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tic Stud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Number of increasing and decreasing Trends in Large City - Focusing on the Case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

대도시 초등학교별 학생수 증감 추세 분석에 관한 연구 - 대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

  • 윤용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6.06.21
  • Accepted : 2016.08.26
  • Published : 2016.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s for determining when a school established long term school plans accepted by analyzing the trend of increase or decrea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30 years to target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Most were analyzed for land development area of Yuseong-Gu, and most of the old downtown area of Dong-Gu for this purpos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o analyze the number of students increase or decrease trend forecasting model specific case in residential development projects in the district are Model8 4 schools (11.8%) in Yuseong-Gu were compared higher than one schools (4.3%) in the Dong-Gu. This suggests the need for a cautious approach in the planning of schools accommodated in a large housing development district. Second, large-scale land development trend analysis results Students sensitized Yuseong-Gu business district is followed by a new school in 11 schools (29.7%), Old town in Dong-Gu, which is contrary 13 schools (56.5%) were in a downturn.

본 연구는 대도시의 중장기적 학교수용계획시 학교신설 판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대전시 5개 구중 택지개발지역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는 유성구와 구도심지역이 대부분인 동구를 비교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도심지역인 동구와 대규모 택지개발지구인 유성구간 학생수 감소 유형 비교를 해본 결과 확연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개교시부터 학생수가 감소하는 유형8이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지구가 많은 유성구에서 의외로 많이 나타나고 있어 택지개발 사업지구내 학교수용계획에 문제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지역별로는 유성구는 학생수 증가 상승기가 많았고, 원도심지역인 동구는 이와 반대로 하락말기가 많았다. 본 연구는 대도시인 대전시 초등학교 학생수의 증감추세를 분석을 통하여 학교신설의 필요성과 신설규모에 대한 중장기 학교수용계획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으나 대도시 1곳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이를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어, 전국을 대상으로 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윤용기, 중소도시 초등학교별 학생수 증감 추세 분석에 관한 연구, 교육환경연구, 2016.4
  2. 윤용기, 1기 신도시 초등학교별 학생수 증감 추세 분석에 관한 연구, 교육환경연구, 2015.12
  3. 윤용기, 학생수용시설사업의 학교입지 유형별 조사.분석, 교육개발원, 20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