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인의 삶의 만족도

검색결과 331건 처리시간 0.023초

노인의 이전소득과 삶의 만족도 관계 (Relations between Older People's Transfer incomes and Life Satisfaction)

  • 이형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2호
    • /
    • pp.238-241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제11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이전소득(공적이전, 사적이전 소득)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분석결과, 일반가구 노인의 경우 공적이전 소득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저소득가구 노인의 경우 사적이전 소득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가구 노인의 경우 공적이전 소득이 1,019.2만원(월평균 84.9만원)으로 공적이전 소득이 소득안정화 효과로 나타나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저소득가구 노인의 경우 일반가구 노인의 공적이전 소득의 절반 수준인 508.5만원(월평균 42.4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소득가구 노인의 경우 비록 "마음이 편하지 않는" 소득원천인 사적이전 소득이 불안정한 소득안정화 부족분을 채워주어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 PDF

노인의 연령규범과 사회활동 및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죽음준비행동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Age Norms, Social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Death Preparation Activities)

  • 박선숙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1호
    • /
    • pp.1-13
    • /
    • 2021
  • 본 연구는 노인의 연령규범과 사회활동, 그리고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검증하고 노인의 죽음준비행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 중 배우자와 자녀가 있는 노인 6,28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연령규범이 긍정적일수록 노인의 사회활동이 유의하게 상승한다. 둘째, 노인의 사회활동이 늘어나면 삶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상승한다. 셋째, 노인의 연령규범이 긍정적일수록 노인의 삶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상승한다. 넷째, 노인의 연령규범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사회활동의 유의한 정(+)의 매개효과가 있었다. 다섯째, 노인의 연령규범, 사회활동, 그리고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 인과관계에서 죽음준비행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연령규범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죽음준비를 하지 않는 노인이 죽음준비를 한 노인에 비해 그 영향력이 유의한 차이로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실천방안을 제언하였다.

경제활동 노인의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일 만족도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Impact of Depression on Life Satisfaction of the Working Elderly)

  • 오영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271-280
    • /
    • 2019
  • 목적: 본 연구는 경제활동을 하는 노인의 우울과 일 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데 있어 일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자료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주관한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근거로 이차 자료분석을 실시하였으며 65세 이상의 노인 중 경제활동을 하는 노인 3060명을 대상으로 하여 경로모형을 만들고 경로분석과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결과: 우울과 일 만족도, 삶의 만족도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의 효과 크기는 우울(.38, p=.019)과 일 만족도(.22, p=.009) 모두 유의하였으며 일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우울(.20, p=.009)의 효과도 유의하였다.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일 만족도의 매개효과(Z=7.17, p<.001)가 유의하여 우울은 일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경제활동을 하는 노인의 우울과 일 만족도는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그 중 우울은 일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 및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의 참여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Living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Participants in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 하경분;주민경;송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60-170
    • /
    • 2014
  • 본 연구는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의 참여 유형에 따라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그리고 삶의 만족도를 살펴보고,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가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은 참여 만족도가 비교적 높았으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는 그다지 높지 않았으며, 특히 교육형에 참여한 노인이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그리고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은 참여 만족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는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 중에 교육 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노인 일자리사업을 확대, 시행함에 있어서는 교육형 위주로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으며,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제고를 위해서는 노인 일자리사업의 업무내용에 대한 교육의 강화 및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시행할 필요가 있다.

노인요양 시설내 학대경험이 이용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xperience of Abuse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 배진희;정미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591-599
    • /
    • 2017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으로 노인요양시설과 요양시설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인 요양시설내 학대 발생 현황과 그로 인해 이용노인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2개 지역에 소재한 44개 요양시설 이용노인 27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학대경험과 서비스 품질 인식, 서비스 만족도,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0프로그램과 AMOS 18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요양시설 이용 노인의 학대 피해 경험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특히 성학대 피해 경험이 가장 많이 보고되었다. 학대 피해 경험은 이용노인의 서비스품질에 대한 인식, 서비스 만족도,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대를 경험한 노인은 기관의 서비스 품질과 서비스 만족도에 대해 낮게 평가하였고, 삶의 만족도 또한 낮게 나타났다. 학대 경험은 이용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서비스 만족도를 매개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 요양시설내 노인 학대 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노인의 운동참여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인지기능의 역할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Participation in Exercise, Cognitive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 김성훈;신정택
    • 한국노년학
    • /
    • 제41권2호
    • /
    • pp.241-25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운동참여, 인지기능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참여자는 2017년 노인실태 조사 대상인 노인 2491명으로 구성되었다. 측정도구는 인지기능 검사지와 삶의 만족도 검사지이다. 운동참여는 일주일간의 운동시간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 version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운동참여는 노인의 인지기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참여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인지기능은 삶의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노인의 운동참여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인지기능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운동참여, 인지기능 및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노인의 디지털 정보활용능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the Elderly's Digital Information Literacy and Life Satisfaction)

  • 최형임;송인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246-255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의 디지털 정보활용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노인의 디지털 정보활용능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광역시 소재 노인복지관을 이용 중인 노인 396명을 대상으로 하여 디지털 정보활용능력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살펴보고, 삶의 만족도에 대한 관련 변수들의 영향력을 살펴본 후, 노인의 디지털 정보활용능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의 디지털 정보활용능력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 정보활용능력과 자기효능감은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나 디지털 정보활용능력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노인의 디지털 정보활용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정보활용능력의 수준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기 효능감을 매개하여 노년기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디지털 정보활용능력과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우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 최윤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209-218
    • /
    • 2018
  • 본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관계에서 우울이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의 영향요인을 기존의 개인적 차원 요인 뿐 아니라 사회 내에서 개인의 상대적 위치인 주관적 계층의식에 대해 논의해 봄으로써 노인 삶의 만족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를 위하여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 삶의 만족도, 우울의 정도를 파악하고, 주관적 계층의식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2014년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 연구패널 5차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4,222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우울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노인 우울 역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은 낮고 삶의 만족도는 높은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우울은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을 높이고 우울 수준을 낮추거나 예방하여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방안으로 주거 지원 정책과 여가활용지원을 통한 사회적 자본을 활용하고 강화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지역사회 기반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노인 정신건강서비스 제공 등을 제안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관계 변화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여가만족도의 매개효과 (Effects of Change of Social Relations Due to COVID-19 on Life Satisfaction and Mediating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of Older People)

  • 이성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17-27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관계의 변화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사회관계 변화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여가만족도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21년 사회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65세 이상 노인 7,203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미성은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19로 인한 사회관계변화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코로나19로 인해 이웃과의 관계 및 친구와의 관계가 멀어진 경우 노인의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만족도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관계 변화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19와 같이 사회적 거리두기가 필요할 수 있는 상황에서 노인의 삶의 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개입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사회적 자본과 노인 삶의 만족도 연구 (A Study on Social Capital and Satisfaction of Elderly life)

  • 이창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287-292
    • /
    • 2018
  • 본 논문은 노인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노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서로 다른 사회적 자원과 규범, 가치, 신뢰 등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노인은 N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가구(401가구)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수에 따른 삶의 만족도 차이비교에 있어서 성별, 결혼여부, 학력, 가구구성형태, 수입정도에 따른 삶의 만족도 차이는 있는 것으로 보여졌으며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있어서 사회적 자본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신뢰. 규범, 참여 순으로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노인복지정책의 내용 및 방향에 있어서 사회적 자본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다양한 노인사회활동 참여를 중심으로 하는 정책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