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TAUT Model of Pre-service Teachers for Telepresence Robot-Assisted Learning

원격연결형 로봇보조학습에 대한 예비교사의 통합기술수용모델

  • Received : 2018.07.02
  • Accepted : 2018.08.30
  • Published : 2018.08.31

Abstract

As a result of introducing robot assisted learning which utilizes social robots or telepresence robots in language learning or special education, research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robot-assisted learning is also being conducted.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model of intelligent robot has been studied, but of tele-operated robot is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UTAUT model by pre-service teachers who experienced telepresence robot-assisted learning that can be done in future school. It is found that the estimated UTAUT model consists of more concise factors than social robots, and the importance of perceived enjoyment is higher. In other words, the pre-service teachers showed significant acceptance of tele-operated robots with enhanced enjoyment composed of its mobility, communication, and touchable appearance of the face and body.

언어교육이나 특수교육을 위하여 지능형 소셜 로봇이나 원격연결 로봇을 교육현장에 활용하는 로봇보조학습이 도입됨에 따라 기술수용모델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지능형 소셜 로봇에 대한 통합기술수용모델까지 연구되어 있으나, 원격연결형 로봇보조학습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 논문은 원격연결형 로봇보조학습이 미래학교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하여 로봇보조학습을 체험한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통합기술수용모델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추정된 통합모델은 자율 지능형 로봇보다 간결한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이동성, 커뮤니케이션, 외형의 하위요인이 영향을 끼치는 유희성의 중요도가 매우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예비교사들은 얼굴영상 원격연결로봇의 자유로운 이동성,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직접 만질 수 있는 외형으로 구성된 유희성을 높인 로봇에 대한 유의미한 수용도를 보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2015년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5R1D1 A1A0906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