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남자간호사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6초

교대근무 남자간호사의 실무 적응 경험 (Adaptation Experience of Male Nurses on Shift work)

  • 오화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1호
    • /
    • pp.185-195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교대근무 남자간호사의 실무 적응 경험에 대하여 총체적으로 해석하는 데 있으며,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기 위함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09월부터 2022년 11월까지였으며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 전문병원,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남자간호사 9명을 대상으로 내용의 포화가 될 때까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에 따라 적용하였고 연구 결과 4개의 범주와 11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4개의 범주는 '교대근무로 인한 변화', '성별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 '업무수행을 위한 적응', '미래를 위한 성장과 방향성'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교대근무 남자간호사의 실무 적응 경험에 대한 의미를 탐색할 수 있었으며, 간호업무 수행을 위한 근무환경 개선 방안과 남자간호사의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자간호사가 인식하는 남자간호사에 대한 이미지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Female Nurse's Image of Male Nurses)

  • 이은수;권혁수;이양숙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36-344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job recognition of female nurses and perceived image of male nurses, and to investigate predictive factors affecting this perceived image.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September and October 2015 with 143 female clinical nurses who worked at hospital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emale nurses recognition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images of male nurses. Social image(r=.41, p<.001), professional image(r=.45, p<.001), and nursing job prospects(r=.49, p<.001)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erceived image of male nurses. Nursing job prospect(${\beta}=.193$, p=.049), perception that male nurses were suitable for their jobs(${\beta}=.329$, p<.001), mass media experience related to male nurses(${\beta}=.244$, p<.001), social image(${\beta}=.225$, p=.009) and professional image(${\beta}=.191$, p=.021) explained 42.7% of the variance in image of male nurses.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ursing education and research should find concrete ways to improve perceived image of male nurses. It will enhance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by improving male nurses'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with female nurses.

남자간호사의 성역할 갈등, 간호전문직관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Gender Role Conflict, Nursing Professionalism on Turnover Intention among Male Nurses)

  • 염은이;서금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794-80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간호사의 성역할 갈등, 간호전문직관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서울,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 소재의 병원 10곳에 근무 중인 남자간호사 106명을 대상으로, 2014년 11월 8일부터 2015년 11월 30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직무만족도(${\beta}=0.427$, p<.001)가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내는 변수였으며, 간호전문직관(${\beta}=-0.244$, p=.004), 성역할 갈등(${\beta}=0.126$, p=.035) 순으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전체 변수는 이직의도에 대해 약 30.2%의 설명력을 나타냈다(F=16.14, p<.001). 그러므로 직무만족도 및 간호전문직관 향상, 성역할 갈등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략이 남자간호사의 이직의도 감소를 위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의사와 간호사의 복장에 대한 의사, 간호사 및 환자의 견해 (Attitudes of Physician, Nurse and Patient towards Physician's and Nurse's Uniform)

  • 정연희;김석범;강복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324-346
    • /
    • 1996
  • 의사와 간호사의 복장에 대한 견해를 파악하기 위하여 1996년 3월1일부터 1996년 3월31일까지 영남대학교 의료원에 근무하는 의사 130명, 간호사 147명과 입원환자 211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의상의 복장에서는 의사와 간호사 모두 기존 코트 형태의 가운보다 다른 형태의 가운을 선호하였고, 특히, 의사보다 간호사들이 더 선호하였다. 환자에서 전체적으로 기존 형태와 다른 형태의 가운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는 없었으나, 학력이 높을수록 다른 형태의 가운을 더 선호하였다(p<0.01). 의사의 가운 색상에 있어 의사와 간호사의 73.6%는 흰색을 선호하였으며, 환자는 86.3%가 흰색을 선호하였다. 남자의사가 여자의사와 간호사에 비해 흰색을 더 선호하였고(p<0.01), 환자에서는 색상 선호도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진료시 넥타이를 착용해야 한다라는 응답률이 남자의사, 40세 이상 의사, 내과계 근무 의사, 그리고 교수에서 다른 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환자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60세 이상군이 다른 연령군보다, 초등졸 이하군이 다른 학력군보다, 기타 시지역 거주자와 군지역 거주자가 대구시 거주자보다 더 높았다(p<0.01). 주말 및 휴일 진료시 의사의 캐주얼 복장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찬성하는 편이었고, 의사의 연령이 젊을수록 유의하게 선호도가 높았다(p<0.05). 간호사 복장에 대해서는 의사와 간호사 전체의 78%가 바지 착용을 선호하였고, 간호사는 96%가 바지 착용을 선호하였으며, 특히, 40세 이상군과 외래, 지원 및 행정부서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100% 선호하였다. 환자들은 학력이 낮을수록 스커트를 선호하였고, 고학력군일수록 바지 착용을 선호하였다. 간호사의 가운 색상에 대해서는 의사와 간호사 전체의 46.7%가 흰색을 선호하였고, 의사들은 흰색을, 간호사들은 다른 색을 더 선호하였다(p<0.01). 환자들은 79.1%가 흰색을 선호하였다. 캡 착용에 대한 문항에서 간호사들은 95.9%가 착용하지 않아도 좋다고 응답하였으며, 특히, 40세 이상군과 외래 및 특수부서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전원 캡을 착용하지 않아도 좋다라고 응답하였다. 반면에 환자들은 77.7%가 캡을 착용하여야 한다라고 응답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의사와 간호사의 복장은 기존의 전통적인 형태와 색상만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의사와 간호사 본인들과 환자들의 의견을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시대적 흐름과 현실감각에 맞게 가운의 형태와 색상에 변화를 주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사료되었다.

  • PDF

남자 간호사의 이직의도 예측모형 (A Prediction Model on the Male Nurses' Turnover Intention)

  • 김수올;강윤희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85-594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a predictive model on the male nurses' turnover intention. Methods: This study utilized the model-testing design based on the Price's causal model of turnover.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306 male nurses on a national scale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measuring job opportunity, kinship responsibility, positive emotion, work autonomy, role conflict, work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2.0 program and AMOS 20.0 program. Results: As the outcomes satisfied the recommended level, the hypothetical model appeared to fit the data. Twenty-seven of the 38 hypotheses selected for the hypothetical mode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54.2% of turnover intention was explained by job opportunity, kinship responsibility, positive emotion, work autonomy, role conflict, work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 The hypothetical model of this study was confirmed to be adequate in explaining and predicting male nurses' turnover intention.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to design appropriate strategies to decrease the male nurse's turnover intention.

남자 간호사의 이직 경험 (Turnover Experience of Male Nurses)

  • 김현수;이정섭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25-38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urnover experiences of men in nursing and to derive a substantive theory on the turnover experience of men who are nurs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3 men who had worked as a nurse for 1 year or more, and had a turnover experience during that perio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Results: The core category in the turnover experiences of the respondents was 'seeking a stable place for me'. In the analysis of the core category, types of 'contentment', 'seeking', 'survival' and 'confusion' were identified. The sequential stages of these nurses' turnover experience were 'confrontation', 'incertitude', 'retrying' and 'realization'. However, when a problem arose in the process, they returned to the stage of confusion. Thus, these stages could occur in a circular fashion. Conclusion: These findings provid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turnover experience of men in nursing and offers new information about how they adapt to nursing practice. The findings should be useful as foundational data for men who hope to become nurses and also for managers responsible for nurses who are men.

남자 간호사의 실무 적응 경험 (The Male Nurses′ Experiences of Adaptation in Clinical Setting)

  • 손행미;고문희;김춘미;문진하;이명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7-25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ied the male nurses' encounter in adapting themselves in the hospital settings dominated by the female nurses in number. Metho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of 16 male nurses and analysed through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Result: The behaviors of have made tremendous for job-adaptation can be summarized as a series of struggles to consolidate their own ground. They have made tremendous efforts to hold their own ground in the nursing profession composed of a large numbers of female nurses, while they have experienced many difficulties and problems as minorities. They have struggled to adapt themselves professionally through efforts such as; challenging the social and professional barriers, identifying the job identity, empowering themselves through self-development and dedication, expanding their influence among colleagues. In spite of these efforts, they had the perception that nursing is not a lifelong occupation for them. Thus, they had tendency to find outlets of change to occupations. Conclusion: A specific strategy is needed to provide an environment that is helpful for males in integrating into and adapting to the nursing profession.

남자 간호사의 사회적지지, 정서적 소진 및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Social Support, Emotional Exhaustion and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of Male Nurses)

  • 강정희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5-183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emotional exhaustion and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of male nurs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0 male nurses working in hospitals,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Results: The current job satisfaction rate of male nurses was 52.8%, and the rate of intention to leave within one year was 38.2%. Job satisfaction was lower for male nurses as job stress was higher(${\beta}=-.44$), p<.001), and the higher the supervisory support in social support,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beta}=.23$), p=.011). The higher the emotional exhaustion, the higher the intention to leave(${\beta}=.35$, p<.001). Conclusion: In order to maintain male nurses as important nursing staff in hospitals, various policy are needed to reduce the job stress of male nurses and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by lowering job stress and to reduce the intention to leave by reducing emotional exhaustion.

경기 북부지역 복지시설 이용노인의 급식 현황 및 만족도 조사 (Foodservice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the Welfare Facilities in the Northern Gyeonggi-do Area)

  • 김영순;박영심;최병범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72-880
    • /
    • 2014
  •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인 경기 북부(의정부, 양주, 동두천)에 거주하는 노인을 성별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노인의 급식 서비스 이용 현황 및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일반적 특성을 보면, 평균 연령은 76.7세이며, 남성과 여성이 각각 35.7, 64.3%, 배우자 사별은 남자노인은 46.9%, 여자노인은 85.0%로 나타났다. 학력은 중학교졸 이하가 전체의 88.1%로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과거 직업은 대부분 무직(33.6%)이거나 자영업(13.4%)에 종사하였다. 남자노인과 여자노인 각각 78.1, 79.2%로 비교적 자유로운 일상 활동이 가능하였고, 건강정보 출처는 남자노인과 여자노인 각각 건강전문가(49.0, 45.7%), 대중매체(34.4, 33.5%)의 순이었고, 건강정보 출처 신뢰도 역시 남자노인과 여자노인 각각 건강전문가(65.6, 59.8%), 대중매체(19.5, 20.8%)의 순이었다. 운동 횟수는 남자노인은 '1주일에 1~2회'(43.8%), '매일'(21.9%)의 순이었으나, 여자노인은 '거의 하지 않는다'가 63.0%로 가장 많다고 응답하여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노인들이 현재 앓고 있는 질환은 남자노인은 '고혈압'(27.1%), '당뇨병'(21.9%), '뇌졸중'(19.8%)의 순이었고, 여자노인은 '고혈압'(32.4%), '당뇨병'(24.9%), '관절염'(15.0%)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급식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유로는 남자노인은 '혼자 차려먹기 귀찮아서'(28.1%), '친구를 만날 수 있어서'(25.0%), '경제적인 이유'(14.6%)의 순이었으나, 여자노인은 '경제적인 이유'(25.4%), '친구를 만날 수 있어서'(23.1%), '혼자 차려먹기 귀찮아서'(23.1%)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노인의 복지시설 급식서비스의 시행을 알게 된 경위는 남자노인과 여자노인 각각 전체의 36.5, 68.8%가 '집 가까이 있어서' 자연스럽게 알게 되었고, 30.2, 8.7%가 '가족의 소개로 알게 되었다고 응답하였으며, 남자노인과 여자노인의 65.6, 43.4%가 질환별 급식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남자노인과 여자노인 각각 전체의 56.3, 72.3%, 52.1, 86.7%, 53.1, 89.6%가 급식의 맛, 위생 상태, 온도가 '만족한다'고 응답하여, 특히 여자노인의 만족도가 남자보인보다 훨씬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복지 시설 만족도는 남자노인과 여자노인 각각 전체의 78.1, 69.9%가 '만족한다'고 응답하였고, 이들 중 만족한다고 응답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만족 이유로는 남자노인과 여자노인 각각 '식사를 제공하여서'(28.0, 37.2%), '노인들과 어울려 노는 것이 좋아서'(20.0, 22.3%), '시설이 좋아서'(18.7, 18.2%)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시설종사자 만족도는 '기타 및 무응답'이 남자노인과 여자노인 각각 49.3, 67.8%이었으며, 남자노인은 '시설 행정직원'(13.3%), '간호사'(9.3%), 여자노인은 '간호사'(12.4%), '시설 행정직원'(8.3%)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을 토대로 복지 관련 시설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급식 및 복지서비스의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 및 활용하고, 향후 경기 북부 실버산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남자 임상간호사의 경험에 관한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f Male Hospital Nurses' Experiences)

  • 안경하;서지민;황선경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52-665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job experiences of male hospital nurs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0 male nurses working at general hospitals,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subsequently transcribed verbatim. Using content analysis, data were coded and categorized. Results: The analyzed domains were motivations for choosing nursing, occupational experiences (3 subdomains), and attitudes toward the future. A total of 85 significant statements were selected from the data and classified into 32 categories. The nurses' motivations for choosing nursing were advantages of employment, their aptitude, scarcity value of men, professionalism and job security, good promotion, stable income, and family influence. In occupational experiences, they were assigned to special fields and dissatisfied with vertical relationship, promotion system, their salary, and gaps in military service time; they had difficulties in adapting to female-dominated groups and encountered gender role stereotype and preconception;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distinguished performance, but had damaged self-esteem, and were stressed and disappointed in their work. In their attitudes toward the future, they considered their career changes, but tried to make professional and personal advancement. Conclusion: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recruiting and retaining male nurses in clinical setting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