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Comparative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of Korean and Chinese Women Who Are Employed and Married  

An, Hua-Shan (Yanbian Univ.)
Kim, Kyeong-Shin (Dept. of Family Environment & Welfare, Chonnam National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v.27, no.1, 2009 , pp. 127-14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for Korean, Chinese-Korean, and Chinese women who are both married and employed, and it offers suggestions based on this examination for how to improve these women's quality of life. In particular, we employ both empirical and comparative research to explore the causal relationship in these three groups of women between variables such as cultural orientations, life satisfactions and the perceived quality of life. For these objectives, 263 Korean women, 265 Chinese-Korean women and 280 Chinese women were surveyed.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we consider subjective quality of life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factors such as self-esteem, cultural inclination and life satisfactions as independent variables, we find that most of variables record relatively higher than middle score. Comparisons among the three groups find that every variable shows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except for the non-economic reasons for employment. Second, in examin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different variables on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we observe that both job satisfaction and family-life satisfaction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for women in all groups. For Korean and Chinese women, job satisfaction has a greater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than family-life satisfaction.
Keywords
women who are employed and married;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경신.김오남(1996). 맞벌이 부부의 역할기대 및 역할갈등과 결혼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2), 1-18
2 김경신.이선미(2007). 중국 조선족 기혼여성의 심리적 복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5(2), 119-131   과학기술학회마을
3 김기범(1996). 대인관계속에서 도덕성과 내집단 외집단 구별: 문화 비교분석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박미석(1996). 중년기 남녀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2), 19-33
5 박은아(2003). 신체존중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문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22(2), 35-36
6 박현옥.이한나(2006),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일상생활환경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충남 홍성군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학회지, 15(1), 83-93   과학기술학회마을
7 서지원(1997). 사무직 기혼여성의 출산 후 취업지속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양진성(2003). 한국과 미국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갈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여정희(2004). 중년기여성의 폐경관리와 결혼만족도,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4(2), 261-269
10 유병주(2000). 한국과 중국 근로자의 근로가치관 비교연구. 한국북방학회 국제학술 심포지엄 논문집, 203-211
11 이선미(1995). 부모 자녀의 성역할 태도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장현숙(2007). 취업모의 직업만족도, 배우자지지 및 모와 자의 애착특성이 모역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정현숙(1997). 맞벌이 가족의 부모역할 긴장과 부부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5(5), 151-162
14 정유진(2004). 기혼취업여성의 가정역할 수행에 따른 심리적 복지.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조긍호(1995). 삶의 질과 주관적 안녕: 비교문화적 고찰.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5, 229-283
16 조혜선(2003). 결혼만족도의 결정요인. 한국 사회학, 37(1), 91-115
17 王凱.周長城(왕카이.쩌우창청)(2004). 生活質量硏究的 新發展: 主觀指標的构建与運用, 國外社會學, 4
18 Burr, W. R.(1979). Symbolic interaction and the family. Contemporary Theoreis about the Family, 1, 66-78
19 Mason, U. S.(1975). U.S. Women's sex-role ideology. 1970.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0(5), 1212-1219   DOI   ScienceOn
20 Smith, P. C., Kendall, L. M. ,& Hulin, C. L.(1969). The measurement of satisfaction in work and retirement. Chicago: Rand McNally
21 박미금(1994). 부부의 생활만족도 비교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2(1), 1-17
22 중국통계청. www.stats.gov.cn
23 김정자 외(1998). 한국 기혼여성의 일상적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2. 여성학연구, 8(1), 1-24
24 Rice, R. W.(1984). Organizational work and the overall quality of Life. Applied Social Psychology.1(5), 155-178
25 중국노동보장부. www.mohrss.gov.cn
26 김영아(2005). 직장인의 여가활동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7 강기연(2000). 맞벌이 부부의 공평성 인지.의사결정 참여 및 가정생활만족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엄준하(2006). 조직문화 유형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김영혜(2004). 유배우자 노인의 성역할태도, 가사노동분담 및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고보선.임정빈(1992). 가정경제안정도인지와 가정생활의 질 만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0(2), 191-208   과학기술학회마을
31 신선미(2004). 주부들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지각수준, 스트레스 대처양식의 관계. 인간이해, 25, 47-62
32 Diener, E.(1995). Assessing subjective well-being: Progress and opportuniti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31, 103-157   DOI   ScienceOn
33 김명소 등(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심리학회지, 15(2), 19-21
34 박경혜(2004).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서정아.한경혜(1998). 가족 및 직업 특성이 중 장년기 남성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2), 165-177
36 박종민(2002). 한국인의 삶의 질: 전체, 개별영역 및 비교기준. 아세아연구, 45(2), 141-152
37 이명신(1997). 주관적 삶의 질에 나타난 성차의 원인.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 89-101
38 이은정(2006). 중년기혼여성들의 댄스스포츠 참여에 따른 여가 만족과 생활만족의 관계.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차경호(2004). 한국 성인의 자존감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지, 25(1), 105-139
40 이정현(2000). 역할긴장과 직장에서의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취업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한국통계청. www.nso.go.kr
42 한남제(1994). 농촌 가족의 결혼 관행 및 가족 가치관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10(1), 69-89
43 Olson, D. H. L. (1983). Families : What makes them work. Beverly Hills : sage
44 김분덕(2004). 도시중산층 중년여성의 여가생활과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송혜림(2000). 맞벌이 가정에서 남편의 가사노동참여 실태. 생활과학논문집, 1(1), 103-115
46 강기정(2005). 맞벌이 가족 남편의 역할갈등 및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10(2), 5-25
47 강동식(1996). 삶의 질의 조사에 관한 연구. 법과 정책 2, 347-372
48 이미경(2002). 기혼여성 미용사의 역할갈등과 직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Triandis, H. C., & Gelfand, M. J. (1998). Converging measurement of horizontal and vertical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 118-128   DOI   ScienceOn
50 육근영(2006) 자아 일관성과 주관적 안녕감. 한국심리학회지, 19(3), 47-65
51 Myers, D., & Diener, E.(1995). Who is happy? Psy-chological Science, 6, 10-19   DOI   ScienceOn
52 Farquhar, M.(1995). Definitions of quality of life: A taxonom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2, 502-508   DOI   ScienceOn
53 Mirowsky, J.(1985). Depression and marital power: An equity mode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557-592   DOI   ScienceOn
54 Young, K.J.(1983). Quality of life and persons with melanama: A pilot study. Cancer Nursing, 6, 219-225   ScienceOn
55 叶文振(예원쩐)(2006). '女性學導論' 厦門:厦門大學出版社
56 Diener, E., & Suh, E.(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 276-302   DOI   ScienceOn
57 Pleck, J. H.(1985). Woking wives/working husbands. Beverly Hills, CA: Sage
58 Triandis, H. C. (1995).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Boulder, Co: Westview Press
59 이연숙 외(1991). 기혼취업여성이 지각하는 가정.직업생활갈등 및 부적응 증상과 생활만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2), 209-223
60 가영희(2006). 성인의 직장-가정갈등이 영역별 만족도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11(2), 163-186
61 이현송(2001). 소득과 전반적 삶의 만족간의 관계. 한국인구학회지, 23(1), 91-117
62 Mookherjee, D.(1992). Perceptions of well-being by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popluation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2, 129-143   ScienceOn
63 심혜선(2001). 도시주부의 부부간 의사소통효율성.가정관리 전략 및 가정생활만족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4 김경신 등(2005). 재외한인여성의 생활실태 및 의식. 경기도: 집문당. 88-90
65 김상균(2006). 민간경비원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의 관계.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6 김정구(2006). 가정주부의 여가참여 및 여가제약과 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7 Near, J. P.(1983). A comparison of work and nonwork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7(1), 184-190   DOI   ScienceOn
68 Lucas, C., Diener, E., Suh, E.(1996). Discriminat validity of well-being measures. Jouran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1, 616-628   DOI   ScienceOn
69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Prinston, N. J: Prinston University Press
70 조옥희(2004). 중년기 기혼취업여성의 역할갈등, 대처행동 및 심리적 복지.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1 Diener, E.(1984). Subjective well-b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02   DOI   ScienceOn
72 이규만(2006). 한.중 근로자의 가치관과 직무태도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경영학회지, 19(4), 178-205
73 임정빈(1988). 가치성향 의사결정양식 및 가정생활만족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4 최미례(2000).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중재효과와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5 Spreizer, E., & Snyder, E. E. (1974).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aged. Journal of Gerontology. l(29), 454-458   DOI   ScienceOn
76 김지은(2006). 기혼여성의 가정내 리더십과 가정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7 양광희(1999). 기혼여성의 여가활동 참여도 여가태도 및 여가만족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8 김명자(1985). 가족관계에 대한 부부의 가치의식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아시아여성연구 24, 139-166
79 이경화(2003). 자아존중감, 내외통제성, 건강상태가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0 장재호(2003). 주부들의 여가생활이 가정생활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1 Mokgatlhe, B. P.(1998). Predictors of satisfaction with life: The role of racial identity, collective self-esteem and gender-role attitudes. South African Journal of Psychology, 28(1), 28-36   DOI   ScienceOn
82 이수애(1999). 여성의 사회적 지원과 삶의 질. 여성연구, 7(9), 177-221
83 김경숙(1980). 한국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4 김나비(1999). 기혼취업여성의 결혼생활 공평성 인지도와 결혼 만족도와의 관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2), 81-106
85 김명소 등(2003). 한국 남녀의 삶의 질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논문집 1, 235-236
86 고정자.김갑숙(1998). 가족응집성, 적응성 및 스트레스 인지수준이 맞벌이 부부의 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4(1), 65-78
87 구혜령(1991). 전문직 취업주부의 역할갈등과 갈등대처전략.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8 김경신(2006). 한국여성과 조선족여성의 가족가치관 비교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3), 23-50
89 정혜정(1994). 취업주부의 역할갈등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0 Singelis, T. M. ,Triandis, H. C., Bhawuk, D. P. S., & Gelfand, M. J. (1995). Horizontal and vertical dimension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 theoretical and measurement refinement. Cross-Cultural Research, 29(3), 240-275   DOI
91 Michalos, A. C.(1985). Multiple discrepancies theory. Social Indicators
92 이재기.이은우.김재홍 공저(1998). 삶의 질의 국제비교와 지역간 비교분석. 서울: 집문당
93 조명한.차경호(1999). 삶의 질에 대한 국가간 비교. 서울: 집문당
94 신유근(1991). 한국기업의 전통 문화적 특성과 조직 유효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5 임성욱(2006). 지체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