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길항세균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3초

항진균 세균과 난용성 인산염 가용화 효모의 혼합 배양액을 이용한 고추 병해의 생물학적 방제 (Biocontrol of Red Pepper Using Mixed Culture of Antagonistic Bacterium and Phosphate Solubilizing Yeast)

  • 이건웅;민병대;박수정;정원화;고은별;이귀재;채종찬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98-402
    • /
    • 2013
  • 고추생장 촉진을 위해 병원균에 대한 방제력과 난용성 인산염에 대한 가용화 활성을 보이는 미생물 혼합배양액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Saccharomyces sp. L13은 난용성 인산염에 대한 가용화 활성으로 분리되었으며 Bacillus sp. L32는 고추역병과 고추탄저병에 대한 길항력 활성으로 분리되었다. 특히 L32 균주는 대치배양법과 잎을 이용한 실증실험에서 모두 길항능력을 보였으며 시설재배를 이용한 실증실험에서도 병의 발병율을 저감시켰다. 두 균주의 혼합배양은 각 균주들의 생장율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고추에 대한 혼합배양액 처리는 고추역병과 고추탄저병의 발병율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난용성 인산염의 가용화를 통해 고추의 생장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결과는 두 균주의 혼합배양액이 작물재배를 위한 미생물제제로서 잠재적 효용성이 높다는 것을 제시한다.

Bacillus amyloliquefaciens M27에 의한 오이 흰가루병의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Cucumber Powdery Mildew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M27)

  • 이상엽;원항연;김정준;한지희;김완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68-273
    • /
    • 2013
  • 흰가루병균(Podosphaera fusca)에 의한 오이 흰가루병의 생물적 방제를 위하여 검정한 길항세균 B. amyloliquefaciens M27 균주는 4.0% 흰가루병이 발생하였고 무처리는 80.5% 발생하였다. MH와 LB배지에서 배양한 B. amyloliquefaciens M27 균주의 배양여액은 TSB, NB와 KB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여액보다 오이 흰가루병 방제효과가 우수하였다. M27 균주를 LB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여액 2, 5, 10, 20, 50배와 100배 처리한 경우 오이 흰가루병이 0%, 0%, 0%, 1.3%, 3.1%, 5.0%와 33.3%를 나타낸 반면에 무처리는 60.0%를 나타내었다. 7월, 10월과 12월에 오이 흰가루병이 발생할 때 LB배지에서 배양한 M27균주의 배양여액를 10배로 처리한 결과 88.9~98.9% 방제효과를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B. amyloliquefaciens M27 균주의 배양여액은 오이 흰가루병에 방제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식물 병원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갖는 Bacillus subtilis KYS-10의 분리 (The isolation of Bacillus subtilis KYS-10 with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lant pathogens)

  • 강대원;류일환;한성수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8-186
    • /
    • 2012
  • 본 연구는 9종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길항세균을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Bacillus subtilis KYS-10로 명명하였고, sucrose 4%, yeast extract 1.0%, $K_2HPO_4$ 0.2%, pH 7의 최적배지에서 150 rpm, $30^{\circ}C$, 8일간 배양 시 가장 좋은 생육을 나타냈다. B. subtilis KYS-10의 9종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확산법에 의해 생육저지환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G. zeae (맥류 붉은곰팡이병) 70 mm로 가장 높았고, 35~39 mm의 생육저해환을 나타낸 식물병원균은 P. KACC 40439(벼도열병), P. capsici KACC 40177(고추역병균), C. destructans KACC 41077(인삼뿌리썩음병) 40~43 mm, C. gloeosporioides KACC 43520(포도 탄저병균), C. gloesporioides KACC 40003(고추 탄저병균), S. shiraiana KACC 41065(상추 균핵병균), S. shiraiana(오디 균핵병균) 있었으며, F. Oxysporum KACC 44452(인삼 부패병균)은 28 mm로 다종의 식물병원균에 대해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추후 포장실험을 통하여 친환경 미생물제제로의 개발 가능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Rhamnolipid B에 의한 토마토 잿빛곰팡이병과 역병의 억제효과 (Suppression Effect of Gray Mold and Late Blight on Tomato Plants by Rhamnolipid B)

  • 안지예;박명수;김슬기;최경자;장경수;최용호;최재을;김인선;김진철
    • 식물병연구
    • /
    • 제15권3호
    • /
    • pp.222-229
    • /
    • 2009
  • 기계유가 심하게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생물계면활성제를 생산하고 항균활성과 살충활성을 보이는 Pseudomonas sp. SG3 균주를 분리하였다. 이 길항세균은 시험한 8개의 식물병원곰팡이 모두에 대하여 균사생육저해활성을 보였다. 또한 in vivo assay에서는 SG3 액체 배양액 처리시 벼도열병,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토마토 역병, 밀 붉은녹병, 보리 흰가루병 및 고추 탄저병에 강한 항균 효과를 보였다. 액체배양액으로부터 ethyl acetate 추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및 preparative HPLC 등을 통하여 한 개의 항균물질을 분리하였다. 질량분석과 핵자기공명분석을 통해 분리한 물질의 구조를 동정한 결과 rhamnolipid B로 동정되었다. Rhamnolipid B는 토마토 잿빛곰팡이병과 토마토 역병에 높은 방제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토마토 잿빛곰팡이병균인 B. cinerea의 균사 생장과 토마토 역병균인 P. infestans의 유주자 발아 및 균사 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Rhamnolipid B를 생산하는 Pseudomonas sp. SG3는 토마토에서 발생하는 식물병을 방제하는 새로운 생물방제제로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초산과 젖산 혼합액에 의한 수출용 심비디움 검역선충 Bursaphelenchus xylophilus의 방제 효과 (Effect of Acetic and Lactic Acid Mixtures on Control of Quarantine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 Exporting Cymbidium)

  • 서윤희;박지영;조명래;전재용;김영호
    • 식물병연구
    • /
    • 제20권3호
    • /
    • pp.227-233
    • /
    • 2014
  • 초산(acetic acid)과 젖산(lactic acid)의 혼합액(MX)의 심비디움 배양토에 오염된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의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실내실험에서 초산과 혼합액은 5.0-1.0% (pH 2.6-4.2)에서 젖산은 5.0%에서만 100%가까운 살선충율을 나타내었고 이보다 낮은 농도(0.5-0.1%, pH 5.1-6.9)에서는 초산과 혼합액보다 젖산에서 살선충력이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대부분의 농도에서 혼합액의 살선충율이 초산과 젖산의 평균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혼합액의 살선충력 상승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폿트실험에서 유기산 혼합액(0.5%, 0.25%), 살선충제(fosthiazate, 표준량, 배량) 및 길항세균(Paenibacillus polymyxa GBR-1) 배양 희석액($10^7CFU/ml$) 등의 처리에 의해 심비디움 배양토에서의 소나무재선충의 밀도가 처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무처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모든 처리에서 약해가 나타나지 않았고, 처리 후 시기별 pH와 2년생 심비디움의 생육에 무처리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와 이들 식용 유기산의 안전성과 가격을 종합하여 볼 때, 심비디움의 재배 관리 중 생육단계에 따라 이 유기산 혼합액의 지속적인 사용은 검역해충의 방제에 있어서 친환경적이고 실제적으로 유효한 하나의 방법일 것이다.

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차나무 겹둥근무늬병의 방제 (Control of Gray Blight of Tea Plants Using a Biofungicide)

  • 김경희;임명택;허재선;염규진;고영진
    • 식물병연구
    • /
    • 제14권1호
    • /
    • pp.37-42
    • /
    • 2008
  • 차나무 엽권에서 분리한 길항세균 Bacillus subtilis BD0310 균주를 차나무 겹둥근무의병을 일으키는 Pestalotiopsis longiseta에 대한 미생물제제로 개발하고. 대량배양 후 액상수화제로 제제화한 미생물제제의 차나무 겹둥근무의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온실과 포장에서 검증하였다. 온실실험 결과 병원균을 접종한 2일 후에 차나무 잎에 미생물제제를 처리한 치료효과에 비해 병원균을 접종하기 2일전에 차나무 잎에 미생물제제를 처리한 예방효과가 훨씬 높았다. 2005년과 2006년 수행한 포장실험 결과 미생물 제제의 살포횟수에 따라 차나무 겹둥근무늬병에 대한 방제효과는 증가하였는데, 미생물제제만 1주일 간격으로 4회 및 6회 살포한 경우 52.4%와 66.7%의 방제효과를 얻은 반면에, 미생물제제와 화학약제를 1주일 간격으로 2회씩 교호살포한 경우와 화학약제만 4회 살포한 경우에는 71.4%와 85.7%의 방제효과를 얻었다. 따라서 미생물제제와 화학약제를 단독으로 살포하는 것에 비해 교호살포하면 화학약제의 사용을 절감하고 전체 살포휫수를 경감하면서 차나무 겹둥근무늬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었다.

덩굴마름병원균인 Didymella bryoniae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길항세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Optimal Culture Conditions of Brevibacillus sp. KMU-391 against Black Root Pathogens Caused by Didymella bryoniae)

  • 박성민;정혁준;김현수;유대식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35-141
    • /
    • 2006
  • 덩굴마름병균인 Didymella bryoniae KACC 40669에 대하여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Brevibacillus sp. KMU-391은 Russia의 Sanktpeterburg 지역의 토양 시료로부터 분리하였다. Brevibacillus sp. KMU-391이 생산하는 항진균 물질은 D. bryoniae의 생육을 강하게 억제할 수 있었으며 TSB를 기본배지로 하여 탄소원으로 1.0% sucrose와 1.0%의 polypeptone을 첨가한 후 pH를 7.0으로 조정하여 $30^{\circ}C$에서 180 rpm으로 2일간 배양하였을 때 가장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배양액에 $30{\sim}60%$의 ammonium sulfate를 처리하여 Brevibacillus sp. KMU-391이 생산하는 항진균 물질을 회수한 후 D. bryoniae를 액체배양을 통한 항진균 활성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와 비교하여 41%의 생육을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butanol을 이용하여 항잔균 물질을 회수한 후, 다양한 작물병원성 곰팡이를 대상으로 항진균 활성 spectrum을 조사한 결과 조사, 장미 잿빛곰팡이병, 잠두 붉은점무늬병, 고추 탄저병, 참외 탄저병, 수박 등의 박과작물의 덩굴마름병, 보리 질병, 토마토 시들음병, 글라디올러스 마른썩음병, 토마토 질병, 수박 덩굴쪼김병, 수박 질병, 사과나무 역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참외 줄기썩음병, 그리고 고추균핵병에 대하여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Brevibacillus sp. KMU-391을 이용하여 작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생물농약으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uxin과 항진균물질을 생산하는 식물생장촉진근권세균의 분리동정 및 특성 (Selection and Identification of Auxin-Producing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having Phytopathogen-antagonistic activity)

  • 권도형;최준형;정희경;임종희;주길재;김상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17-21
    • /
    • 2004
  • 경작지 근권토양에서 식물생장촉진물질인 auxin라 항진균물질을 동시에 생산하는 농업용 미생물제제로 사용할 PGPR 균주를 선발하고 동정하였다. 경북 경산 일대의 다수확 밭토양의 근권토양에서 균주를 선발하고 그 중 auxin 생산성이 높은 2균주 K36, N21를 분리하였다. 이들 균주를 동정한 결과 K36은 Pantoea agglomerans이고 N21은 Pseudomonans fulva로 동정되었다. 선발된 균주의 식물생장촉진능을 in vivo 녹두발아촉진검사법으로 확인하였으며, 식물병원진균에 대한 길항력을 확인하였다. 배양조건에 따른 auxin 생산성을 조사한 결과 K36 균주는 $pH\;7.5,\;35^{\circ}C$, 37시간에서 최대로 나타났고, N21균주는 $pH\;7.5,\;35^{\circ}C$, 20시간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Auxin과 Siderophore 생산성 다기능 생물방제균 Bacillus subtilis AH18 (An Auxin Producing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um Bacillus subtilis AH18 which has Siderophore-Producing Biocontrol Activity)

  • 정희경;김진락;우상민;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4-100
    • /
    • 2006
  • 식물생장 촉진 호르몬인 auxin을 생산하는 균주를 선발하기 위해 경산지역 경작지 토양에서 29종의 세균을 분리하였으며 Salkowsky test를 통해 auxin을 생산하는 14종을 선발하였다. 이 중 CAS(chrome azurol S) blue agar에서 siderophore의 생산을 확인 후 auxin과 siderohroe를 동시에 생산하는 AH18을 최종 선발하였다. AH18의 mung-bean adventitious root induction test를 통해 식물생장 촉진 능이 대조구에 비해 1.5배나 뛰어남을 알 수 있었고, 토마토 pot test에서 토마토 시들음병의 윈인균인 F. oxysporum에 대해서 길항력도 나타내었다. 선발된 AHl8 균주는 16S rDNA와 Biolog system을 통해 Bacillus subtilis 동정되었다. B. subtilis AH18은 Sucrose-asparagine-MgsO$_4$(SAM) medium (pH 6.0)에 접종하여 30$^{\circ}C$에서 3일간 배양 시 siderophore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해조류 제어를 위한 두 가지 이상의 생물제재 및 효과 (Antialgal Interactions of Biological Control Agents on Cyanobacterium and Diatom Blooms in vitro)

  • 김백호;강윤호;최희진;가순규;한명수
    • 생태와환경
    • /
    • 제38권4호통권114호
    • /
    • pp.494-502
    • /
    • 2005
  • 녹조대발생의 원인종인 남조 Microcystis aeruginosa와 규조 Stephanodiscus hantzschii 에 대한 살조 및 섭식능을 갖는 박테리아 및 섬모충을 각각 단독 및 혼합처리하고 살조능을 비교하였다. 먼저 남조 M. aeruginosa에 대하여 살조세균 Streptomyces neyagawensis와 섬모충 Stentor roeselii를단독 및 혼합처리한 결과, 각각의 단독처리가 혼합처리보다 더 높은 살조능을 나타내는 두 생물제재의 길항적 살조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규조 S. hantzschii 에 대해 살조능을 갖는 박테리아 P seudomonas putida와 S. roeselii를 전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독 및 혼합처리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전 실험과는 다르게 두 생물제재의 혼합처리가 단독처리보다 더 높은 살조능을 보이는 두 생물제재의 상승적 살조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들은 녹조 제어를 위한 생물제재의 적용시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며, 다양한 생물제재를 이용함으로서 수중생태계의 혼란을 초l소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