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술 수용성 모델

Search Result 49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terminants of the user's Intention to use of Mobile banking (Mobile Banking 사용 의도 결정 요인)

  • Han, Sang-Il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0 no.3
    • /
    • pp.135-157
    • /
    • 2005
  • Based on literature relating to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and the TAM, this study extends the applicability of the TAM in a mobile banking context, by adding one trust-based construct('perceived credibility') and two resource-based constructs('perceived efficacy' and 'perceived cost') and technical suitability constructs to the model, while paying careful attention to the placing of these constructs in the TAM's existing nomological structure. Data collected from 182 users in Korea were tested against the extended TAM,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The results strongly support the extended TAM in predicting users intentions to adopt mobile banking. Several implications for IT/IS acceptance research and mobile banking management practices are discussed.

  • PDF

The Effect of Health Consciousness and Playfulness on Intention to Use Tangible Fitness Game: Extended TAM (건강의식과 유희성이 체감형 피트니스 게임수용에 미치는 영향: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 Jang, Han-Jin;Noh, Ghee-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1
    • /
    • pp.1-11
    • /
    • 2017
  • This research verified that how Health-Consciousness and Enjoyment can have influence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o suggest a Tangible Fitness Game(TFG) acceptance model. First of all,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the core factors of TAM could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use TFG, so the applicability of TAM was confirmed in the context of using TFG. Health-consciousness, defined as some beliefs and interests on the importance of health, was found to have an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have an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use TFG. Enjoyment also influenced on the intention to use through usefulness and ease of use.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make elaborate theoretical accounts by verifying some factors influencing on the intention to use TFG using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 Integrated Extension to On-line Commerce Acceptance: A Combination of Trust and Affect into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온라인 상거래 수용에 관한 통합적 확장:기술수용모델에 대한 신뢰와 감정의 결합)

  • 임양환;박세훈
    • Asia Marketing Journal
    • /
    • v.6 no.1
    • /
    • pp.57-86
    • /
    • 2004
  • 인터넷관련 혁신의 수용을 설명하려는 많은 연구들에서 정보기술수용모델(TAM)이 적용되었지만, 온라인 상거래의 수용을 정확히 설명하기 위해서는 인터넷을 통해 상거래를 할 때 발생하는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상거래관련 기존 연구들을 바탕으로 TAM을 확장하는 변수로 신뢰와 감정을 추가하고 변수들의 영향 관계를 통합적으로 구조화하였다. 이러한 확장 구조를 통해, 온라인 상거래 수용을 설명하는데 TAM의 원형을 그대로 적용하거나 신뢰 혹은 감정만을 고려한 기존 연구들이 갖는 설명의 제한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온라인 상거래의 수용에 대한 전체적인 틀을 파악하고, 소비자가 온라인 상거래를 수용하는 측면에서 온라인 상거래의 성공을 결정짓는 주요한 변수들의 관계를 명확히 하였다. 신뢰, 감정, 사용의 용이함이 유용성을 지각하고 사이트 사용의도를 갖고 상거래 행동을 하는데 영향을 주며 이들 변수들간에도 영향관계가 있다는 모델을 제안하였고, 대안적으로 감정을 태도의 요소로 보는 모델과 신뢰가 감정이 전혀 관계가 없다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모델들을 비교한 결과 제안모델이 가장 우수하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각 변수들의 경로계수에 의해 가설을 검증한 결과, 감정과 사용의 용이함은 유용성에 정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고 신뢰는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신뢰와 사용의 용이함은 감정에도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다. 그렇지만 사이트 사용의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사용의 용이함 뿐이었다.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온라인 상거래가 사용자 수용 측면에서 성공을 할 수 있기 위해서는 사용의 용이함과 함께 신뢰와 감정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 PDF

Factors Affecting the Resistance of Innovation Technology based Smartphone Environment (스마트폰 혁신기술이 사용자 저항에 미치는 영향)

  • Nam, Soo-Tai;Jin, Cha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137-13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과 혁신확산이론을 기반으로 스마트폰 혁신기술 저항에 관한 재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외부변수는 기술수용모델의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사용 용이성 그리고 혁신확산이론의 적합성과 복잡성을 4개 변수를 두고자 한다. 예측변수는 혁신저항 변수를 두고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하여 개념모델을 완성하였다. 또한 혁신저항 변수가 인지된 위험 요인을 매개하여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 경남지역 및 전북지역에 거주하는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자 한다. 인구통계학인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19로 하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경로분석은 Smart PLS를 사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UTAUT Model of Pre-service Teachers for Telepresence Robot-Assisted Learning (원격연결형 로봇보조학습에 대한 예비교사의 통합기술수용모델)

  • Han, Jeong-Hye
    • Journal of Creative Information Culture
    • /
    • v.4 no.2
    • /
    • pp.95-101
    • /
    • 2018
  • As a result of introducing robot assisted learning which utilizes social robots or telepresence robots in language learning or special education, research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robot-assisted learning is also being conducted.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model of intelligent robot has been studied, but of tele-operated robot is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UTAUT model by pre-service teachers who experienced telepresence robot-assisted learning that can be done in future school. It is found that the estimated UTAUT model consists of more concise factors than social robots, and the importance of perceived enjoyment is higher. In other words, the pre-service teachers showed significant acceptance of tele-operated robots with enhanced enjoyment composed of its mobility, communication, and touchable appearance of the face and body.

A Meta-analysis and Review of External Factors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on Smartphone (스마트폰의 인지된 유용성과 사용 용이성에 미치는 선행요인 문헌적 고찰 및 메타분석)

  • Nam, Soo-tai;Jin, Cha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1a
    • /
    • pp.113-116
    • /
    • 2014
  • 기술수용모델은 지난 20년 동안 많은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지금도 여전히 계속 연구되어 오고 있다. 메타분석은 여러 실증연구의 정량적인 결과를 통합과 분석을 통해 전체 결과를 조망할 기회를 제공하는 통계적 통합 방법이다. 최근 스마트폰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기술수용모델을 기반으로 선행 요인에 관한 문헌적 고찰과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13년 이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중 기술수용모델의 인과관계를 설정한 총 106편의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메타분석의 결과, 선행 요인과 인지된 유용성의 경로에 가장 큰 효과 크기는 유희성으로 나타났다. 인지된 유용성과 유희성의 경로에 효과 크기는 0.536이었다. 그리고 선행 요인과 인지된 사용 용이성의 경로에 가장 큰 효과 크기는 자기 효능감으로 나타났다. 인지된 사용 용이성과 자기 효능감 경로에 효과 크기는 0.626이었다. 분석결과를 통해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 하고자 한다.

  • PDF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echnology Acceptance : Focusing on fintech in high-end technology (중·고령자의 기술수용도(Technology Acceptance) 영향요인 분석 : 최신기술 핀테크(Fintech)를 중심으로)

  • Um, Sa-Rang;Shin, Hye-Ri;Kim, Young-S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2
    • /
    • pp.57-71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end Davis's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to verify the intention of use fintech factors in which usefulness, easiness, accessibility, affordability, innovation, and uncertainty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 Data was derived from the 2017 Driving and Mobility Survey of Older Adult Korean, which was collected from 457 middle-aged and older adult aged 55 and over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Then, structural equation was used to verify the fintech technology acceptance factors of the middle-aged and older adult. The results showed that fintech technology acceptance factors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 were verified as usefulness, easiness, innovation, and uncertainty. Namely, the higher usefulness, easiness and innovation resulted in higher the intention to use fintech. Also, the lower the uncertainty resulted in higher the intention to use fintech. This study has implication for fintech, a representative technology of the Aging-Friendly Finance Industry, to identify the technology acceptance factors by expand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

Study on the Effect of Sociability, Ease of Use, Usefulness, Enjoyment on Acceptance Intention in e-Learning -A Perspective of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이러닝에서 사회성, 사용용이성, 유용성, 즐거움이 수용의향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관점-)

  • Lee, Jong-M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4
    • /
    • pp.417-42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e-Learning acceptance intention through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applying TAM, the motivation theory, and the social response theory. To do this, this paper proposes and analyzes a theoretical model consisting of factors such as perceived sociability,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njoyment, and e-Learning acceptance intention. Our findings are revealed as following: Firs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have positive effects on e-Learning acceptance intention. Second, perceived ease of use has positive effects on determinants of e-Learning acceptance intention. Third, perceived sociability not only has direct influence on e-Learning acceptance intention but also has indirect influence carried by perceived usefulness.

Understanding User Acceptability Towards to Robo Taxi Based on Value Based Adoption Model (가치기반수용모델 기반의 로보택시 사용자 수용성 분석)

  • In su Kim;Jeong ah Jang;Junghwa Kim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2 no.1
    • /
    • pp.291-310
    • /
    • 2023
  •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which affect user acceptance for Robo Taxi, an electricity-based Autonomous Vehicles based on a Value based Adoption Model. The three main factors of benefit (usefulness and enjoyment), sacrifice (technicality and perceived fee level), and user experience about mobility services such as car sharing, taxi, and autonomous vehicles, were finally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s a influential factors on perceived values and adoption intention of Robo taxi. The study found that usefulness, enjoyment, and perceived fee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adoption intention, and some user experienc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enefit factors. This study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incorporating the Value-based Adoption Model results into the service design for the activation of Robo taxi, and furthermore, they can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effective use of the research findings.

정보시스템 사용의도 향상을 위한 개인화 연구

  • Lee, Seong-U;Jang, Won-Gyeong;Kim, Tae-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a
    • /
    • pp.75-90
    • /
    • 2010
  • 기술 수용 모델을 통하여 개인이 신 기술을 채택하여 사용하는 경향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가 비자발적인 시스템 환경에서 편리성, 유용성의 개선을 통한 사용의도 향상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인터넷의 보급은 기업의 정보시스템 환경에도 많은 변화를 주고 있으며 사용자들에게도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브라우징, 컴포넌트화를 제공하는 웹 환경으로 전환된 개인화된 정보시스템은 종전 클라이언트/서버 환경과 달리 사용자들에게 스스로 사용 환경을 구성하고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인트라넷 시스템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화를 통하여 정보시스템을 자발적인 사용 환경으로 구축하고 편리성과 유용성을 개선하여 새로운 기술 수용에 대하여 우호작인 태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 의도를 향상 시킬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향후 자발적인 환경으로 기업의 정보시스템을 구현할 경우에 필요한 개인화 변수 및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