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남성 재킷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18초

남성의 재킷, 와이셔츠, 넥타이 색의 이미지 지각과 선호도 연구

  • 최유진;이명희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0-40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재킷, 와이셔츠, 넥타이 색과 지각자의 성별에 따른 남성 정장착용자의 이미지 지각의 차이를 밝히고, 성별 및 연령에 따른 남성 의복의 색 선호도의 차이를 조사하는 데 있었다. 연구방법은 준실험방법이며, 피험자간(between-subjects) 실험설계를 사용하였다. 2$\times$2$\times$2$\times$2의 요인설계로서 지각자의 성별(2), 재킷 색(2), 와이셔츠 색(2), 넥타이 색(2)을 독립변인으로 사용하였다. 재킷 색은 진남색과 회색을 택하였고, 와이셔츠 색은 흰색과 파란색이었으며 넥타이 색은 빨강과 파랑이었다. 이미지 지각을 측정하는 문항은 6개 차원의 7점 양극 형용사 쌍으로 구성된 의미미분척도였으며, 그 차원은 능력, 품위, 활동성, 선호평가, 남성성, 현시성이었다. 피험자는 서울 시내에 거주하는 20, 30대 남녀 각각 132명씩 총 264명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통계 분석방법은 Cronbach의 $\alpha$-신뢰도 계수 산출, t-검증, 사원변량분석, 이원변량분석, 일원변량분석과 Duncan의 다중범위검증을 실시하였다.

  • PDF

남성 재킷의 접착 제작방식과 비접착 제작방식 비교 - 30~49세 남성 재킷을 중심으로 - (Comparison of adhesive and non-adhesive manufacturing methods of men's jacket - Focusing on men's jacket aged 30 to 49 -)

  • 권동국
    • 복식문화연구
    • /
    • 제31권6호
    • /
    • pp.738-755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production of jackets with high fit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dhesive and non-adhesive production methods of men's jackets. An analysis of the manufacturing method showcased differences between the adhesive and non-adhesive manufacturing methods in the cutting and wick attachment method, the shape and attachment method of the chest reinforcing wick, the sleeve attachment method, and the shoulder pad and sleeve reinforcing cloth attachment method. In evaluating the outfit, the overall fit of the shoulder, the fit of the chest, and the fit of the armpit were found to be high in the non-adhesive production method. In evaluating appearance evaluation, the front shoulder, chest, and sleeve overall appearance showed a high non-adhesive production method.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wearability of the shoulder pad and the the attachment method of the upper sleeve reinforcing cloth, the non-adhesive production method should be used, and in order to increase the overall wearability and armpit wear of the chest, the difference in the attachment method, and the reinforcement method of the armhole should be used. In addition, to increase the appearance of the jacket, non-adhesive production methods such as differences in wick attachment methods, shoulder pads, sleeve reinforcing cloth, and sleeve attachment methods should be used.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진패션의 형태적 디자인 특성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Form of Jean Fashion in Fashion Collections)

  • 진박;김애경;이경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77-586
    • /
    • 2012
  • 이 연구는 진재킷과 진팬츠에 관한 연구로 패션컬렉션에 제시된 진재킷과 진팬츠의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고 활용 가능성을 모색함으로써 진패션 디자인 연구와 패션산업의 상품 기획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007년 S/S시즌에서 2011년 F/W시즌까지의 사진을 수집하여 통계프로그램 SPAW를 활용하여 빈도, 백분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남성의 진재킷에서 심플한 디테일에 미디움길이, 사각형실루엣을 활용하고, 여성은 여성스러움을 강조한 X자형 실루엣과 쇼트길이의 다양한 디테일을 활용한다. 남성의 진팬츠는 스트레이트 실루엣과 컴포트 실루엣으로 활용하고 여성은 다양한 실루엣, 피트, 길이로 다양한 이미지로 진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남성 맞춤 정장 재킷의 여유량을 결정짓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Ease in Men's Custom-fit Business Jackets)

  • 강여선;최혜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605-1616
    • /
    • 2004
  • 본 연구는 개개인에게 최적 맞음새를 제공하는 남자 맞춤 재킷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 치수 및 재킷 치수를 측정하여 여유량을 산출하였고, 또한 여유량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각 여유량을 신체 특성, 연령, 신체 인식정도 및 선호하는 재킷 실루엣별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동시에 소비자들이 재킷 전체 맞음새를 고려할 때 중요하게 여기는 부위를 연령 및 체격별로 분석하였다. 신체 치수에 따라 가장 민감하게 여유량이 변화한 부위는 가슴둘레였으며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의 여유량은 신체 치수보다는 재킷 실루엣을 위해 조정되는 부위였다. 신체 치수 다음으로 맞음새와 여유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이었다. 또한 재킷의 전체 맞음새를 위해 소비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부위는 어깨의 맞음새였으며 특히, 피트되는(fit)스타일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은 전체적으로 각 부위별, 특히 허리 맞음새에 특별한 관심을 보였다.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인식 중 엉덩이에 대한 인식에 따라 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레에서의 선호 맞음새가 달랐다. 또한 뚱뚱하다고 생각하는 소비자들이 오히려 여유가 적은 허리둘레 맞음새를 선호하였으며 이는 허리둘레 여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전통적인 재킷 실루엣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각 체격별로, 연령별로 그리고 선호 스타일별로 중요하게 여기는 맞음새 부위와 실제 재킷 부위별 여유량이 달랐으므로 기성 재킷 생산 업체에서는 타겟 체형 및 타겟 연령에 따라 재킷 부위별 여유량과 맞음새 중요 순위 및 그 정도를 달리하여야 소비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남성 의복과 헤어스타일이 전문성 및 선호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en's Clothing and Hairstyle on the Evaluation of Professionalism and Preference)

  • 강승희;이명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990-1001
    • /
    • 2009
  • 본 연구는 지각자의 성별, 의복, 헤어스타일이 남성의 전문성 및 선호도의 시각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방법은 준실험방법이었으며, 실험설계는 $2\times8\times2$(지각자의 성별$\times$의복$\times$헤어스타일)의 요인설계를 사용하였다. 자극물은 20대 남성의 사진 16장이었다. 의복은 베이지색과 남색의 테일러드 칼라 재킷, 베이지색, 남색, 빨강색의 점퍼와 스웨터였고, 하의는 청바지를 착용하였다. 헤어스타일은 길이에 따라 짧은형과 중간형으로 구분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서울지역의 남성 208명과 여성 223명이었다. 청바지와 함께 베이지색 스웨터를 착용하는 것은 지성적 이미지가 높게 보였고, 빨강색 점퍼의 착용은 지성적 이미지가 낮게 보였으며, 베이지색 재킷은 역능적 이미지가 낮게 평가되었다. 남성의 짧은 헤어스타일은 중간형 헤어스타일보다 전문성이 높게 평가되었다. 남자 지각자는 여자보다 짧은 헤어스타일을 더 선호하였으나 여자는 헤어스타일 선호도가 유사하였다. 여자는 테일러드 칼라의 재킷과 수티앵 칼라의 점퍼에 대한 선호도가 유사하였으나 남자는 재킷보다 점퍼의 선호도가 더 높았다. 베이지색 재킷에는 중간형 헤어스타일, 빨강 스웨터에는 짧은 헤어스타일이 전문성이 높게 평가되었다. 남자 지각자는 청바지에 수티앵 칼라의 점퍼를 착용한 것을 청바지에 테일러드 칼라의 재킷을 착용한 것보다 더 긍정적으로 평가함으로써 남자가 여자보다 옷차림에 대해 보수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또한 청바지 차림에서는 점퍼를 입고 짧은 헤어스타일을 한 남자가 긍정적으로 평가되었고, 재킷을 입고 중간형 헤어스타일을 한 남자는 부정적으로 지각되었다. 결론적으로 베이지색 재킷에는 중간형 머리, 빨강 스웨터에는 짧은형 머리가 전문성이 높게 보였으므로 의복과 헤어스타일이 상호작용하여 전문성 평가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30대 남성 슬림 핏 재킷원형 패턴설계 제2보 - 6패널 재킷을 중심으로 - (Patternmaking of Men's Slim-fit Jacket Sloper in Their 30's Part 2 -Focusing on 6-panel jacket-)

  • 김명옥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3-101
    • /
    • 2015
  •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patternmaking method of men's slim-fit six-panel jacket sloper in their 30's. The researcher collected four kinds of existing slopers and carried out appearance evaluations twice. The researcher's sloper was develop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existing sloper with high scores from the evalua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comparing the four kinds of existing slopers, dimensions and patternmaking methods of 18 areas, especially width of back chest and side chest, were varied according to the existing slopers. Second, the researcher's sloper had excellent scores in the appearance evaluations such as placements of side line on the chest, waist, hip line, measurement in dimension from the center back hip line and from waist line, and appearance of neck line. Third, the suggested sloper are as follows: the ease on the chest is 10.5 cm, 8~10 cm extends for the jacket length, the measure in dimension from the back waist is 2.2 cm, dart intake at the back side is 4 cm, dart intake at the front side is 1.5~2 cm, and dart intake at the front waist is 1 cm. This suggested six-panel jacket sloper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various slim-fit jacket designs which have the side panels.

남성 체형별(男性 體型別) 재킷 길 원형(原型)(Block) 연구(硏究) (The Study on Men's Jacket Block according to Somatotype)

  • 정재은
    • 패션비즈니스
    • /
    • 제10권1호
    • /
    • pp.41-5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provide dress forms and men's jacket block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ir somatotype. As the result of the previous research, based on 1290 males of 20 to 54 year-old, the shapes of adult male were 20 and each body shape was classified by size factor, height and chest girth and master size was selected considering appearance frequency. Somatotype YS(master size: height 170cm, chest girth 91cm) and HD1(master size: height 170cm, chest girth 94cm) were selected to develop dress forms and men's jacket block in the study. The procedure and results were follows; 1. The dress forms of somatotype YS and HD1 were provide base on means of 61 body measurements and cross sections of shoulder, chest, waist, hip of subjects belong to each somatotype. 2. New men's jacket blocks of somatotype YS and HD1 were developed based on the body surface extracted by draping and the result of comparative investigation on the conventional jacket patterns by wearing test. Also the drafting methods of new men's jacket blocks were provided. 3. Wearing test by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developed jacket blocks were estimated more highly than existing patterns.

남성 재킷 원형 제도법 연구 (A Study on the Flat Pattern Drafting of a Men's Jacket)

  • 이은진;김인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946-957
    • /
    • 2003
  •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 simple and well-fitting flat pattern drafting method for a men's jacket. Four jackets in thick muslin were made from four different drafting methods utilizing a few measures as breast girth, center back length, and chest width, which we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drafting methods of woman's jacket. The appearance of the 4 jackets was evaluated by a pool of evaluators consisted of graduate students who had much clothing construction teaching experiences and their motion adaptability was evaluated by two wearers who belonged within the range of the average measures of the Korean male figure as reported from the 1997's Census for Standard Body Measure. A drafting method evaluated as the most well-fitting and well-functioning in general was chosen and modified to enhance the appearance and was reevaluated to confirm its fit improve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a new drafting method, simple and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a woman's jacket pattern drafting method is proposed. Since this method is based on the minimal measures and ratios thereof, and is not as complicated as ordinary drafting methods for men's wear, the researcher expects that this drafting method allows more chances for the students to learn and understand men's wear more easily and comforta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