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내유성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36초

원자력시설내에서의 유성차륜형 이동로보트의 자동계단 승월기법 (Automatic Stair-Climbing Algorithm of the Planetary Wheel Type Mobile Robot in Nuclear Facilities)

  • Kim, Byung-Soo;Kim, Seung-Ho;Lee, Jongmi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7권5호
    • /
    • pp.661-669
    • /
    • 1995
  • 원자력시설에서 점검 및 보수작업을 위하여 이동로보트 KAEROT을 개발하였다. 이동로보트의 주행장치는 소차륜들이 부착된 유성차륜의 형태로 구성되어 높은 안정성을 유지하며 계단을 포함한 많은 장애물의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로보트의 원격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동로보트의 기구학적 해석을 통하여 역기구학 해를 구하였고, 자동 계단승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이동경로를 결정한 후 제안된 기준경로를 추종할 수 있도록 각 차륜의 각속도를 구하는 것이다. 제작 오차가 있는 실험실내 계단에 대하여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수행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로보트 몸체의 경사각도를 낮게 유지시킬 수 있었고, 주행중 안정성을 높혀주었다.

  • PDF

P-수준교체표본에서 교체그룹내 상관관계를 고려한 일반화 복합추정량 (Generalized Composite Estimator with Intraclass Correlation in p-level Rotation Sampling)

  • 박유성;배경화;김기환
    • 응용통계연구
    • /
    • 제14권1호
    • /
    • pp.81-90
    • /
    • 2001
  • 모집단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추정하기 위한 반복조사 방법으로 겨체표본조사를 고려할 수 있다. 교체표본조사는 크게 일수준교체표본조사와 다수준교체표본조사로 나누어지며 모집단의 특성, 특성의 변화를 추정하기 위하여 복합추정량을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수준교체표본조사의 경우 교체그룹내 표본개체들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일반화복합추정량과 추정량의 분산을 최소화시키는 최적계수를제시하였다. 또한 수치예에서는 교체그룹내 표본개체의 수, 교체그룹내 상관정도의 변화에 따라 표본개체들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일반화 복합추정량의 효율성을 제시하였다.

  • PDF

휘도성분과 색차성분의 유사성을 이용한 색차성분의 적응적 스캐닝 오더 결정 방법 (Adaptive chroma scanning order decision using correlation of luma with chroma)

  • 유성은;심동규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1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592-59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휘도성분과 색차성분의 유사성을 이용하여 부호화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하나의 영상을 구성하는 휘도성분과 색차성분은 유사성이 높아 그 유사성을 이용하여 부호화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현재 CU(Coding Unit)를 압축할 때 화면 내 예측방법을 사용한다면, 색차성분의 화면 내 예측모드가 휘도성분의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에 본 논문의 알고르듬을 적용한다. 색차성분이 휘도성분의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휘도성분과 색차성분 간 유사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휘도성분의 스캔방법을 기본으로 중요한 변환계수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색차성분의 스캔 방법을 적응적으로 결정한다. 현재 배포된 HEVC의 레퍼런스 소프트웨어인 HM 3.1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색차성분에 대해 0.39%의 부호화 효율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배전선로 가공인입 케이블 중성선 운영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eutral Conductor Improvement for 0.6/1kV XLPE insulated Power Cable)

  • 장정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5년도 제46회 하계학술대회
    • /
    • pp.1473-1474
    • /
    • 2015
  • 0.6/1kV CV 전선은 저압 지중선용 또는 가공저압배전선로 및 복잡한 인입선 정비를 위한 가공인입 간선용으로 사용한다. CV 전선은 내열성이 높고 내약품성 및 내유성이 우수하며 시공에 따른 미관성이 우수하여 가공인입용으로 적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10] 가공인입용 CV 전선내 전압선과 중성선 단면적은 동일하게 제작,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3상4선식 0.6/1kV CV 전선을 가공인입선에 적용시 중성선의 단면적을 전압선 단면적보다 평균 47%를 축소 개발, 현장에 적용하여 최적으로 중성선을 운영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인쇄용 고무roller의 제조와 물성: (I) 부타디엔고무와 니트릴고무 혼련물의 내유성 및 기계적 성질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Printing Rubber Roller : (I) Oil Resist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Butabiene Rubber/Nitrile Rubber Compounds)

  • 박찬영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3-101
    • /
    • 2000
  • In this experiment butadiene rubber(BR)/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NBR) blends was prepared and then the applicability of BR/NBR blends as printing rubber roller was examined. With the aid of open 2-roll mill, BR, NBR and another chemical additives were compounded. Then rubber vulcanizates were manufactured by hot press and maximum torque, Mooney viscosity, mechanical properties and oil resistance of the test specimens were measured. With prolonged oil aged treating time, BR/NBR blends became soft and so the hardness of blends decreased. It could be explained by the swelling of rubber matrix with oil penetration in to rubber molecules. The undesirable low value of oil resistance of BR was significantly improved by blending BR with NBR.

  • PDF

유성견에서 periodontal distraction에 의한 급속 치아견인 시 치수 및 치주조직의 변화에 관한 연구 (Pulp and periodontal tissue changes following rapid tooth retraction by periodontal distraction in young adult dogs)

  • 이종진;홍현실;채종문;조진형;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51-363
    • /
    • 2007
  • 유성견에서 periodontal distraction 과정을 통해 급속 견인 후에 치수와 치주조직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유성견의 상악 제2소구치를 발거하고 제3소구치 근심의 치간골을 부분 제거하였다. 견인장치는 6일 동안 하루에 2번씩 견인하고, 강화기 동안 0주, 1주, 3주, 5주, 7주, 9주에 치수와 치주조직의 변화를 임상적, 방사선학적, 조직학적, 면역조직화화학적으로 관찰하였다. 신장된 치주인대 내에서 견인 직후부터 4주까지 활발한 골밀도 증가를 보였으며, 특히 2-3주 사이에서 가장 활발하였다. 강화기 0주에 압박측 치조골의 흡수 및 파골세포 출현, 염증세포 침윤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고 1주의 신장측 치주인대에서 특징적인 골형성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신생골 형성은 1주와 3주에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며 9주에는 성숙골로의 대치 및 치주인대의 재생으로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실험군의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의 발현은 치수, 치주인대 내의 염증 부위에서 나타났으며 0주, 1주에 압박측 치주인대에서 증가하였다가 5주 이후에는 감소하여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이상과 같은 소견은 periodontal distraction에 의한 급속 치아 이동이 정상적인 골 재형성 과정을 도모하는 새로운 치아이동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대도시 초등학교별 학생수 증감 추세 분석에 관한 연구 - 대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 (An analytic Stud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Number of increasing and decreasing Trends in Large City - Focusing on the Case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

  • 윤용기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5권2호
    • /
    • pp.13-22
    • /
    • 2016
  • 본 연구는 대도시의 중장기적 학교수용계획시 학교신설 판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대전시 5개 구중 택지개발지역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는 유성구와 구도심지역이 대부분인 동구를 비교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도심지역인 동구와 대규모 택지개발지구인 유성구간 학생수 감소 유형 비교를 해본 결과 확연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개교시부터 학생수가 감소하는 유형8이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지구가 많은 유성구에서 의외로 많이 나타나고 있어 택지개발 사업지구내 학교수용계획에 문제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지역별로는 유성구는 학생수 증가 상승기가 많았고, 원도심지역인 동구는 이와 반대로 하락말기가 많았다. 본 연구는 대도시인 대전시 초등학교 학생수의 증감추세를 분석을 통하여 학교신설의 필요성과 신설규모에 대한 중장기 학교수용계획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으나 대도시 1곳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이를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어, 전국을 대상으로 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구기자 수집종(蒐集種)의 생육특성(生育特性)과 수양(收量)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Collected Boxthon(Lycium chinense Mill.) Varieties)

  • 이봉춘;백승우;김수동;윤덕상;박종상;곽태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47-154
    • /
    • 1999
  • 내병충(耐病蟲), 다수성(多收性) 구기자(拘杞子) 신품종(新品種)을 육성(育成)하기 위한 자료(資料)를 얻기 위하여 국내재내종(國內在來種) 5종(種), 육성종(育成種) 2종(種), 도입종(導入種) 4종(種)에 대하여 생육(生育) 특성(特性)과 수양성(收量性) 및 형질(形質) 과의 상관(相關), 경노계수(經路係數)를 조사(調査)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업종(蒐業種) 생육특성(生育特性)의 경장(經長)은 중국(中國) 수집종(蒐集種)이 $119{\sim}133cm$로 비교적(比較的) 큰 편이었고 분지수(分枝數)는 유성(儒城) 1호(號)가 많았으며 엽(葉)은 진도재내(珍島在來), 금산재내(錦山在來), 유성(儒城) 1호(號) 유성(儒減) 2호(號) 등(等) 이 광엽(廣葉)이었다. 2. 구기엽(枸杞葉)의 혹응애는 유성(儒城) 2호(號), 중국(中國) 1호(號), 일본(日本) 1호(號) 등(等)이 강(强)한 편이었으며, 과실(果實)분의 탄저병(炭疽病)은 일본(日木) 1호(號), 중국(中國) 1호(號) 등(等)이 10%미만(未滿)의 리병흑률(罹病黑率)을 보였다. 3. 개화기(開花期)는 청양재내(靑陽在來)가 빠른 편이었으며 1과당(果當) 종자수(種子數)는 중국(中國) 1호(號)가 30.5개(個)로 많았고 과육비률(果肉比率)은 영갱(寧更)가 높았다. 과실(果實) 크기 와 100과중(果重)은 금산재내(錦山在來), 유성(儒城) 2호(號)가 크고 무거웠다. 4. 1주당(株當) 과실(果實)의 착과수(着果數)는 유성(儒城) 2호(號)가 1,623개(個)로 수집종중(蒐集種中)에서 가장 많았으며 10a당(當) 건과(乾果) 수양(收量)은 청(靑) 양재내(陽在來)(152kg/10a)에 비하여 유성(儒城) 2호(號)가 86% 증수(增收)되 었다. 5. 과실(果實) 수량(收量)과 상관(相關)이 높았던 형질(形質)은 착과수(着果數), 분지수(分枝數), 엽(葉)크기였으며, 경노계수(經路係數) 분석(分析)에 의한 직접효과(直接效果)가 큰 것은 착과수(着果數)(Py=0.45) 였다.

  • PDF

캐나다 앨버타주 전기 백악기 맥머레이층의 유성이토 퇴적층 (Fluid-mud deposits in the Early Cretaceous McMurray Formation, Alberta, Canada)

  • 오주현;조형래
    • 지질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477-488
    • /
    • 2018
  • 유성이토는 현생 염하구 환경에서 흔히 발달하지만, 고기의 퇴적층에서 보고되고 퇴적학적으로 연구된 예는 드물다. 캐나다 앨버타주의 전기 백악기 맥머레이층에서 시추한 염하구 하도 퇴적층 내의 여러 이암층들은 고농도부유점토류에 의한 퇴적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이암층들을 현미경으로 자세히 관찰하여 3개의 미퇴적상(microfacies, <1~25 mm 두께)으로 구분하였다. 미퇴적상 1은 무구조의 이암(structureless mudstone)으로 주로 점토 입자로 구성되고 무질서하게 분포하는 조립질 입자(조립질 실트~세립질 모래)들을 포함한다. 조립질 입자들을 지지할 수 있는 양력을 지닌 점착성의 이토류, 즉 유성이토가 정지하여 미퇴적상 1이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quasi-laminar plug flow). 미퇴적상 2는 실트엽층을 포함하는 이암(silt-streaked mudstone)으로 산재한 조립질 입자를 포함하는 이암으로 구성되며, 불연속적이고 매우 얇은 실트엽층을 포함한다. 미퇴적상 1과 유사한 조직을 보이므로, 미퇴적상 2도 점착성의 유성이토에 의해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불연속적인 실트엽층은 plug 아래에 간헐적이고 약한 난류운동이 있었음을 제시한다(upper transitional plug flow). 미퇴적상 3은 이질 엽층리의 이암(heterolithic laminated mudstone)으로 실트엽층과 점토엽층의 교호로 구성되며, 평행엽층리 또는 저각도 사엽층리를 보이고 간혹 낮은 기복의 연흔 형태를 보인다. 이질 엽층리는 점착성 plug 아래의 난류층에서 입자크기에 따른 분급작용이 일어났음을 지시하며, lower transitional plug flow 아래에서 발달하는 낮은 층면구조에 의해 형성되었을 것으로 해석된다. 이 미퇴적상들은 유속과 부유이토농도에 따라 달라지는 유성이토의 여러 가지 상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다른 지역에서 유성이토층을 인지하고 이암의 퇴적작용을 보다 잘 이해하는데 본 연구의 결과가 중요한 지식을 제공하리라 생각된다.

허브부식토의 사료내 첨가에 따른 In Vitro 발효특성과 젖소의 유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Herbaceous Peat on In Vitro Fermentation and Milk Production in Dairy Cows)

  • 김현섭;박중국;김홍윤;김상범;양승학;김창현;안종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77-190
    • /
    • 2011
  • 본 연구는 허브 부식토를 이용하여 첨가 수준별 in vitro 반추위 발효특성 평가와 젖소를 이용하여 급여시 유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 1에서는 티머시 건초를 기질로 하여 허브부식토(herbaceous peat)를 0,1 및 5%를 3반복으로 각각 첨가하여 in vitro 반추위내 pH, 가스발생량, VFA (volatile fatty acid), ammonia-N 및 건물분해율을 조사하여 반추위내 발효성상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pH 변화는 0, 3, 12 및 24시간 배양에 있어서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6시간. 대조구에서 1 및 5% 첨가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은 pH를 나타냈다(p<0.05).가스 발생량은 배양 12시간까지 처리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 하였으며(p<0.05), 반추위액내 암모니아 농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24시간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처리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건물분해율은 모든 시간에서 5%구가 대조구 및 1%구와 비교하여 건물분해율이 높았다(p< 0.05) 따라서 허브부식토를 0, 1 및 5% 수준으로 각각 첨가하여 반추위내 in vitro 배양시간 별 반추위 발효특성은 대부분 조사항목에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개선효과를 나타냈으며, 시험 2에서는 젖소를 이용하여 사양시험을 통해 유생산성을 평가하였으며, 우유생산량 변화와 유성분 및 체세포 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홀스타인 착유우 16두를 공시하여 4주간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산유량은 T3구가 25.0 kg으로 대조구(23.2 kg), 부식토 처리구(23.1 kg), 비타민 C 처리구(23.4 kg)와 비슷하여 수치적으로 증가하였다. 대조구와 처리구별 시험 시작 전 유성분(유지방, 유단백, 유당, MUN 및 SNF) 및 체세포 수의 변화는 일부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5). 4주간의 시험 기간 중 전반기(1~2주)와 후반기(3~4주)의 유성분 변화를 보면 부식토 첨가구에 있어서 유단백질과 SNF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조구와 처리구의 시험 시작 전 의 혈액내 영양성분 (총단백질, 콜레스테롤, NEFA, BUN), 간기능 성분(AST, GGT) 및 무기물(Ca, P, Mg)에서 뚜렷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착유우에 부식토를 급여하는 것이 유성분, 체세포 수 및 생리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