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Information Literacy of Social Service Users' on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Based on Elderly Home Care Services

사회서비스 이용자 정보가용성이 서비스 품질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재가노인복지서비스를 대상으로

  • Received : 2017.09.20
  • Accepted : 2017.10.19
  • Published : 2017.11.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ind the difference in information literacy among the elderly home care service users and to identify the impact of information literacy on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among service users. To achieve the goals, this study used 466 responses from the elderly home care service recipients in Jeollabukdo providence, and conducted t-tests, ANOVA and a series of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ormation literacy by gender, household type, residence area, education level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mong service users. The study also found that service users information literac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and it confirms the importance of customized service. This study suggests that information literacy inequality exists among the elderly home care service users, therefore, the way to improve information delivery strategy should be developed for the information-poor elderly.

본 연구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자들 사이에 정보가용성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정보가용성이 품질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지역 이용자의 응답자료 466부를 활용하여 차이검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이용자의 성별, 가구 형태, 거주 지역, 학력,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정보가용성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정보가용성은 서비스 품질과 만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정보가용성의 하위요소 중 특히 서비스 내용에 대한 정보와 요구 가능한 내용에 대한 정보는 기타 정보가용성 하위요소 보다 서비스 품질 및 만족에 더욱 큰 영향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각 이용자의 욕구와 상황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서비스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자들 사이의 정보가용성이 서비스 만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자 중 정보취약계층에 대한 효율적이고 능동적인 정보제공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