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하학 형태

Search Result 211,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The Method of The GEometric Shape-Matching using spline (스플라인을 이용한 기하학 형태 매칭방법)

  • Park, Cheol-Ho;Sim, Jae-Hong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5 no.1
    • /
    • pp.181-190
    • /
    • 1998
  • 특정한 부분에 정확성을 가지는 기하학 형태인식은 이미지 분석 응용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다. 또한, 부분적 혹은 변형된 모양을 계층화하는 새로운 접근방법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자유형태의 부드러운 곡선을 생성하는데 용이한 스플라인 공식들을 이용하여 새로운 기하학 형태 매칭 접근 방법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서, 여러개의 스플라인 공식들로 생성된 곡선들의 집합은 동일한 형태의 성질을 가진다. 본 논문은 곡선 설계를 위하여 일반적인 상호작용 방법과 다양한 스플라인 공식간에 관계들을 이용함으로서 간단한 설계점(design point)들의 이동으로 형태매칭 방법에 관한 관계성을 보인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3차 스플라인의 공식(B-splines, Bezier splines, Catmull-Rom splines)을 이용하여 형태 매칭 방법을 제안한다.

  • PDF

Perception and action: Approach to convergence on embodied cognition (지각과 행위: 체화된 인지와의 융복합적 접근)

  • Lee, Young-Lim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8
    • /
    • pp.555-564
    • /
    • 2016
  • Space perception is generally treated as a problem relevant to the ability to recognize objects. Alternatively, the data from shape perception studies contributes to discussions about the geometry of visual space. This geometry is generally acknowledged not to be Euclidian, but instead, elliptical, hyperbolic or affine, which is to say, something that admits the distortions found in so many shape perception studies. The purpose of this review article is to understand perceived shape and the geometry of visual space in the context of visually guided action. Thus, two prominent approaches that explain the 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 action were compare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information of how human perceive visual space and perform visually guided action for the convergence on embodied cognition, and further on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es.

A Study on Fashion Design Using Geometric Pattern (기하학적 패턴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 김신우;금기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2 no.1
    • /
    • pp.53-67
    • /
    • 2002
  • 자연을 분석함으로써, 얻어진 기하학적 패턴은 이미 자연의 질서를 포함하고 있는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기본형이기 때문에 간결하며 시각적으로 명쾌감을 준다. 이러한 기하학적 패턴은 복식 디자인에 있어서 20 세기 이후 여러 디자이너의 작품을 통해 재구성되어 현대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모티브가 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법과 재료로 형성화하여 도입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복식의 문양, 실루엣, 디테일에 사용되고 있는 기하학적 패턴을 연구함으로써 기하학적 패턴의 새로운 조형가치를 고찰하였다. 먼저 기하학의 용어 정의를 하였고 기하학적 패턴의 유형과 표현 기법을 분석하고 정리하여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하학적 패턴의 조형미와 그것을 바탕으로 패션 이미지를 추론해 보았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하학 패턴을 분석해 보면 유형으로는 첫째, 기하하적 문양으로 복식디자인에 있어서 주로 평면적인 형태로 많이 나타나지만, 크기가 다르고 동일한 기하학적 패턴을 조합시킴으로서 평면적인 형태에 공간감을 부여하기도 하며, 같은 기하학적 패턴의 표면이라도 배치구조에 의해 직선 혹은 사선으로 지각되므로 전혀 다른 이미지를 주었다. 또한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하학적 패턴이 종류는 세로 스트라이프, 가로 스트라이프, 격자 문양, 원, 사선 스트라이프, 마름모, 사각형, 삼각형 등의 순서로 많이 나타났다. 둘째, 색채는 단색의 복식에 강한 대비가 이루어지는 색상으로 표현되어 역동감과 유연한 운동감을 나타났다. 셋째, 기하학적 실루엣으로 단순한 라인의 형태를 나타내거나 입체적이고 부조적인 형태로 구성되어 전체적인 실루엣으로 사용되어 강한 조형감각을 보여주는데 원형을 이용한 실루엣이 가장 많았으며 사각형을 이용한 실루엣, 삼각형을 이용한 실루엣 순서로 나타났다. 넷째, 기하학적인 디테일로 복식의 어느 한 부분에 장식적으로 사용되거나 입체적 형태로 부출 되어 부조적인 느낌을 주는데 소매에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앞여밈, 칼라, 밑단, 주머니 순서로 장식되었다. 다섯째, 현대 패션에 표현된 기하학적 패턴의 표현기법으로는 프린팅, 퀼팅, piece기법, 패치워크, 엮기, 꼴라쥬, 아플리케 순서로 많이 나타났다. 위의 분석을 토대로 기하학 패턴을 활용한 디자인에 내재된 조형의지는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첫째, 기하학적 패턴이 지닌 단순성과 경직성을 완화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패브릭을 조합시켜 입체적인 표면효과로 시각적인 착시효과를 극대화하였다. 둘째, 표현기법은 입체파적 표현주의의 특성의 하나로 복시에 사용되는 소재의 왜곡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새롭고 실험적인 소재의 도입으로 인해 의외성과 부조화를 유발시키는 통시에 유희직인 일면도 지니는 일종의 그로테스크를 나타냈다. 이상에서 정립된 조형의지를 바탕으로 현대 패션에 나타란 기하학 패턴은 절제된 단순함과 명확성으로 단순미가 유추되었고 강한 색상대비로 인한 시각적 집중효과로 주목성을 가지며 재현이 가능하므로 반복성이 유추되었다. 그리고 표준영역이 없는 창의적 표현으로 풍부한 독창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내재된 패션 이미지를 분석해 보면 정확함과 차가움의 의미를 지닌 이지적 이미지와 우주의 질서를 반영하는 상징적 이미지, 복잡한 자연으로부터 간결한 형태로의 경향성이 이루어낸 인공적 이미지를 느낄 수 있었으며, 미래적 이미지와 전통적 이미지의 상반된 개념의 이미지를 같이 내포하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현대 패션에 표현된 기하학적 패턴은 복식을 조형예술 분야로 확실히 인식시키고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촉매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또한 많은 디자이너들에게 창조적 욕구를 불러일으키고 영감을 주는데 중요한 모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Fuzzy Mathematical Morphology Ensuring Geometric Morphological Transformations (기하학적 형태 변환을 보장하는 퍼지 수학적 형태학)

  • 윤창락;김황수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0 no.6
    • /
    • pp.525-532
    • /
    • 2000
  • 본 논문은 영상에서 형태적 정보를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수학적 형태학(mathematical morphology)에 퍼지 집합 이론을 적용하여 새로운 퍼지 수학적 형태학을 제안한다. 일반적인 수학적 형태학은 이진 영상에만 적용되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를 그레이 스케일 영상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한 Sinha와 Dougherty[8]이 제안한 방법도 기하학적 형태 변환을 보장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 결점을 제거하는 새로운 수축(erosion)과 확장(dilation) 연산을 정의하고 그 특성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이 제안한 방법과 [8]의 방법을 실제 영상에 대한 실험으로 비교하였다.

  • PDF

수학교사들의 내용지식이 학생들의 기하 평가에 미치는 영향

  • Go, Sang-Suk;Jang, Hu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2 s.22
    • /
    • pp.445-452
    • /
    • 2005
  • 본 연구는 중 고등학교 교사 50명에 대하여 기하 문제의 논증기하적 또는 해석기하적 문제해결 전략이 학생들의 평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한 것이다.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학하면 도형의 문제에 대한 해석기하적인 문제해결 능력은 교육과정 상 대단히 중요하게 가르쳐야 할 내용이다. 유클리드 기하에 바탕을 둔 논증기하의 지식은 좌표평면의 도형을 방정식으로 나타내고 연구하는 해석기하의 기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생들은 논증기하적 문제해결을 선호하는 반면 해석기하적 문제해결은 어려워한다. 또한 논증기하적 문제 형태에는 논증기하적 문제해결 전략, 해석기하적 문제 형태에는 해석기하적 문제해결 전략을 구사하는 경향을 보인다. 본 연구는 중 고등학교 교사들의 기하 문제에 대한 내용 지식이 학생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 PDF

A Study on the Theorems Related with Congruence of Triangles in Lobachevskii's and Hadamard's Geometry Textbooks (Lobachevskii와 Hadamard의 기하학 교재에서 삼각형의 합동에 대한 정리들)

  • Han, In-Ki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0 no.2
    • /
    • pp.109-126
    • /
    • 2007
  • This paper is to study theorems related with congruence of triangles in Lobachevskii's and Hadamard's geometry textbooks, and to compare their proof methods. We find out that Lobachevskii's geometry textbook contains 5 theorems of triangles' congruence, but doesn't explain congruence of right triangles. In Hadamard's geometry textbook description system of the theorems of triangles' congruence is similar with our mathematics textbook. Hadamard's geometry textbook treat 3 theorems of triangles' congruence, and 2 theorems of right triangles' congruence. But in Hadamard's geometry textbook all theorems are proved.

  • PDF

A Study on Architectural Form Creation based on the Application of Fractal Geometry (프랙탈 기하학을 적용한 건축 형태생성에 관한 연구)

  • Kang, Hoon
    • Journal of The Korean Digital Architecture Interior Association
    • /
    • v.9 no.3
    • /
    • pp.15-23
    • /
    • 2009
  • Chaos theory, qualitative study of unstable aperiodic behavior in deterministic nonlinear dynamical systems, is dominant paradigm in the twenty first century. Fractal geometry, as an expressed form of chaos, now influences many areas such as architecture, art, music, economics, literature,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ractal geometry and fractal formative elements in architectural design. There are scaling, superimposition, distortion, deformation and repetition in the fractal form generator that can be applied to design concept and process in architecture. This study shows fractal geometry can be the architectural form creation method. Fractal geometry similar to nature's patterned order can be provided endless possibilities for design analysis and methodology in architecture. Therefore the further study of fractal geometry should progress synthetically through the basis of the study.

  • PDF

A Study on Marginal Effect of Geometric Structure on Freeway Accident Frequencies (고속도로 교통사고에 대한 기하구조의 영향(한계효과)에 관한 연구)

  • Park, Min 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2 no.1
    • /
    • pp.73-81
    • /
    • 2014
  • This study dealt with the impacts of geometric structure on traffic accidents occurring on the interstates. There are standard values for the case of geometric structure which are recommended in the design guideline/policy; however, in the previous models, geometric variables were adapted as integrated ones as opposed to mixed ones in the real world so that derived models had a weakness to reflect the real. Therefore, using subdivided geometric variables, this study tried to derive the model which reflects the real world. In addition, by calculating elasticity, each variables' effect to the accidents are estimated. Hopefully, this study will help to establish the future guideline/policy of geometrics considering traffic safety.

A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Geometry and Nonlinear Figure of Space (기하학과 비선형 공간 형태의 상관성에 관한 기초 연구)

  • Lee Chul-Jae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14 no.1
    • /
    • pp.160-167
    • /
    • 2005
  • The paper raises a question in argument about the method of creating space depending on accidental creation by computer as the method of describing movement pattern, and emphasizes the role of the mathematics which may change the shape into the image or reflection, that is, data which human may understand and expect. If the mathematics could be the method of describing movement pattern, it may play a important role on the analysis of architectural space based on the idea of post-constructionism, which is likely to consider the modern architectural space recognized as the sequential frames containing movement, as the suspended state of the moving object. And then, this infinite series, 'the sum' of the suspended state, is not studied math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but is able to be shaped by reviewing the validity in mathematics about the nonlinear space. This is, therefore, the fundamental research in order to define the role of the mathematics in formation of space of contemporary archite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