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Participation in Exercise, Cognitive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노인의 운동참여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인지기능의 역할

  • Received : 2020.12.30
  • Accepted : 2021.01.15
  • Published : 2021.05.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participation in exercise, cognitive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491 elderly people who were the subjects of the 2017 elderly survey. The measuring tools were the cognitive function scale and the life satisfaction inventory. Participation in exercise used exercise time for one week.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 and AMOS 18 ver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xercise particip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Second, participation in exercise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Finally, it was found that cognitive function was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Various discussions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participation in exercise, cognitive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운동참여, 인지기능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참여자는 2017년 노인실태 조사 대상인 노인 2491명으로 구성되었다. 측정도구는 인지기능 검사지와 삶의 만족도 검사지이다. 운동참여는 일주일간의 운동시간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 version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운동참여는 노인의 인지기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참여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인지기능은 삶의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노인의 운동참여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인지기능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운동참여, 인지기능 및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숙자. (2015). 노인 건강 운동의 효과와 정책적 함의. 보건복지포럼, 225, 28-37.
  2. 김규엽. (2005). 노인의 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3. 김덕중. (2012). 중년기 신체활동 참여자의 주관적 건강상태, 생활만족 및 건강증진생활 양식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7, 503-518.
  4. 김보균, 임용택, 박인성. (2013). 노인들의 인지기능 저하 및 뇌 질환 예방을 위한 규칙적 유산소 운동의 효과.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8(2), 217-29.
  5. 김선, 남석인. (2017). 만성질환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노년학회지, 37(3), 783-801.
  6. 김영수. (2001). 노인의 규칙적인 운동이 인지능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0(4), 181-193.
  7. 김영욱, 오수학. (2018). 운동 중재가 여성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의 메타분석적 접근.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2(1), 131-147. doi.org/10.16915/jkapesgw.2018.03.32.1.131
  8. 김지연, 홍준희. (2018). 생활체육 참여 정도가 신규 은퇴자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은퇴 만족도, 삶 만족도, 인지기능, 우울을 중심으로.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9(2), 1-11. doi.org/10.14385/kssp.29.2.1
  9. 김진원, 박광호, 박휘경. (2020).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노인의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운동관련 요인 종단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33(3), 1-20. doi.org/10.2173/kss.2020.3.3.1
  10. 김현숙, 정치경, 이강숙. (2002). 양로원 노인의 신체활동, 일상생활동작, 사회행동 및 기능수행에 대한 근력강화 운동프로그램의 효과. 예방학회지, 35(2), 107-115.
  11. 남기민, 정은경. (2011). 여성독거노인들이 인지한 사회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우울과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52, 325-348.
  12. 배수현, 김기연. (2019). 한국 노인의 주관적 감각장애와 인지기능 간 관계: 2017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지, 39(2), 389-404. doi.org/10.31888/JKGS.2019.39.2.389
  13. 배혜영, 김아란별, 남수진, 윤지아, 윤해주, 김가영, 장다혜, 김수현. (2014). 노화기대가 성인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5(1), 77-85.
  14. 안상현. (2019). 12주간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불안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7(7), 401-408. https://doi.org/10.14400/JDC.2019.17.7.401
  15. 양성지. (2018). 노인들의 신체운동 참여와 사회자본 및 삶의 질의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7(1), 23-36. doi.org/10.23949/kjpe.2018.01.57.1.3
  16. 오영은, 이정화. (2020). 성인자녀와의 사회적 지원교환이 농촌과 도시 1인 가구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2011, 2017년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29(1), 47-68. doi.org/10.5934/kjhe.2020.29.1.47
  17. 이규문, 최종환, 김현주. (2002). 규칙적인 운동이 노인들의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0(1), 81-90.
  18. 이미경, 박희석. (2007).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전문병원 주간보호 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 및 회기과정분석. 한국예술치료학회지, 7(1), 1-28.
  19. 이순림. (2005). 여성노인의 한국무용 참가와 정신건강 및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지, 19(2), 41-50.
  20. 이윤표, 박수근, 길재호, 맹성호, 신정원, 정샘. (2018). 노인의 운동참여 정도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6(4), 495-500. doi.org/10.34284/KJGD.2018.11.26.4.495
  21. 이호선. (2012). 노인상담. 서울: 학지사.
  22. 전해숙. (2013). 노인 인지문제 개선 예측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고령자패널데이터(KLoSA)를 이용하여. 보건사회연구 3(2), 461-48.
  23. 정경희, 오영희, 이윤경, 오미애, 강은나, 김경래, 황남희, 김세진, 이선희, 홍송이. (2017). 2017 노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4. 정계순. (2009). 운동 프로그램 참가 노인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25. 전해옥. (2020). 관절염 여성 노인의 건강행태, 주거환경이 노후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017 노인실태조사를 근거로. Health & Nursing, 32(1), 53-65. https://doi.org/10.29402/HN32.1.6
  26. 정복례, 한지영. (2016). 운동이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한국데이터 정보과학회지, 27(5), 1375-1387. doi.org/10.7465/jkdi.2016.27.5.1375
  27. 천명업, 최재원, 강성구, 유하나, 이경하. (2019). 노인의 건강 체력과 우울, 삶의 질 관계: 인지기능을 매개변수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12), 387-397. doi.org/10.15207/JKCS.2019.10.12.387
  28. 통계청. (2008). 2008 고령자통계. 통계청. http://www.kostat.go.kr
  29. 통계청. (2020). 2020 고령자통계. 통계청. http://www.kostat.go.kr
  30. 한진희, 이재은, 박정환, 이상희, 강현식. (2012). 12주간 유산소 운동이 노인의 체력과 우울증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23(4), 375-385. https://doi.org/10.15857/KSEP.2014.23.4.375
  31. 황라일, 임지영, 이영휘. (2009). 노인의 인지 기능 수준에 따른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 비교. 대한간호학회지, 39(5), 622-631. https://doi.org/10.4040/jkan.2009.39.5.622
  32. Barnes, D. E., Yaffe, K., Satariano, W. A., & Tager, I. B.(2003). A longitudinal study of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cognitive function in healthy older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 Society, 51, 459-465. doi.org/10.1046/j.1532-5415.2003.51153.x
  33. Colcombe, S. & Kramer, A. G. (2003). Fitn ess effects on the cogn itive fun ction of older adults: a meta-an alytic study. Psychological science, 14, 125-130. doi.org/10.1111/1467-9280.t01-1-01430
  34. Gebretsadik, M., Jayaprabhu, S., & Grossberg, G. T. (2006). Mood disorders in the elderly. Med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90(5): 789-805. doi.org/10.1016/j.mcna.2006.05.015
  35. Gholamnezhad, Z., Boskabady, M. H., & Jahangiri, Z. (2020). Exercise and Dementia. In Physical Exercise for Human Health (pp. 303-315). Springer, Singapore.
  36. Grotz, C., Matharan, F., Amieva, H., Peres, K., Laberon, S., Vonthron, A. M., Dartigues, J., Adam, S. & Letenneur, L. (2017). Psychological transition and adjustment process related to retirement: influence on cognitive functioning. Aging and Mental Health, 21(12), 1310-1316. doi.org/10.1080/13607863.2016.1220920
  37. Heyn, P., Abreu, B. C., & Ottenbacher, K. J. (2004). The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on elderly persons with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a meta-analysi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5(10), 1694-1704. doi.org/10.1016/j.apmr.2004.03.019
  38. Hillman, C. H., Kramer, A. F., Belopolsky, A. V., & Smith, D. P.(2006). A cross-sectional examination of age and physical activity on performance and event-related brain potentials in a task switching paradigm.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59, 30-39. doi.org/10.1016/j.ijpsycho.2005.04.009
  39. Iuliano, E., di Cagno, A., Cristofano, A., Angiolilo, A., D'Aversa, R., Cicoteli, S., .. & Di Costanzo, A. (2019). Physical exercise for prevention of dementia (EPD) study: background, design and methods. BMC Public Health, 19(1), 1-9. doi.org/10.1186/s12889-019-7027-3
  40. Laurin, D., Verreault, R., Lindsay, J., MacPherson, K., & Rockwood, K. (2001). Physical activity and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in elderly persons. Archives of neurology, 58(3), 498-504. doi.org/10.1001/archneur.58.3.498
  41. Lindwal, M., Cimino, C., Gibbons, L., Mitchel, M., Benitez, A., Brown, C., .. & MacDonald, S. W. (2012). Dynamic association of change in physical activity and change in cognitive function. Journal of Aging Research, 1-12. doi.org/10.1155/2012/493598
  42. Middleton, L., Barnes, D., Lui, L., & Yafe, K. (2010). Physical activity over the life course and its association with cognitive performance and impairment in old ag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8(7), 1322-1326. doi.org/10.1111/j.1532-5415.2010.02903.x
  43. Moul, J, L., Goldman, B., & Warren, B.(1995). Physical activity and cognitive performance in the older population.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3, 135-145. doi.org/10.1123/japa.3.2.135
  44. Parish, R. (1995). The Sociology of Health Promotion: Critical Analyses of Consumption Lifestyle and Risk. London: Routledge.
  45. Williams, M. A., & Stewart, K. J. (2009). Impact of strength and resistance training o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outcomes in older adults.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25(4), 703-714. doi.org/10.1016/j.cger.2009.07.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