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하학적 형상

Search Result 654,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Medial Surface Computation of Polyhedra (다면체의 중립면 계산)

  • 이용구;이건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11a
    • /
    • pp.833-840
    • /
    • 1996
  • 중립면은 셸 (솔리드 모델) 유한 요소 생성, 로보트 이동 경로 계산, 특징 형상 판별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중립면 계산 알고리즘들은 연립 방정식을 수렴성이 보장되지 않는 수치 해법으로 풀어야 했기 때문에 발전이 미비했다. 본 논문은 복셀-이등분 면의 교자성을 이용한 중립면 계산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교차성은 보로노이 영역을 사용, 단순한 기하학적 요소간의 거리 비교로 판별한다. 이런 기하학적인 접근 방법은 기본적으로 수렴성 문제가 배제된다.

  • PDF

Form-finding Analysis of Cable Networks Considering a Flexibility of the Structures for Mesh Reflector Antennas (구조 유연도를 고려한 메쉬 반사판 안테나의 케이블 네트워크 형상 설계)

  • Roh, Jin-Ho;Choi, Hye-Yoon;Jung, Hwa-Young;Kim, Hyo-Tae;Yun, Ji-Hyeon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6 no.4
    • /
    • pp.68-7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esign the cable networks for mesh reflector antennas, considering the flexibility of structures. An effective form-find methodology is proposed. The whole parts of the cable networks are described by the absolute nodal coordinate formulation. Additionally, nonlinear deformation of the cable can be obtained. The form-finding analysis of the reflector with standard configuration is performed, to validate the proposed methodology. The truss ring structure is numerically modeled using the frame elements. To consider the flexibility of the truss ring as well as the cable net structure, an iteration analysis between the truss ring and the cable net under tensional forces is also performed in the form-finding process. The finial configuration of the reflector with tensioned cable networks is demonstrated.

The Strength Evaluation of the Damaged Pressure Vessel (손상된 압력용기의 복구방안)

  • 이상록;우창수;이학주
    • Journal of the KSME
    • /
    • v.34 no.11
    • /
    • pp.830-835
    • /
    • 1994
  • 화재에 의해 손상을 입은 압력용기에 대해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응력해석을 수행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응력해석 결과, 압력용기의 자중, 열응력 및 바람의 영향은 내부압력에 비해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미미하였다. (2) 기하학적 형상변화가 발생한 손상용기의 손상 부위에서의 부식 전\ulcorner후에서의 안전계수는 각각 3.5와 2.1로 손상이 없는 단순용기의 6.3과 4.6보다 상당히 작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손상 부위에서의 적절한 보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3) 원형 링과 수직 보조대로 보강된 보강용기 모형의 등가 응력값은 상당히 감소되어 화재로 발생한 기하학적 형상 변화에 따른 응력 집중을 줄일 수 있었다. 앞서 정의된 안전계수를 이용 하면 부식 전의 안전계수는 5.3, 부식 후는 3.8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4) 안전계수는 운전 중의 부식 진행과 더불어 두께에 반비례하여 감소하므로, 운전중 부식의 진행을 억제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강구되어야 하겠다. (5) 복구방안으로 본 연구에서 해석된 보강책을 채택하는 경우, 작업시 보조대 주위에서의 잔류 응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특히 유의해야 하며, 복구 작업 후 철저한 시험검사(비파괴 검사, 스트 레인 측정)가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ombustion Characteristics in a Constant Volume Combustion Chamber with Sub-chamber(I) -Effect of Geometric Configurations of Passagehole on Combustion- (부실식 정적연소실내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I) -연락공의 기하학적 형상이 연소에 미 치는 영향-)

  • 김봉석;권철홍;류정인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 no.1
    • /
    • pp.66-79
    • /
    • 1993
  • To construct the design back data for a lean-burn gas engine, we have designed a constant volume combustion chamber with sub-chamber. With constant volume ratio of main-sub combustion chamber and constant equivalence ratio of methane-air mixture, the influence of geometric configurations(diameter, injection angle, number, length) of passagehole up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It was found that combustion characteristics in the main combustion chamber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injection angle and length of passagehole.

  • PDF

Dynamic Analysis of Rotating Turbine Blades by Improved Stiffness Matrix Method and Finite Element Method (개선된 STIFFNESS MATRIX 법, FEM에 의한 회전하는 터빈 BLADE의 DYNAMIC해석)

  • 이진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04a
    • /
    • pp.367-373
    • /
    • 1995
  • 터빈 blade에 대해 기존의 stiffness matrix법과 finite element법에 의한 방식을 개선하여 수치계산을 행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stiffness matrix법을 적용하기 위해 th.2 order로 방정식을 유도하였으며, 회전시의 원심력의 영향 및 blade의 기하학적 형상이 수식에 고려되었다. 이 방법으로 blade의 여러 parameter의 영향을 간단히 계산할 수 있다. 계산결과는 다른 논문의 결과와 잘 일치함을 보였다. 또한, 원심력의 영향에 있어서는 th.2 order의 계산결과가 기존의 변형된 th.1 order의 결과보다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2) FEM 이용시 계산시간을 단축하면서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 blade를 간단히 modeling하여, 기하학적인 형상과 회전시의 영향을 고려한 식을 유도하였다. 본 방법의 결과는 타 문헌과 일치하였다.

  • PDF

Flow Characteristic Analysis in Accordance with Geometrical Modification of Air Distribution Plate in Gasboiler Combustion Chamber (가스보일러 연소실 공기분배판의 기하학적 형상에 따른 유동특성 해석)

  • Kim, Jae-Jung;Son, Young-Gap;Chang, Seog-Weon;Ryu, Dong-Su
    • Proceedings of the KSME Conference
    • /
    • 2000.04b
    • /
    • pp.859-864
    • /
    • 2000
  • This paper reports a numerical flow characteristic analysis in gas boiler combustion chamber. The numerical results with simplification and assumptions were found within 30% of the experiment. A lot of geometrical modification has been invested in attempt to obtain the uniform flow in the combustion chamber exit. As a result, the velocity magnitude of the combustion chamber is relate with the hole size in air distribution plate. The velocity uniformity of the combustion chamber is relate with the number of holes and location in air distribution plate.

  • PDF

Analysis of Shell Using the Spline Finite Strip with Drilling DOF (면내 회전을 갖는 SPLINE 유한대판 요소에 의한 쉘의 해석)

  • 최창근;홍현석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2 no.2
    • /
    • pp.185-199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spline 유한대판 요소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정식화는 등매개 개념에 의해 기하학적 형상과 변위장을 가정함에 있어 길이방향은 3차의 B-spline 곡선으로, 횡방향에 대해서는 Lagrange 다항식에 의해 표현된다. 이 논문은 평판과 쉘해석에 있어서의 등매개 spline 유한대판 요소의 개선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새로운 요소는 스트립의 내부 절점에서 6개의 자유도를 갖는 합-응력 감절점 쉘 요소로부터 유도하였다. 스트립의 기하학적 형상은 강체 회전에 대한 정의에 위배되지 않고도 두께 방향을 따라 Jacobian이 일정하다는 가정을 따랐으며 고체역학에서 정의되는 면내 회전을 penalty 함수에 의한 구속조건으로 간주하여 면내 회전에 관계된 자유도를 생성하였다. 제안된 요소에 대하여 쉘의 전형적인 문제에 대한 수치예제를 보였으며 이 스트립 요소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A Study on Sediment Transport Analysis and Hydraulic Geometrical Expression of Long-term volatility of River Bed (유사이송의 수리기하적 분석 및 장기간의 하상변동 경향성의 수리기하적 표현)

  • Hyeonseung Kim;Hyeri Yu;Dae-Hong Kim;Kyungrock Pa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35-235
    • /
    • 2023
  • 하천 내에서 하상변동은 치수나 생태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상변동의 예측을 위한 여러 가지 모델들이 존재하지만 하상변동의 양상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최근 수행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하천의 수리 기하학적 형상이 부유사 농도와 유량과의 관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Kim et al., 2018). 본 연구에서는 하상변동과 부유사의 농도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가정하여 수리기하(Hydraulic Geometry) 이론을 이용하여 하상변동의 경향성을 표현하여 하상변동의 경향성을 직관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하상변동을 수리기하적표현을 이용하여 해석적으로 제시하였고 수치모의를 실시하였으며 실제 자연하천에 대해 검증을 수행하였다. 수치모의는 자연에 존재할 수 있는 다양한 하천형상을 표현하기 위해 수리기하 이론에서의 수심과 폭을 나타내는 인자들을 이용하여 하천의 형상을 넓고 얕은 하천, 좁고 깊은 하천, 중간 정도의 하천으로 분류하였으며 흐름조건을 정상류와 부정류조건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하상경사와 하상재료의 입경분포를 고려하였다. 그리고 실제 하천에 대한 검증은 대한민국에 존재하는 갑천, 미호천, 남강, 임진강, 원주천, 금호강의 하상변동 자료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하상변동의 경향성을 직관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Manning 공식을 이용하여 하상전단력의 수리기하 지수를 수심, 유속, 조도계수의 수리기하지수들로 표현하였다.

  • PDF

저층트롤에서 발생되는 뻘물의 형상 모델링과 그래픽 애니매이션

  • 하석운;김용해;최윤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49-50
    • /
    • 2001
  • 저층트롤이나 기선저인망 등에서 발생되는 뻘물(Sand cloud)은 시각자극에 의한 어류의 구집과 어구 시인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여기서는 저층트롤의 전개판과 발줄등에 의한 뻘물의 발생범위 및 확산 정도를 기하학적인 형상으로 수치모델링하고, 이를 기초로 뻘물의 시각적 형상을 입자발생모델에 따라 그래픽 애니매이션 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