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인에 대한 태도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27초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조부모와의 세대차이에 관한연구: 미국 이민 가족 내의 한국청소년과 미국청소년간의 비교연구 (Adolescent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their Perceptions of Generational Gap between their grandparents and themselve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American and American Adolescents)

  • 김혜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5권4호
    • /
    • pp.65-80
    • /
    • 1997
  • Korean-American and American adolescent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OP Scale) and their perception on the generational difference(GN GAP) were compared to fi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race. Adolescents' perceived generational gap wa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ffecting their attitudinal differences. Adolescents regardless of face showed a somewhat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they perceived generational gap a little positively. Adolescents' age and sex were found not to be related with their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generational gap. For the Korean-Americans birth-order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generational gap perception. the quality of relationship with grandparents was the crucial factor influencing adolescents' perceptions on generational gap and their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indirectly. Grandparents' health and age affected on the quality of relationship. Additionally adolescents' favorite g andparent was found to be maternal grandmother and their relation style and conflict area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race.

  • PDF

노인의 신기술 사용에 대한 태도와 기술준비도가 신기술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Elderly's Attitude toward the Use of New Technology and Technology Readiness on the Intention of New Technology Acceptance)

  • 하영미;장현정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4-41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ttitude toward the use of new technology and technological readiness on the intention of new technology acceptance among the elderly aged 65 or older living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Methods: Ninety-eight people age 65 or abov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and ANOVA with the Scheffé test. The Pearson correlations between attitude, technology readiness, and intention of new technology acceptance were analyzed, and factors affecting intention of new technology acceptance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factors affecting the elderly's intention to accept new technologies were innovation in technology readiness (β=.52, p<.001) and educational level (β=-.22, p=.018).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socioeconomically vulnerable elderly to improve their intention to accept new technologies.

중고령 노인의 개인적 가치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분류: 머신러닝을 활용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Identifying Personal Values Influencing the Lifestyle of Older Adults: Insights From Relative Importance Analysis Using Machine Learning)

  • 임승주;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13권2호
    • /
    • pp.69-84
    • /
    • 2024
  • 목적 : 노인의 건강한 삶의 방식으로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라이프스타일이 개개인의 가치와 삶의 태도를 반영하는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개인의 어떠한 가치가 라이프스타일을 건강하게 유도하는지 파악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두 가지로 분류하고,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어떠한 개인적 가치가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에 우선적으로 작용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55세 이상 중고령 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횡단 연구를 수행하였다. 라이프스타일은 Yonsei Lifestyle Profile-Active, Balanced, Connected, Diverse (YLP-ABCD) 응답을 사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유형화하였다.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예측하는 개인적 가치는 YLP-V (Values) 응답을 수집하여, 예측성능이 가장 높은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선정한 후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였다. 결과 :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라이프스타일은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실천형(48.87%), 비실천형(51.13%)으로 분류되었다. 실천형에 속한 중고령 노인은 비실천형에 비해 사회관계가 활발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 포함된 머신러닝 알고리즘 중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인 모델은 서포트 벡터 머신으로, 정확도 96%,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영역 95%로 나타났다. 본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개인적 가치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건강한 식단, 건강 매체, 여가활동, 건강 제품 및 머신러닝에 주의를 기울일수록, 해당 가치에 따라 중고령 노인은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실천하는 그룹에 속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중고령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을 포함한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유도하기 위해, 건강 식단, 매체, 여가, 제품 및 습관에 대한 가치 향상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종합적인 프로그램 및 서비스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노인의 건강증진태도와 생리적 지수에 대한 클린다이어트 프로그램의 중재효과 (The intervention effects of the Clean Diet program on the health promotion attitudes and the physiological indices of an elderly)

  • 신소홍;김현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495-509
    • /
    • 2016
  • 이 연구는 노인의 건강증진태도와 생리적 지수에 대하여 클린다이어트 프로그램의 중재효과를 파악하고자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실험설계로 2015년 6월 24일부터 2015년 9월 18일까지 12주간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대구광역시 C 노인대학에서 만성질환이 있는 65세 이상 노인 60명을 선정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30명씩 배정하였다. 클린다이어트 프로그램은 실험군에만 적용되었으며 웰니스, 건강행동, 주관적 건강감, 우울 및 생리적 지수(혈압, 혈당, TG/TC, BMI)에 대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사후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의 웰니스(t=7.069, p<.001), 건강행동(t=6.196, p<.001), 주관적 건강감(t=6.624, p<.001) 수준이 향상되었고, 우울(t=4.038, p<.001)은 완화된 변화를 보였다. 그리고 생리적 지수는 BMI(t=5.974, p<.001)에서만 감소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클린다이어트 프로그램의 중재효과를 입증한다. 따라서 노인에게 클린다이어트 프로그램을 적용하면 삶의 질을 높이는 총체적인 생활방식이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생활양식 그리고 우울증 완화와 BMI관리에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간호대학생의 치매 교육요구도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Educational Needs for Dementia in Nursing students)

  • 하은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353-363
    • /
    • 2018
  • 간호대학생들의 치매 교육과 전문적인 접근은 졸업 후 치매전문간호인력으로 성장하기 위한 동력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들의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 교육요구도 정도를 조사하고 치매 교육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9~11월까지로 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일 개 지역에 위치한 3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213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등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교육요구도는 각각 $12.33{\pm}4.54$, $35.53{\pm}8.92$, $116.46{\pm}32.06$ 등 이었으며, 치매에 대한 태도와 교육요구도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79, p=<.01).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교육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태도(${\beta}=0.73$, p<.001)와 학년(${\beta}=0.19$, p=.001)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다양한 치매교육프로그램 개발은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초석이 될 수 있다. 간호대학생들의 치매에 대한 태도와 학년을 고려한 노인간호학 교육과정 개발 또한 치매에 대한 지식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노인이 인식하는 사회활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ocial Activities Perceived by the Korean elderly)

  • 정병은;이기홍
    • 한국노년학
    • /
    • 제29권3호
    • /
    • pp.953-970
    • /
    • 2009
  • 독립적이고 생산적인 노년기를 조망하는 성공적 노화라는 패러다임은 활기찬 인간관계 및 생산적 활동을 통한 적극적인 사회참여를 요구한다. 그러나 국내의 성공적 노화 연구에서는 배우자와 자녀관계를 넘어선 사회관계 및 사회활동에 관한 논의가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는 성공적 노화와 관련하여 노인들이 다양한 사회활동들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설명하고자 한다. 즉 성공적 노화에 있어서 사회활동은 얼마나 중요하게 인식되는가, 여러 활동에 대한 인식의 공통성은 어떻게 유형화할 수 있는가, 이러한 인식은 연령층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가, 사회활동의 유형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특성과 환경적 조건은 무엇인가를 설명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2008년 7월 10일~8월 23일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대면적 면접조사로 수집된 전국만 20세 이상 성인 1,000명 중에서 50세 이상 613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응답자들은 예비 노인, 전기 노인, 후기 노인으로 세분되어 사회활동과 관련된 인식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들은 기본적으로 성공적 노화를 위해서 사회활동에 참여해야 한다고 보지만, 개별 활동들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차이를 보인다. 연령층별로 비교해 보면 특정한 활동을 강조하기보다 생애주기에 따라서 개인의 욕구와 동기에 따라 활동의 중요성이 바뀐다. 또한 여러 사회활동들에 대한 인식은 크게 생산적 활동과 관계적 활동의 범주로 분류되며, 연령층에 따라서 생산적 활동 또는 관계적 활동으로 인식되는 활동의 내용들이 다르게 연관되어 있다. 생산적 또는 관계적 활동의 선호는 성별, 거주지, 배우자유무, 자녀와 동거여부에 따라 다르며, 연령, 학력수준, 건강, 경제력은 유의하지 않은 반면 노후계획과 노동을 중시하는 태도는 일관되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특성은 사회활동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 체계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며, 생산성을 중시하는 사회 활동의 강조는 정작 관계적 동기를 지향하는 노인층의 욕구와 괴리될 수 있다.

근전도를 이용한 노인의 계단과 경사로 오르기 시하지 근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with Lower Extremity during Stairs and Ramp Climbing of Old Adults by EMG)

  • 한진태;공원태;이윤섭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1권1호
    • /
    • pp.35-40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 of muscle activities during level walking, stairs and ramp climbing in old adults. Methods: Twelve old adults were recruited and agreed this study. Muscle activity was measured by MP150 system (BIOPAC System Inc., Santa Barbara, USA).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one-way ANOVA to know the difference according to gait conditions (level walking, stairs and ramp ascending) Results: In stance phase, muscle activities of low extremities with old adults were gener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amp ascending. In swing phase, rectus femoris and biceps femoris activity in old adults generally more increased during stairs ascending and tibialis anterior and gastrocnemius activity in old adults generally increased during ramp ascending.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air and ramp climbing is different muscle recruit pattern to level walking.

  • PDF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노인인권옹호행동 영향요인: 개인의 인권의식과 조직의 서비스 지향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Human Rights Behavior of Korean Care Workerin Long Term Care Facilities: The Interaction Effect of Human Rights Awareness and Service Orientations)

  • 김민경;김미혜;김주현;정순둘
    • 한국노년학
    • /
    • 제36권3호
    • /
    • pp.673-691
    • /
    • 2016
  • 장기요양보험제도 시행의 정착에 따른 노인요양서비스 이용 노인 규모가 점차 확대되고 보편화됨에 따라 장기요양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는 과정에서 기존의 욕구에 기반을 둔 서비스(need based service) 제공의 원칙으로부터 인권에 기반을 둔 서비스(human rights based service) 제공으로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노인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들은 요양시설 인권실천의 최전방에 있는 주체로 이들의 인권옹호행동이 질 높은 서비스 전달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들의 인권의식이 인권옹호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그 과정에서 환경요인인 조직의 효과는 이들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기관은 2014년 7월 현재 등록된 전국 장기요양기관(정원 30인 이상) 3,983개소 중 사회복지법인 등 비영리법인이 운영하는 782개 시설을 대상으로 하였다. 노인장기요양기관에서 노인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개인수준에 해당하는 인권의식과 조직의 서비스 환경으로 조직수준의 서비스 지향성이 인권옹호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인권의식(개인)과 인권환경(조직)의 상호작용 효과를 통합적으로 검증하였다. 개인수준과 조직수준 효과 검증을 위해 분석방법은 다층모형(multi-level model)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수준의 인권의식이 인권옹호행동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조직수준의 서비스 환경에 해당하는 서비스지향성(리더십/태도/인적자원관리/시스템)은 세부 요소에 따라 영향은 다르지만, 인권옹호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인권의식과 조직의 서비스 지향성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 결과 인권옹호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특히 서비스 지향성구성요소 중 '인적자원관리'는 인권의식과 상호작용을 통해 인권옹호행동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인권옹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요인과 조직 요인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노인장기요양기관 인권 증진을 위해 요양보호사와 장기요양보호기관에 어떤 정책적, 실천적 개입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대학생의 치매 지식 및 태도가 치매노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Dementia on Social Distance from Senile Dementia among University Students)

  • 박미정;문혜경;오두남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54-566
    • /
    • 2017
  •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s dementia on social distance from senile dementia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e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based on 235 university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 to 15, 2017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Dementia knowledge, dementia attitude, and social distance from senile dementia wer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Mann-Whitney U-test, Kruskal-Walli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After adjusting for the general and dementia-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social distance from senile dementia among university students were dementia attitude. Moreover,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s dementia explained 27.8% of the variance in social distance from senile dementia among university student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educators need to make efforts to improve dementia attitude and to develop plans to increase dementia knowledge in order to reduce university students' prejudice against senile dementia.

오팔세대의 라이프스타일과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fe Style and the Preparation of Old Age in Opal Generation)

  • 임미정;최규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59-65
    • /
    • 2022
  • 최근에 신중년이라 불리는 1955년에서 1974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는 거대 인구 집단을 형성하며 이전의 전통적 노인 세대와는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다. 전체 국가 인구의 33%를 차지하는 이들의 은퇴가 본격화되면서 신세대 노인인구집단의 등장과 이에 따른 정책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오팔세대라고 불리기도 하는 신중년층은 평균수명의 증가로 늘어난 노년기를 생산적이고 자율적으로 보내고 싶어 하며 노후에 해외여행을 즐기는 등 어느 정도 경제적 능력도 지니고 있지만, 다른 한편 여가·취미활동, 대인관계 등 활동적 노년에 대한 준비가 미흡해서 신세대로서의 신중년층을 위한 정책적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베이비붐 세대를 중심으로 오팔세대의 정의, 그들의 소비생활을 비롯한 태도, 사회활동, 여가활동, 건강에 대한 노력 등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해 알아보고, 오팔세대에 맞는 고용창출, 사회적 재교육, 지역의료시설 구축, 여가문화 생활을 위한 사회적 배려 등 노후준비에 대해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