7초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를 위한 제언 (Recommendations on the Public Library Services for Older Adults)

  • 김은지;이성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59-7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 현황을 노인 이용자들과 사서들의 인식 조사를 통해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보다 나은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를 위한 실질적 제언을 하고자함에 있다. 노인 이용자와 사서들의 노인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를 위해 ALA 서비스 가이드라인을 활용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인터뷰자료는 질적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인 이용자들은 다음과 같은 열 가지 사항이 노인 서비스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다양한 맞춤형 평생교육 프로그램, 둘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강사진의 우수한 자질과 이의 유지를 위한 정기적인 평가, 셋째, 다양하고 새로운 정보자원의 제공, 넷째, 도서관 서비스 및 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 홍보, 다섯째, 도서관 직원의 친절한 태도 및 전문성 유지, 여섯째, 정기적인 도서관 직원 교육, 일곱째, 노인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 편의와 활성화를 위한 이용자 교육, 여덟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맞춤형 자료, 시설 및 설비, 아홉째, 여가 시간 활용을 위한 공간으로서의 도서관의 역할, 열 번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편리한 맞춤형 도서관 서비스. 이에 덧붙여 도서관 사서들은 다음의 네 가지 사항이 노인 서비스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맞춤식 서비스와 프로그램, 둘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장서, 시설 및 설비, 셋째, 노인 서비스를 위한 예산 확보, 넷째, 노인 서비스를 전담할 수 있는 전문 인력. 두 집단 모두 노인이용자를 위한 맞춤 서비스, 프로그램, 장서, 시설, 설비가 필요하며 노인 서비스 전문 사서와 이들을 위한 정기적인 교육이 노인 서비스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이용자의 정보가용성과 품질 관계에 대한 선택의 매개효과: 'SERVPERF 모형'에 근거하여 (The Mediation Effects of Choice on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Literacy and Quality of Elderly Care Service Users: Based on the "SERVPERF model")

  • 조한라;여영훈
    • 한국노년학
    • /
    • 제37권2호
    • /
    • pp.385-398
    • /
    • 2017
  • 본 연구는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서비스 품질 정도를 'SERVPERF 모형'에 근거하여 확인하고, 정보가용성과 품질 관계에 미치는 선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지역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이용자 208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이용자들은 품질을 매우 높음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이용자의 정보가용성은 품질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택은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이용자의 정보가용성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돌봄종합서비스가 높은 수준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용자에게 서비스에 관한 정보가 충분히 전달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이용자가 본인의 욕구에 적합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선택의 기회 제공 및 선택 가능한 환경이 마련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LibQUAL+를 적용한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rvice Quality Evaluation of Older Persons in Public Libraries by the Use of LibQUAL+: The Case of G-gu in Seoul)

  • 김보일;김선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319-344
    • /
    • 2017
  • 사회 환경 변화에 따라 공공도서관의 노인 이용자 서비스는 새로운 관점에서 제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LibQUAL+를 적용한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고 이용자 만족도를 조사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이용 서비스 만족도, 전반적인 서비스 만족도, 서비스 품질 구성요인(서비스 영향력, 정보 제어, 도서관 장소) 그리고 재이용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 개선방안으로 노인 이용자 환경 변화에 따른 적합한 정보자료 및 서비스 제공과 노인 이용자의 세분화된 연령별 정보요구에 따른 장서 개발 그리고 노인 서비스에 적합한 전담 인력을 배치를 제언하였다.

노인일자리사업 정책결정·집행과정에서의 '이용자 참여'에 관한 연구 (Seniors' Job Programme and User Involvement in Policy-mak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 양윤정;정영순
    • 한국노년학
    • /
    • 제31권4호
    • /
    • pp.885-903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 정책과정에서의 이용자 참여에 관한 탐색적 연구로서, 정책 결정 및 집행 과정에서 소위 정책대상자이자 이용자인 노인들의 참여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관한 연구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노인일자리사업이 비교적 성공적으로 자리잡고 있는 서울시 A구 사례를 중심으로 중앙정부에서부터 사업수행 기관의 실무선까지 정책과정의 각 단계 담당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를 바탕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정책결정과정에서의 이용자 직접 참여는 전무(全無)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하향식 정책과정의 구조적 한계와 관료들이 파악하는 현재 노인들의 역량 부족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윗선'의 인식변화와 주요 이슈에 관한 '사회적 합의'는 이러한 경직된 정책과정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정책집행 과정에서도 이용자 참여는 근무환경의 개선 등 제한된 범위 내에서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는데, 이에는 사업수행기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의 적극적 지원이 뒷받침되었을 때 참여노인의 역량 강화에 따라 사업에의 참여도와 만족도 역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실질적 지원의 강화가 현 시점에서 이용자 참여를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관련자들은 베이비 붐 세대의 은퇴 이후, 즉 미래 노인들의 참여 행태는 노인들의 역량 면에서나 사회적인 인식 면에서 기존 노인세대와는 다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이는 미래의 활발한 이용자 참여를 위해서는 정부를 비롯한 관련 기관들이 지금부터 정책적인 준비와 지원을 해야 함을 시사한다.

사회서비스 이용자 정보가용성이 서비스 품질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재가노인복지서비스를 대상으로 (The Effects of Information Literacy of Social Service Users' on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Based on Elderly Home Care Services)

  • 조한라;여영훈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11호
    • /
    • pp.717-725
    • /
    • 2017
  • 본 연구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자들 사이에 정보가용성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정보가용성이 품질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지역 이용자의 응답자료 466부를 활용하여 차이검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이용자의 성별, 가구 형태, 거주 지역, 학력,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정보가용성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정보가용성은 서비스 품질과 만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정보가용성의 하위요소 중 특히 서비스 내용에 대한 정보와 요구 가능한 내용에 대한 정보는 기타 정보가용성 하위요소 보다 서비스 품질 및 만족에 더욱 큰 영향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각 이용자의 욕구와 상황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서비스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자들 사이의 정보가용성이 서비스 만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자 중 정보취약계층에 대한 효율적이고 능동적인 정보제공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노인복지사업 조직에서 조직맥락, 이용자 반응, 직무소진의 구조관계에서의 상호작용효과와 조절효과 (Interaction effects and moderating effects on organizational context, customer reaction, and job burnout in Senior Welfare organization)

  • 윤일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8
    • /
    • 2018
  • 본 연구는 노인복지사업 조직에서 조직맥락, 이용자 반응, 직무소진과의 구조관계에서 상호작용효과를 연구하는 것이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특성(개인특성, 조직특성)의 조절효과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하는 것이다. 노인복지사업 조직에서의 사회복지사 79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직무소진에 미치는 인구사회학적특성(개인특성, 조직특성), 조직맥락, 이용자 반응들의 영향력 및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 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둘째, 조절효과에 유의한 조절변수로는 연령, 고용형태, 자격증으로 나타났다. 노인복지사업 종사자들의 직무소진에 자발적인 조직행동과 이용자반응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이를 기초로 해서 종사자와 이용자의 구체적인 조직행동요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경기도 노인복지관 특화 프로그램 평가: 서비스 이용자 관점을 중심으로 (Evaluation on the Specialized Quality Programs of the Senior Welfare Centers in Gyeonggi-do: Focusing on the Perspectives of the Service Users)

  • 지에릭승훈
    • 한국노년학
    • /
    • 제36권3호
    • /
    • pp.847-867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의 프로그램이 서비스 이용 노인에게 유용한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부터 출발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인복지관의 프로그램이 서비스 이용자 노인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는지 여부와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다음 3가지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노인복지관 서비스 이용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심층 인터뷰'와 노인복지관이 운영하고 있는 '특화 프로그램 분석', 그리고 노인복지 관련 '전문가 FGI'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점을 논의하여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권리에 기초한 서비스 이용자 중심의 노인복지관 프로그램 활성화이다. 둘째, 고품격 노인문화를 만들어내는 노인복지관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이 되어야 한다. 셋째, 지역사회와 연계된 노인복지관 프로그램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끝으로는 프로그램을 소통하는 네트워크 구축 거점센터로서의 역할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공공도서관 노인서비스 공간 구성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Spatial Composition Strategy for Older Adults in the Public Library)

  • 배경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155-170
    • /
    • 2021
  • 본 연구는 우리나라가 초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을 앞두는 상황에서 공공도서관이 노인이용자에게 편리한 여가시설이자 세대를 통합하는 공간적 기능을 지닌 사회적 기관으로서 인식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특히 도서관의 공간 및 시설 설계에 대한 시사점과 전략을 찾기 위한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며, 이를 위해 해외 도서관 노인서비스 공간·시설 관련 주요 지침을 분석하여 관련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도서관 서비스 이용경험이 있는 노인이용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 조사를 수행하여 노인을 위한 공간·시설 조성 시의 기준과 우선순위 등을 규명하고, 그 결과 공공도서관이 노인서비스 공간을 구성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개방형 노인서비스 공간'과 '통합형 노인서비스 공간'을 제언하였다.

노인복지시설 이용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노화에 대한 태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ttitude toward Aging and Depression According to Demographic Dharacteristics in Elderly Welfare Facility Users)

  • 박상훈;마성룡;이선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69-176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복지시설 이용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노화에 대한 태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15곳의 기관에 280명의 시설이용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58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노화에 대한 태도 척도, 치료자의 태도 척도, 우울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노인복지시설 이용자의 노화에 대한 태도, 우울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종학력에 따른 노인복지시설 이용자의 노화에 대한 태도, 우울에서는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노화에 대한 태도와 우울을 나타냈다. 셋째, 노인복지시설 이용경험에 따른 노화에 대한 태도, 우울에서는 이용 경험이 있는 많은 노인들이 노화에 대한 신체적 변화에서 긍정적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결과 노화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이어서 꼭 우울하다고 판단할 수는 없으나 최종학력에서는 높은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노인복지시설에서 근무하는 치료자들은 노인들을 치료, 케어함에 있어 최종학력이 낮을수록, 이용했던 시설의 수가 적을수록 노화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일 수 있고 이는 곧 우울감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이 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지역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가 노인의 서비스 만족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경기도 남양주시 '희망케어센터'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a Local Social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on Servic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 Mainly Focused on Hope Care Center of Namyangju City)

  • 송기범;허철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8호
    • /
    • pp.57-69
    • /
    • 2018
  • 본 연구는 기초지방자치단체의 공공-민간협력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가 노인들에 대한 서비스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남양주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중 민 관 복지시스템인 '희망케어센터' 이용자와 미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희망케어센터' 이용자 205부, 미이용자 119부 총 324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희망케어센터' 이용자 그룹과 미 이용자 그룹간의 차이분석 결과 이용자의 복지전달체계 원칙에 대한 인식도의 평균이 미 이용자보다 크게 나타났다. 서비스 만족도 역시 이용자가 미이용자보다 유의적으로 평균이 크게 나타났다. 다만, 삶의 질은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기존의 사회적 취약계층인 '희망케어센터' 이용자들의 낮은 삶의 질이 '희망케어센터' 서비스를 제공받음으로써 간접적 영향을 받아 미이용자들의 수준까지 향상되었다는 기존연구를 뒷받침해준다. 본 연구는 법과 제도적으로 지원이 어려운 대상자를 지원하는 '희망케어센터'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로 향후 지방자치단체의 복지정책 수립 및 복지전달체계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할 것이며, 향후 연구에서는 독립변수의 변인을 좀 더 다양화하여 동일 대상자의 '희망케어센터' 이용 전 후를 비교 분석한다면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