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인의료복지서비스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37초

입원·외래서비스 이용경험이 지역사회 보건복지서비스 이용(욕구)에 미치는 영향 : 저소득 만성질환보유 노인을 대상으로 (A Study on Promoting the Linkage between Hospital Care and Community Health Services for the Low-incom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 이수연;배지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2호
    • /
    • pp.303-322
    • /
    • 2011
  • 만성질환보유 저소득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의료비절감을 위해서는 지역사회 보건복지서비스와 병의원서비스간의 연계가 중요하다. 본 논문은 서울시 복지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병의원 의료서비스와 지역사회 보건복지서비스간의 연계 욕구 및 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병의원서비스 이용경험이 지역사회 보건복지서비스 이용(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로짓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입원경험이 있는 노인들은 입원경험이 없는 노인에 비해 지역사회 보건복지서비스에의 욕구가 더 높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해당 서비스를 더 많이 받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외래이용경험이 없는 저소득 만성질환노인은 외래경험이 있는 노인에 비해 지역사회 보건서비스에의 욕구는 더 높았으나 실제 이용률은 더 높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볼 때 우리나라 병의원 의료서비스와 지역사회 서비스간의 연계가 긴밀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근무환경과 관리자 신뢰, 서비스 질과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Environment, Manager's Trust, and Service Quality of Workers in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 김미숙;정행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63-172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근무환경과 관리자 신뢰, 그리고 서비스 질과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 모델을 설정하고 이를 규명하는데 있다. 그 결과 첫째,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근무환경과 서비스 질 간에 유의한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근무환경과 관리자 신뢰는 유의한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의료복지시설의 목표 달성과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근무환경 조성과 신뢰관계 형성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역량 함양과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관리자들은 구성원들의 개인 특성을 이해하고, 역할에 따른 임무를 부여하기 위하여 정확한 업무 분장과 인사관리가 필요 할 것이다.

노인복지정보서비스 향상을 위한 정책방향 (Policy of Information Service for Aged Welfare)

  • 박민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337-346
    • /
    • 2000
  • 본 연구는 노인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서비스를 분석해보고 어떠한 방향으로 정책을 실행해야 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면담조사와 문헌적 조사방법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사회적 변화요인을 분석해 보면 첫째, 조기퇴직 및 수입원 감소로 인한 경제적 문제 둘째, 노인들의 만성적 질병으로 인한 의료적 문제 셋째, 여가적 문제 넷째, 소외감과 고독감을 느끼게 만드는 문제 등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서비스를 분석해 보면, 첫째, 경제적 문제를 위한 재택근무서비스ㆍ노인전용홈뱅킹서비스 둘째, 의료적 문제를 위한 의료지원서비스ㆍ의료정보서비스ㆍ원격의료지원서비스 셋째, 여가적 문제를 위한 이벤트정보서비스ㆍ여가정보서비스ㆍ원격교육서비스 넷째, 소외적 문제를 위한 인터넷서비스ㆍ지식학습지원서비스 등의 정보서비스가 필요하다. 이러한 정보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정책방향은 첫째, 노인복지협의회의 구성 둘째, 노인복지전용망의 구축 셋째, 정보서비스 이용 활성화 넷째, 국가정책의 변화 다섯째, 노인복지정보서비스의 연구ㆍ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 PDF

노인복지정보서비스 향상을 위한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olicy direction of Information Service for Aged Welfare)

  • 박민수;박정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0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56-64
    • /
    • 2000
  • 본 연구는 노인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서비스를 분석해보고 어떠한 방향으로 정책을 실행해야 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면담조사와 문헌적조사방법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사회적 변화요인을 분석해 보면 첫째, 조기퇴직 및 수입원 감소로 인한 경제적 문제 둘째, 노인들의 만성적 질병으로 인한 의료적 문제 셋째, 여가적 문제 넷째, 소외감과 고독감을 느끼게 만드는 문제 등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서비스를 분석해 보면, 첫째, 경제적 문제를 위한 재택근무서비스·노인전용홈뱅킹서비스 둘째, 의료적 문제를 위한 의료지원서비스·의료정보서비스 원격의료지원 서비스 셋째, 여가적 문제를 위한 이벤트정보서비스·여가정보서비스 원격교육서비스 넷째, 소외적 문제를 위한 인터넷서비스·지식학습지원서비스 등의 정보서비스가 필요하다. 이러한 정보서비스를 개발하기 취한 정책방향은 첫째, 노인복지협의회의 구성 둘째, 노인복지전용망의 구축 셋째, 정보서비스이용 활성화 넷째, 국가정책의 변화 다섯째, 노인복지정보서비스의 연구·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 PDF

노인의료복지시설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re Giver's Awareness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t the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 조우홍;박천규;손명동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년도 제4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1권1호
    • /
    • pp.127-128
    • /
    • 2013
  • 이 연구는 노인의료복지시설 소속 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에 대한 요양보호사들의 주관적 인식의 차이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요양보호사들이 근무하는 노인의료복지시설 유형에 따른 인식의 차이는 없었지만 전체적으로 요양보호사들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의 충족이 노인의료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노인의료복지시설 소속 요양보호사들이 노인들에게 의료서비스 등을 제공함에 있어서 직무만족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의 자기효능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적자원관리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PDF

노인보건의료의 입법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licy of Senior Citizens' Medical Act)

  • 김현수
    • 한국정보컨버전스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49-56
    • /
    • 2015
  • 보건의료기본법은 보건의료에 관한 국민의 권리 의무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을 정하고 보건의료의 수요와 공급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보건의료의 발전과 국민의 보건 및 복지의 증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법이다. 독거노인들을 위하여 생활 교육, 서비스 연계, 가사지원, 활동지원 등 노인돌봄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노인의 복지증진에 기여할 필요가 있다.

  • PDF

노인의료복지시설과 서비스의 공간적 형평성 융합 연구 (A Study on the Convergence of Spatial Equity of Medical Welfare Facilities for Older Persons and Services)

  • 이성진;윤기혁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65-72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의료복지시설 및 서비스의 공간적 형평성을 측정·분석하여 공간적 배분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유형과 기능 등에 대한 사회복지학 및 공간 배치의 형평성에 대한 지리학 또는 지역개발학의 학문을 융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보면, 첫째, 노인의료복지시설의 공간적 배치(욕구 대 서비스)의 경우 노인의료복지시설은 시·군지역 모두에 있었지만, 대체로 시지역에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료복지서비스의 지역적 배분의 형평성의 경우 시지역과 군지역을 비교해보면 시지역에 비해 군지역의 형평성이 높다. 셋째, 노인의료복지서비스의 공간적 형평성에서 노인요양시설의 공간적 형평성은 시설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서 통계학적인 차이를 보이며, 거리에 따라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의 공간적 형평성은 시와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차이를 보이며, 군지역에 비해 시지역의 공간적 형평성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제언을 하였고, 사물인터넷, AI 등의 기술을 접목한 융합 연구들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노인의료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위한 시설종사자 관리의 효율화 방안 (The Efficient Management Method about the Workers of the Welfare Faciliti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Elderly Medical Service)

  • 조우홍;박천규;손명동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91-99
    • /
    • 2013
  • 이 연구는 노인의료복지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위해 노인의료복지시설 소속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관리의 변수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기 이전에 시설유형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에 대한 요양보호사들의 주관적 인식의 차이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요양보호사들이 근무하는 노인의료복지시설 유형에 따른 인식의 차이는 없었지만 전체적으로 요양보호사들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의 충족이 노인의료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 관리의 효율화 방안을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welfare service for the in-home elderly)

  • 조우홍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년도 제42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8권2호
    • /
    • pp.357-360
    • /
    • 2010
  • 본 연구의 논의의 전개는 오늘날 산업사회의 발달로 인해 고도의 경제성장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 수명이 늘어나고 이로 인한 인구 고령화 현상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고령화 사회에서 재가노인복지서비스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본 연구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가 전문적인 서비스 수준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필요성, 재가노인복지 사업, 문제점 등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우리나라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과제와 개선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PDF

주관적 건강수준에 따른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의료기관 이용 간의 관련성: 노인복지서비스 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Association of Social Networks and Medical Care Utilization of Elderly Living Alone Depending on Self-rated Health Statu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Welfare Services for Elderly)

  • 문성제;손민성;윤희수;최만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479-490
    • /
    • 2017
  • 본 연구는 주관적 건강수준에 따른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의료기관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노인복지서비스 참여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노인실태조사자료(2014) 중 독거노인 2,34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기술통계, 카이제곱 검정 및 포아송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독거노인들의 사회적 관계망 확대 및 노인복지서비스 참여는 주관적 건강수준이 나쁜 독거노인들의 의료기관 이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관적 건강수준이 나쁜 독거노인들의 경우, 가족과의 왕래 및 평생교육 참여로 인해 의료기관 이용횟수가 감소하였으며, 이웃과의 왕래가 증가하거나 노인일자리사업을 신청할 경우 의료기관 이용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노인복지서비스 참여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친목시설 및 단체에 참여한 독거노인들의 사회적 관계망이 확대 될수록 의료기관 이용횟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독거노인들의 사회적 관계망을 대체할 수 있는 노인복지서비스 확대를 제시하고, 의료이용 실태 파악을 통하여 실질적인 건강유지증진 및 예방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 방향성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