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내분비

검색결과 445건 처리시간 0.03초

하악 매복 견치의 치과적 접근 (IMPACTED MANDIBULAR CANINES; CASE REPORT)

  • 백병주;서정아;박종하;양연미;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11-617
    • /
    • 2003
  • 하악 견치의 매복은 약 0.1%의 발생 빈도로서 상악의 경우보다 드물게 나타나며, 매복의 원인으로는 맹출 및 배열 공간의 부족, 유견치의 조기상실, 과도한 치관 길이, 유전적 요인, 내분비선의 기능적 장애, 종양, 외상 등이 있다. 하악 매복 견치에 대한 치과적 접근으로는 교정적 힘을 가하여 매복치아를 구강으로 맹출시키는 방법과 외과적으로 매복치아를 노출시켜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다음의 두 증례는 하악 매복 견치의 두 가지 치료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공간 부족, 매복 치아의 예후, 인접치아의 접근 정도 등을 고려하여 외과적 치료를 시행한 11세 여자 환자의 경우와 교정적 정출을 시도한 14세 남자 환자의 경우이며, 모두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외과적 노출술을 이용한 매복된 하악 제1 대구치의 자발적 맹출유도 (ERUPTION GUIDANCE OF IMPACTED MANDIBULAR FIRST MOLAR BY SURGICAL EXPOSURE)

  • 김은정;김난진;조호진;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98-604
    • /
    • 2004
  • 하악 제 1대구치 매복의 발생 빈도는 전체 인구의 0.01%로 드물게 나타난다. 매복의 원인으로는 맹출 공간의 부족, 과잉치, 치성 종양이나 낭과 같은 맹출로상의 장애물, 유전적 요인, 내분비 질환, 외상 등이 있다. 하악 제 1대구치의 매복으로 인해 하안면 고경의 감소, 낭의 형성, 치관 주위염, 인접치의 치근 흡수, 부정 교합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며, 치료 방법으로는 외과적 노출술, 교정적 견인, 외과적 재위치술, 발거 등이 있다. 다음의 두 증례는 하악 제 1대구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에게 외과적 노출술을 시행하여 원심 경사 매복된 하악 제 1대구치의 자발적 맹출을 유도한 증례들이다.

  • PDF

선천성 갑상샘기능저하증의 유전자 변이 (Genetic Variations of Congenital Hypothyroidism)

  • 이용화;이동환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7권1호
    • /
    • pp.9-15
    • /
    • 2010
  • 선천성 갑상샘 기능 저하증은 신생아 3,000명 내지 4,000명당 한 명꼴로 발생하며 선천성 내분비 질환 중 가장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질환은 갑상샘 발달 과정의 결함으로 인한 갑상샘 형성 부전 또는 호르몬 합성 장애로 인해 가장 흔히 발생한다. 이는 대부분 산발성으로 발생하나 갑상샘 형성 부전의 2%정도에서 가족성으로 발생하기도 하며 유기화 결함에 의한 갑상샘 기능 저하증은 열성으로 유전된다. 본 질환과 관련된 후보 유전자들은 갑상샘 형성 부전 군과 갑상샘 호르몬 합성 장애 군 등 크게 두 군으로 나뉜다. 갑상샘 형성 부전과 관련된 유전자는 비증후군성에 속하는 것으로 TSHR 유전자가 있고 여러 다른 복합적 기형을 동반한 증후군성에 속하는 것으로 Gsa 유전자 및 갑상샘 전사 인자 유전자(TTF-1, TTF-2, Pax-8) 등이 있다. 호르몬 합성장애와 관련된 것으로 TPO와 TG 유전자가 언급되었고 근래 PDS, NIS와 THOX2 유전자가 소개되었다. 또한 iodothyronine 이동 결함과 관련되어 심각한 신경학적 후유증을 동반할 수 있는 갑상샘 기능 저하증에 대한 유전적 근거가 제시되었다.

장애인의 미충족 치과치료 실태조사 (Survey of Unmet Dental Treatment Needs among Adult Disabled)

  • 진혜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501-7507
    • /
    • 2015
  • 이 연구는 장애인 대상 치과진료 필요자 중 치과의료 서비스 미충족율과 그 이유를 조사하고, 미충족 치과치료에 따른 구강상태를 분석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 대상 중 만 19세 이상 장애등록 응답자 444명을 선정하였고, 그 중 구강검진과 설문조사를 완료한 대상자 375명을 최종분석하였다. 장애유형은 6종류(지체장애, 뇌병변장애, 감각장애, 발달장애, 정신장애, 내분비장애)로 분류하였다. 연구대상자 중 미충족 치과치료 대상자는 128명이었으며, 최근 1년 동안 치과진료를 받지 못한 가장 주된 이유는 '경제적인 이유로'에 대한 항목이 49.2%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른 문제에 비해 덜 중요하다고 느껴서'에 대한 항목이 18.0%이었다. 치주질환과 영구치우식경험을 가진 장애인 중 미충족 치과치료 빈도와 진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치과진료 자원의 가용성 측면에서 장애인 수 대비 적절한 치과진료 서비스를 충분히 제공하여 치과진료 서비스의 원활한 이용이 요구된다.

시베리아 호랑이에서 발생한 악성후복막부신경절종 증례 (Malignant Retroperitoneal Paraganglioma in a Siberian Tiger)

  • 신상경;박병민;염소영;김태왕;나기정;안병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22-525
    • /
    • 2011
  • 조직병리소견과 면역염색결과를 바탕으로 14년령 암컷 시베리아 호랑이의 복막뒤공간에서 발생한 악성부신경절종을 보고하였다. 부신경절종은 동물에서 드물게 발생하는 신경내분비종양으로 주로 자율신경계의 부신외신경절 세포로부터 발생한다. 원발종괴는 복막뒤공간에 요추의 배쪽면을 따라 장방향으로 부착되어 있었고, 장간막림프절, 신장, 자궁, 부신, 폐, 흉선으로 전이되었다. 종양세포는 다각형의 통통한 형태에 과립상의 호산성 세포질을 갖고 있었으며, 섬유혈관 기질에 의해 구획되어 집락(cluster) 또는 둥지(nest) 모양으로 배열된 전형적인 Zell-ballen 형태를 나타냈다. 면역염색에서 synaptophysin, chromogranin A, neuron-specific enolase에 특이적인 양성반응을 보였다. 본 증례는 시베리아 호랑이에서 발생한 악성후복막부신경절종이 전신으로 전이된 최초보고이다.

간전이가 있는 직장구불결장의 신경내분비 종양 환자의 카르시노이드 증후에 의해 발생한 설사에 대한 한약 치료 시도 : 증례 보고 (Herbal Medicine Therapeutic Attempt for Diarrhea Induced by Carcinoid Symptoms of Rectosigmoid Neuroendocrine Tumor with Liver Metastasis Patient : a Case Report)

  • 전형준;김종민;조종관;이연월;유화승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2-78
    • /
    • 2015
  • This study aims to report a case of rectosigmoid neuroendocrine tumor patient with liver metastasis whose outstanding carcinoid symptom was mucosal diarrhea for more than 10 times a day. Three different herbal decoctions were administered orally for the treatment of diarrhea which was among carcinoid symptoms from diffuse metastatic liver lesion. The herbal decoctions given were modified Lijung-tang, modified Sambaek-tang and modified Jeokseokjiuyeoryang-tang. The administration period was 5, 14 and 9 days respectively. Frequency of patient's mucosal diarrhea had increased consistently during hospitalization. It had almost doubled compared to pre-hospitalization up to 27 times/24 hrs. But during the period of modified Sambaek-tang administration, frequency of diarrhea was maintained between 9 to 15 times/24hrs. There was no difference of liver tumors between Nov 16th 2013 and Dec 9th 2013 in computed tomography images. Three conventional established herbal prescriptions administered in this case didn't show any favorable effect on improving mucosal diarrhea induced by carcinoid symptoms of a rectosigmoid neuroendocrine tumor with liver metastasis. Even if modified Sambaek-tang showed partial effect on frequency of diarrhea, we concluded that it was not sufficient to be a therapeutic method of the diarrhea as carcinoid symptom.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dditional studies about the diarrhea of neuroendocrine tumor with liver metastasis.

McCune-Albright 증후군의 임상적 및 내분비학적 특징 (Clinical and Endocrin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McCune-Albright Syndrome)

  • 권유진;김유미;김자혜;최진호;유한욱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0-125
    • /
    • 2013
  • Purpose: McCune-Albright syndrome (MAS) is caused by activating mutations in the GNAS gene, resulting in peripheral precocious puberty, caf$\acute{e}$-au-lait spots, and polyostotic fibrous dysplasia (POF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scribe the diverse clinical and endocrin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MAS. Methods: Seven patients with MA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d medical chart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for following parameters: patient's sex and age at diagnosis, POFD, ovarian cysts, and precocious puberty. Results: The mean age at diagnosis was $5.8{\pm}4.2$ years. One patient was male (14%) and the other six patients were female (86%). Peripheral precocious puberty was associated with 6 patients (86%). Five patients manifested premature menarche as early as 2 to 5 years of age. Letrozole was administered to 4 patients, tamoxifen to one patient and GnRH agonist to one patient. Five females developed ovarian cysts. Thyroid function tests were performed in all patients and one patient showed hyperthyroidism (14%) and has been treated with methimazole. One patient presented with pseudohypoparathyroisdism, phosphaturia, calciuria suggesting hypophosphatemic rickets. Six patients (86%) revealed POFD. One patient had symptoms of optic nerve compression and secondary esotropia and 2 patients had bone pain. Conclusion: This study described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endocrine complications of patients with MAS. Careful physical examinations with history taking and serial endocrine function tests should be needed to detect complications such as endocrinologic hyperfunction and POFD.

  • PDF

어류를 이용한 내분비계 장애물질 검출 및 Biomarker로서 Vitellogenin의 이용 (Detection of Endocrine-Disrupting Chemicals in Fish and the Use of Fish Vitellogenin as a Biomarker)

  • 윤석주;김일찬;윤용달;이재성
    • 생태와환경
    • /
    • 제36권2호통권103호
    • /
    • pp.97-107
    • /
    • 2003
  • 어류 vitellogenin은 난황전구체로 난형성과정동안에 estradiol의 체내 순환에 의해 암컷의 간에서 생산되며 alkylphenol류와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의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의해 수컷에서도 생산된다. 물 환경의주요 생물종인 어류는 내분비계장애물질에 의해 암컷에서는 번식률 저하와 함께 수컷에서는 정소의 축소 및 이에 따른 암컷화가 관찰된다. 특히 수컷에서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의해 유도된 vitellogenin의 생성을 이용하여 환경오염에 의해 유도된 생물체의 유전자 발현 변화 뿐만 아니라 이를 토대로 특정지역의 환경오염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어류의 vitetlogenin를 이용하여 수환경의 내분비계장애물질의 검출과 환경오염모니터링을 위한 biomarker로서의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Di-2-ethylhexyl Phthalate (DEHP)에 노출된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의 혈액적 (Di-2-ethylhexyl Phthalate Induced Haematological Effects in Bagrid Catfish, Pseudobagrus fulvidraco After Short Term Exposure)

  • 지정훈;금유화;강주찬
    • 생태와환경
    • /
    • 제37권3호통권108호
    • /
    • pp.313-318
    • /
    • 2004
  • Di-2-ethylhexyl Phthalate (DEHP)는 내분비장애물질로 분류되어 있는 플라스틱 가소제로서 in vitro에서 혈구세포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를 대상으로 DEHP 급성 노출에 따른 혈액학적 영향을 파악하기위하여 어체중 당 300 및 1,000 mg의 DEHP를 복강주사하였다. DEHP (1,000 mg b.w. $^{-1}$에 노출된 동자개는 적혈구수와 혈색소 농도 및 적혈구 용적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혈청 내 유기성분인 총단백질량, 콜레스테를 수치는 300 및 1,000 mg 주사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지방산의 농도는 1,000 mg 주사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무기성분인 칼슘농도와 혈액 삼투압 농도는 1,000 mg DEHP 노출구에서 유의적인 감소가 관찰되었다.

The Eosinophil Count Tends to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Levels of Serum Glucose in Patients with Adrenal Cushing Syndrome

  • Lee, Younghak;Yi, Hyon-Seung;Kim, Hae Ri;Joung, Kyong Hye;Kang, Yea Eun;Lee, Ju Hee;Kim, Koon Soon;Kim, Hyun Jin;Ku, Bon Jeong;Shong, Minho
    •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 /
    • 제32권3호
    • /
    • pp.353-359
    • /
    • 2017
  • Background: Cushing syndrome is characterized by glucose intolerance, cardiovascular disease, and an enhanced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caused by chronic exposure to excess cortisol. Eosinopenia is frequently observed in patients with adrenal Cushing syndrome,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osinophil count in peripheral blood and indicators of glucose level in patients with adrenal Cushing syndrome has not been determine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undertaken of the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of 40 patients diagnosed with adrenal Cushing syndrome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16. Clinical characteristics, complete blood cell counts with white blood cell differential, measures of their endocrine function, description of imaging studies, and pathologic findings were obtained from their medical records. Results: Eosinophil composition and count were restored by surgical treatment of all of the patients with adrenal Cushing disease. The eosinophil count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serum and urine cortisol, glycated hemoglobin, and inflammatory markers in the patients with adrenal Cushing syndrome. Conclusion: Smaller eosinophil populations in patients with adrenal Cushing syndrome tend to be correlated with higher levels of blood sugar and glycated hemoglobin. This study suggests that peripheral blood eosinophil composition or count may be associated with serum glucose levels in patients with adrenal Cushing syndr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