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혼 취업여성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2초

돌봄노동의 사회적 지원 정책을 통해 본 일-가정 양립 실태에 대한 연구 : 학령전기 자녀를 둔 기혼취업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child care support policy)

  • 송혜림;유아랑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7권4호
    • /
    • pp.101-125
    • /
    • 2013
  • Recently family policy and social policy have focused on the balance between the work and family of working par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of the work-life balance of married working women. For this purpose the eight married working women who care for 1 or more pre-school child(ren) were interviewed. The questionnaire used was consisted of 4 themes : 1) child care, 2) working situation, 3) the work-life balance and 4) the need to improve related policies. Through the interviews and data analysis we found the following : 1) Accessibility to educarecenter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working moms when they choose an educarecenter. In order to improve accessibility of educarecenters we have to install more educarecenters with various level. 2) All respondents look maternity leave and they evaluated that other services were very weak in terms of quality, usefulness and accessibility. 3) Many childcare services aid in creating work and family balance, however they are not effective. Therefore future policies should focus on providing more options for working women for appropriate services according to childcare needs, working conditions and preferences.

  • PDF

한국과 중국 기혼취업여성의 주관적 삶의 질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of Korean and Chinese Women Who Are Employed and Married)

  • 안화선;김경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1호
    • /
    • pp.127-144
    • /
    • 2009
  •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for Korean, Chinese-Korean, and Chinese women who are both married and employed, and it offers suggestions based on this examination for how to improve these women's quality of life. In particular, we employ both empirical and comparative research to explore the causal relationship in these three groups of women between variables such as cultural orientations, life satisfactions and the perceived quality of life. For these objectives, 263 Korean women, 265 Chinese-Korean women and 280 Chinese women were surveyed.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we consider subjective quality of life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factors such as self-esteem, cultural inclination and life satisfactions as independent variables, we find that most of variables record relatively higher than middle score. Comparisons among the three groups find that every variable shows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except for the non-economic reasons for employment. Second, in examin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different variables on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we observe that both job satisfaction and family-life satisfaction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for women in all groups. For Korean and Chinese women, job satisfaction has a greater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than family-life satisfaction.

판매직 취업기혼여성의 직무스트레스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Study for Development of Job Stress Questionnaire for Married Working Women)

  • 이윤정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9-103
    • /
    • 2004
  • One of the major health problems of working women is job stress according to many studies. However, existing job stress questionnaires are suitable for men and men's job environments only, and do not reflect emotional labor for sales people.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find women's job stress factors. The subjects of this investigation are married working women in sales since they experience emotional labor in addition to physical and psychological labor and the work-family conflict is very important job stressor for them. The job stressor of married sales women was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fter I had in-depth interviews with 20 married sales women, I identified 49 new concepts, 3 main categories and 17 sub categories. The results are like the following. 1. 3 main categories are job factor, aggravate factor, and compensate factor. 2. Job factor has 5 sub-categories including 'increasing of selling', 'emotional labor' and 'physical burden'. 3. Aggrabate factor has 6 sub-categories including 'work/family conflict', 'relationship with higher office' and 'relationship with a fellow worker' 4. Compensate factor has 6 sub-categories including 'opportunity of employment', 'discrimination', and 'prestige' Consequently this study newly found some major job stressors for married working women in sales department.

  • PDF

근로기혼여성의 이중노동부담에 관한 실증연구: 가사노동분담에 관한 협조적 적응, 이중노동부담, 적응지체 가설의 검증 (An Empirical Study on the Dual Burden of Married Working Women : Testifying the Adaptive Partnership, Dual Burden and Lagged Adaptation Hypotheses)

  • 김진욱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3호
    • /
    • pp.51-72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경제참여 증가에 따른 무급가사노동의 분담정도를 설명하고 있는 세 가지 가설을 한국 상황에서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는 것이다. 이 세 가지 가설이란 기혼여성이 취업할 경우 남성배우자가 적극적으로 가사노동을 분담한다는 협조적 적응 가설, 남성배우자의 가사노동분담이 이루어지지 않아 근로기혼여성은 유급과 무급의 이중적인 노동부담에 처하게 된다는 이중노동부담 가설, 그리고 어느 한 시점에서 근로기혼여성의 이중노동부담이 나타나는 것은 사실이나 그 정도는 세대간에 달라질 수 있으며, 장기적인 추세를 관찰하면 맞벌이 남성의 가사노동분담도 역시 증가해 왔다는 적응 지체가설이다. 이상의 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핵심 독립변수로 성별, 연령, 맞벌이 여부가, 종속변수로는 총 노동시간과 무급가사노동시간이 설정되었고, 분석자료는 1999년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 원자료가 이용되었다. 연구결과, 근로기혼여성은 남성배우자에 비하여 하루 평균 100분 이상을 더 일하고 있었으며, 한국 남성들의 가사노동시간은 23-25분 정도로 여성의 5-10% 수준에 불과하여, 무급가사 노동의 분담수준이 매우 낮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 남성의 무급가사노동시간의 변이를 설명하기 위한 독립변수로 설정되었던 맞벌이 여부나 연령의 통계적 유의성은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한국의 상황에서는 협조적 적응 가설은 물론 세대간의 행위차이를 가정한 적응지체 가설도 채택될 수 없었으며, 이중노동부담가설이 근로기혼여성의 현실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취업여성의 이중노동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서비스 제도의 확충, 보살핌노동에 대한 보상체계 등을 제안하였으며, 시간자료를 이용한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취업한 기혼 남녀의 일과 가족 전이 : 부정적 전이와 긍정적 전이의 통합적 접근 (Spillover between Work and Family for Married Workers : Negative, Positive and Global Spillover)

  • 이윤석
    • 한국인구학
    • /
    • 제33권2호
    • /
    • pp.1-31
    • /
    • 2010
  • 최근 맞벌이 부부가 늘어가면서 가족(family) 영역과 직장(work) 영역의 전이(spillover)에 대한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취업한 기혼남녀가 느끼는 두 영역 간 부정적인 전이와 긍정적인 전이에 대한 경험적 분석이 많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많은 연구가 부정적인 혹은 긍정적인 전이만을 다루었을 뿐 이 두 가지를 통합적으로 다루지 못하였다. 그러나 모든 개인들은 일상생활에서 두 영역을 넘나들면서 두 가지 상반된 전이를 매일 느끼고 살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고자 많은 학자들은 두 가지 전이에 대한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역설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직장을 다니고 있는 기혼 남성 721명과 기혼 여성 359명을 대상으로 일-가족 그리고 가족-일의 통합적 전이를 분석하였다. 특히 남녀가 통합적 전이 수준이 어떻게 다르며 그리고 어떤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았다. 부정적 전이와 긍정적 전이를 합쳐서 본 통합적인 일-가족 전이는 여성과 남성이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렇지만 통합적인 가족-일 전이는 남성들에 비해 여성들이 더 부정적 상황에 놓여있었다. 여성 10명 중 4명이 부정적인 전이 수준이 높고 긍정적인 전이 수준이 낮은데 비해 10명 중 1명만이 부정적인 전이 수준이 낮고 긍정적인 전이수준이 높았다.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훨씬 많은 가족 관련 책임(예를 들어 가사노동이나 자녀양육 등)을 지고 있다. 그리고 가정을 남성들은 휴식처로 그리고 여성들은 또 다른 일터로 인식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기혼 여성 치과위생사의 경력단절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Career Discontinuity of a Married Women Dental Hygienist)

  • 이경진;배현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786-793
    • /
    • 2015
  • 본 연구는 재직 중인 기혼 여성 치과위생사 281명을 대상으로 기혼 여성 치과위생사의 경력단절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6월 27일부터 7월 26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연구 대상자의 66.9%가 치과위생사의 수명은 '짧다'라고 응답하였고, 짧은 이유로 '경력이 많으면 취직이 어렵다', '나이에 제한이 있다' 등이 있었다. 연구 대상자의 42.7%가 치과위생사의 정년은 '40대까지'라고 응답하였고, 53.4%가 치과위생사의 재취업은 '조직 내 기혼자에 대한 부담감이 없다면 언제든 가능하다'라고 응답하였다. 일반적 특성 따른 경력단절 의사는 연령(p<0.001), 근무연수(p=0.003), 자녀수(p=0.008), 자녀연령(p=0.012), 월급여(p=0.004)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직업인식에 따른 경력단절 의사는 이직경험(p=0.015), 직업수명(p<0.001), 치과위생사의 정년(p<0.001), 취업지속 시기(p<0.001), 치과위생사의 재취업(p<0.001)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는 p<0.01수준에서 직업정체성, 고용주의 지지, 배우자의 지지,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경력단절 의사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p<0.05 수준에서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경력단절 의사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단절 의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위계적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모델 4에서 설명력이 37.1%로 가장 설명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근무연수, 직업수명, 가족지지, 직업정체성, 고용주의 지지가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고, 고용주의 지지(${\beta}$=-0.499)가 경력단절 의사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내 고용주와 직원들은 기혼자에 대한 편견을 버리고, 직장 내에서의 출산휴가, 육아휴직에 대한 배려와 치과계에서의 제도적 방안을 마련함과 더불어 시간제 근로방법을 이용한다면 구인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다. 신규 인력의 증가보다 기혼 치과위생사들이 취업을 지속함으로써 구인난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취업기혼여성의 노동부담 및 대처방안 -대구시 생산직 기혼여성을 중심으로- (The Work Load and Coping Strategies of the Married female Production Workers in Taegu)

  • 이연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6권1호
    • /
    • pp.125-139
    • /
    • 1998
  • This study investigates work loads and coping strategies of the married female production workers(MFPW). The data of 370 MFPW in manufacturing sector in Taegu are collected by using a questionare in August 1995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The results of objective work loads assessed time dairy show that the average working hours is 14.25 hours during weekdays. The respondents spend 11.5 hours and 2.75 hours on doing paid and household work respectively,. The shortage of phisiological and leisure time due to spending excessively long time on work. 2) MFPW perceive the severe subjective work loads in the areas of personal family and social life. The perceived burden from paid work itself is relatively low due to the nature of their job. 3) The coping strategies MFPW actually adopted are limited mostly to those from an individual domain such as shortening the time for sleep leisure or household labor.

  • PDF

취업모 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전일제와 시간제 비교 (Influential Factors for Job Satisfaction: A Comparison of Part-Time and Full-Time Female Employees with Children)

  • 정영순;어윤경;임유진
    • 한국사회정책
    • /
    • 제19권3호
    • /
    • pp.215-245
    • /
    • 2012
  • 본 연구는 18세 이하의 자녀를 둔 배우자 있는 기혼여성 임금근로자를 전일제와 시간제로 구분하여, 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구조가 두 집단에 동일한지, 경로계수가 두 집단 간 차이를 보이는지를 비교분석하였다. 복수모집단 동시분석 결과, 경로모형은 근무형태가 다른 두 집단에게 적합하나 경로계수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로 직접효과를 보면, 본인소득, 사업장 규모, 남편 일지지, 일가정 대립은 두 집단의 일 만족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나 건강상태는 전일제 취업모의 일만족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간접효과에서도, 가정일 대립은 공통적으로 두 집단의 일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나, 건강상태는 전일제에게만, 미취학자녀와 본인소득은 시간제에게만 일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녀를 둔 기혼여성 임금근로자의 일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근무형태별로 차별화된 대책이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해주고 있다.

기혼여성 시간제일자리의 상태의존성(state dependence) 변화 (Part-time Jobs of Korean Married Women -The recent change in their state dependence-)

  • 정민수
    • 노동경제논집
    • /
    • 제41권3호
    • /
    • pp.95-128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혼여성들의 시간제, 전일제 등 근로형태가 오래 지속되는지 아니면 근로형태간 이동이 활발한지를 상태의존성(state dependence) 추정을 통하여 살펴보고, 최근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동태적 다항로짓모형(dynamic multinomial logit model) 추정결과 시간제와 전일제 상호간 이동성이 최근 낮아지면서 각 근로형태의 상태의존성은 강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시간제일자리는 전일제와 미취업 사이에서 근로형태간 이동을 활발하게 하는 디딤돌 또는 쉼터의 역할이 약화되고 전일제 외에 노동시장 참여 옵션을 제공하는, 전일제와는 구분된 추가적 일자리형태로 기능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기혼 취업여성의 건강상태, 생식건강상태 및 산전관리상태 (Health Status, Reproductive Health Problems, and the Degree of Prenatal Management in Married Working Women)

  • 김증임;한성현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26-234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health status, reproductive health problems and the degree of prenatal management in working women. Method: The subjects were 902 married working women among 2,000 women selected by cluster sampling. The work area was classified to product factory, school, office, etc. After an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participants were asked to fill out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instruments included a questionnaire, parity check list, menstrual problems and gynecologic problem check list. Result: Many women have experienced menstrual cycle change during the past yea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eral health, menstrual regularity, reproductive health and prenatal management by occupation type. 40.6 percent of the subjects have gynecological problems such as menstrual cycle change, perineal inflammation, irregular vaginal bleeding, amenorrhea, ovarian/uterine disease, infertility, or abortion. Prenatal care was received in only 28.5% of the total subjects. In addition, 16.3% answered they had experienced low birth weight babies. Conclusion: We can conclude that working woman have changes in menstruation cycle and in reproductive health status. Therefore, we suggest that som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may affect subject's reproductive health, these should be clear and avoided as much as possib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