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남자간호사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2초

병원 종사자의 성 역할 정체감과 성 고정관념이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Gender Role Identity and Gender Stereotypes on the Prejudice Against Male Nurses of Hospital Workers)

  • 최주희;장철훈;김성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75-91
    • /
    • 2018
  • 여성이 대다수인 간호전문직에 남자간호사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그들은 성 고정관념에 따른 사회적 장벽에 부딪히며, 부서배치 등에서 차별을 경험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병원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성 역할 정체감과 성 고정관념이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양성성 집단은 성 고정관념과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이 다른 집단에 비해 낮았으며, 병원종사자들은 남자 간호사들이 일반인들에게 낯설고 생소하며, 응급실, 중환자실, 수술실 같은 병원의 특수 부서에서 주로 일할 것이라는 편견을 가지고 있었고, 성 고정관념은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의료기관은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양성 평등적인 조직문화를 구축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여 성 고정관념을 탈피하기 위해 노력하고, 간호조직 내에서 남성과 여성이 동등한 기회를 부여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공중보건간호사제도 관련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about System of Public Health Nurse)

  • 이영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13-23
    • /
    • 2016
  • 본 연구는 공중보건간호사제도가 국민보건향상이라는 목적에 부합하는 제도로 도입 될 수 있도록 의료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제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남자간호사 간호의 질 확인을 통해 공중보건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서술적 조사를 실시한 융합연구이다. 최종 연구 참여 인원은 의료서비스 제공자(간호사, 의사, 물리치료사 등) 75명, 이용자(입원환자 또는 환자 보호자) 65명으로 총 140명이었다. 기술통계와 Chi-square, t-test로 통계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공중보건간호사제도 도입에 대하여 제공자 집단 77.3%와 이용자 집단 66.2%가 동의하였다. 공중보건의료인으로 가장 적합한 직종으로 제공자의 81.4%, 이용자의 70.8%가 간호사라고 답하였다. 공중보건간호사의 복무기간에 대한 견해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t=7.56, p = .03). 공중보건간호사로서 필요한 간호역량에 대하여 제공자 집단과 이용자 집단 모두 간호전문성 개발 노력을 가장 중요시 하였다. 남자간호사 간호의 질 점수는 집단 간 차이는 없었으나 선행연구결과와 비교할 때 공중보건간호사로 배출될 남자간호사의 정신 사회적 간호, 의사소통 간호 확인을 위한 연구를 제언한다.

남자 간호사의 태움 경험 (Male Nurse's Taeoom Experience)

  • 홍경숙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4호
    • /
    • pp.83-91
    • /
    • 2024
  • 본 연구는 남자 간호사의 태움 경험을 탐색하여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에 태움 경험이 있는 임상 경험 1년 이상의 남자 간호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질적연구방법 중 하나인 현상학적 연구방법(Colaizzi)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남자 간호사의 태움 경험은 37개의 의미단위, 19개의 주제, 4개의 주제모음으로 구분되었으며, 4개의 주제모음은 '한 사람의 인생을 송두리째 변화시키는 체험', '여초조직에서 살아남기', '변화되기 어려운 간호조직', '나는 간호사'로 나타났다. 남자 간호사의 태움 경험은 남성의 특성을 이해받지 못한 채 나홀로 여성이 다수인 간호조직 내에서 적응을 위하여 고분군투하는 남자 간호사의 모습을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 간호조직의 차원에서 남자 간호사의 특성을 이해하고 조직 내에서 융화하기 위한 다각적 노력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융복합시대의 간호직과 성: 남자간호사에 대한 연구 (Nursing Jobs and Gender in our age of convergence: Research on Male Nurses)

  • 신자현;서명희;이명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287-297
    • /
    • 2016
  • 본 연구는 남자간호사의 연구 현황과 동향에 대한 고찰과 양적 자료 및 질적 자료의 분석이 함께 결합되어 진행된 혼합연구설계(Mixed Method Research Design)이다. 연구대상은 J도의 일개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남자 간호사 19명과 일개 간호학과 대학원에 재학 중인 여자간호사 29명으로 2015년 3월25일부터 4월 1일까지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수집된 양적 자료 분석은 SPSS 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질적 자료는 내용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남자간호사의 간호직에 대한 만족정도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지적인 전문가로 성장한다는 것'이 간호업무 수행 시 가장 만족스러움으로 나타났다. 질적 자료 분석결과 남녀 간호사가 남자간호사를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는 있었으나 남녀 간호사 모두에게서 남자간호사에 대하여 성고정관념을 넘어서는 긍정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바람직한 간호사의 이미지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남자간호사의 자기 이미지와 영향요인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n Male Nurses' Self-Image and Influencing Factors)

  • 박선아;전재희;염순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373-381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간호사 이미지와 관련된 연구들을 통합적으로 고찰하여, 남자간호사의 자기 이미지와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분석대상 논문은 2009년에서 2019년 사이에 발표된 논문 중 남자간호사의 자기 이미지와 관련된 12개의 논문이다. 우리는 문헌고찰을 통해 남자간호사의 자기 이미지로 1) 그냥 간호사, 2) 기회의 직업, 3) 직업 정체성 모호, 4) 제한된 역할의 4개 주제를 도출되었다. 남자간호사의 자기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3개의 주제로 도출되었으며, 구체적으로 1) 간호역량, 2) 사회적 성 고정관념, 3) 남자간호사 롤 모델 부재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남자간호사의 자기 이미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 마련이 필요하며, 추후 남자간호사의 사회적 역할과 인식 제고를 위해 남자간호사의 대중적 이미지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여자간호사가 인식하는 남자간호사의 유형 및 특성 : Q 방법론적 접근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le Nurses Perceived by Female Nurses : An Application of Q- Methodology)

  • 성지숙;염은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572-584
    • /
    • 2016
  • 본 연구는 인간의 주관성을 탐구할 수 있는 Q 방법론을 이용하여 여자간호사가 인식하는 남자간호사의 유형과 특성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35명의 P 표본에게 35개의 Q 표본을 9점 척도 상에 정규 분포의 형태로 분류하게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C-QUANL 프로그램으로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남자간호사에 대한 인식은 3개의 유형으로 확인되었으며, 제1유형은 '발전 지향적 옹호형', 제2유형은 '현실적 비판형', 제3유형은 '보수주의적 수용형'으로 분류되었다. 각 유형 간 공통된 견해는 '남자간호사는 여성 집단의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다'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세 가지 유형에 근거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남자간호사에 대한 여자간호사의 인식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회복실 남자간호사의 임상 적응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방법론의 융합적 접근 (Convergent Approach of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about Male Nurses' Adaptative Experience at PACU)

  • 박성주;김명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415-424
    • /
    • 2022
  • 연구의 목적은 회복실 남자간호사의 간호현장에서 체험한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기 위함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05월부터 2021년 05월까지였으며 종합병원 회복실에 근무하는 남자간호사 6명을 대상으로 자료가 포화상태에 이를 때까지 심층면담을 시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고, 분석결과 4개의 범주, 9개의 주제모음, 21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범주는 '간호의 길에 들어섬', '현실의 장벽에 부딪침', '살아남기 위한 안간힘', '부서에서의 자리매김'으로 구조화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회복실 남자간호사들의 임상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고, 실무 현장에서 이들이 적응하고 성장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남자간호사와 근무하는 여자 동료간호사의 간호현장 경험 (Female Peer Nurse's Experiences Working with the Male Nurses)

  • 서연옥;이경우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3권1호
    • /
    • pp.33-44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female nurses who are working with the male nurse as a colleague in the clinical settings. Methods: Eleven female nurses who were working with a male nurse over six months were interview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s: Six main meanings and nineteen themes emerged through this study. The six main meanings were as follows; prejudice against male nurses' roles,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collaboration and trust as a peer, deficit of intimacy due to inappropriate attitude, weakening stereotypes ideas about male nurses, permissive mind of gender difference and individuality, expectations to the male nurses' contributions to nursing profession. Conclusion: These results could be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strategies to improve the male nurses' adaptation to the nursing clinical settings.

남자고등학생의 남자간호사 이미지 (High School Boys' Images of Men as Nurses)

  • 위휘;박영례;송미승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8-128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ages of men as nurses held by high school boys, and to provide basic data about the desirability of nursing as a career choice for them. Method: Q-methodology which provides a method of analyzing the subjectivity of each item was used: The 35 high school boys classified 31 selected Q-statements into a normal distribution using a 9-point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pc-QUNAL program. Results: Among the high school boys, three types of images of men as nurses were identified. Type I; A promising occupation for men through active way of thinking, Type II; Men working in a woman oriented field of work, Type III; A promising profession without any gender stereotyp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pecific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the choice of nursing among high school boys.

간호사 이미지, 전공 만족도가 남자 간호 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Nurse Image and Major Satisfaction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Male nursing students)

  • 임경민;김희영;박금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423-431
    • /
    • 2017
  • 본 연구는 남자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와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B광역시, U광역시 소재 5개 대학의 1학기 이상 임상실습경험이 있는 남자간호대학생 180명이며 2016년 11월 15일부터 2016년 12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간호사이미지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평점은 3.95, 전공만족도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평점은 3.90점, 간호전문직관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평점은 3.79점이었다.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 정도는 학년(p=.001)과 간호학과 선택권유자(p=.02)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이미지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고, 간호전문직과 전공만족은 중간정도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전문직관을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는 하위요인 중 사회적 이미지, 개인적 이미지며 54.6%, 전공 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일반만족, 인식만족이었으며 전공만족도를 추가했을 때 60.6%로 전체설명력은 60.6%였다. 따라서 남자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높이기 위해서는 남학생들에게 간호사 이미지 인식 향상 교육과 전략이 필요하며 남자간호대학생이 전공 만족을 높일 수 있는 진로에 대한 긍정적 교육과 지도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