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ACTED MANDIBULAR CANINES; CASE REPORT

하악 매복 견치의 치과적 접근

  • Baik, Byeong-Ju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College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Seo, Jeong-Ah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College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Park, Jong-Ha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College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Yang, Yeon-M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College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Jae-Go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College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백병주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 연구소) ;
  • 서정아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 연구소) ;
  • 박종하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 연구소) ;
  • 양연미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 연구소) ;
  • 김재곤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 연구소)
  • Published : 2003.11.29

Abstract

Impacted mandibular canines are less common than impacted maxillary canines. The proceeding studies show that impacted mandibular canines occur in approximately 0.1% of patients examined. The causes of impacted mandibular canines are inadequate space, premature loss of the primary dentition, excessive crown length, hereditary factors, functional disturbances of endocrine glands, tumors, and traumas. The basic choices for treatment of those cases are orthodontic migration or surgical removal. This is a case report about those two different treatment methods. One patient was 11 years old female who had treated with surgical approach and the other was 14 years old male who had received orthodontic treatment.

하악 견치의 매복은 약 0.1%의 발생 빈도로서 상악의 경우보다 드물게 나타나며, 매복의 원인으로는 맹출 및 배열 공간의 부족, 유견치의 조기상실, 과도한 치관 길이, 유전적 요인, 내분비선의 기능적 장애, 종양, 외상 등이 있다. 하악 매복 견치에 대한 치과적 접근으로는 교정적 힘을 가하여 매복치아를 구강으로 맹출시키는 방법과 외과적으로 매복치아를 노출시켜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다음의 두 증례는 하악 매복 견치의 두 가지 치료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공간 부족, 매복 치아의 예후, 인접치아의 접근 정도 등을 고려하여 외과적 치료를 시행한 11세 여자 환자의 경우와 교정적 정출을 시도한 14세 남자 환자의 경우이며, 모두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