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술 성숙도

검색결과 885건 처리시간 0.034초

4차 산업혁명 기반 핵심기술에 대한 기술성숙도와 산업과 연계 타당성 연구 (A Study on the Connective Validity of Technology Maturity and Industry for Core Technologies based on 4th Industrial Revolution)

  • 조한진;정규만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49-57
    • /
    • 2019
  •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 발전은 다른 핵심기술의 발전과 연계되며, 이를 통하여 미래에 산업구조를 변화시키고 새로운 스마트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술 성숙도 분석을 통하여 기술 성숙도 수준을 진단할 수 있는 방안과, 기술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술 동향 정보를 이용하여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의 시장, 정책 등을 조사하고 종합하여 종합적인 성숙도 수준을 수행하였다. 기술 성숙도 측정값은 기술 개발자에 의해 배점되므로, 사람의 성향에 따라 편견이 작용되어 주관적인 평가가 될 수 도 있다. 또한 개별 기술의 성숙도에 대한 측정이므로, 전체 시스템 통합 관점의 평가에는 적합하지 않다. 하지만 전체 시스템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기술들을 시스템에 연계하기에 앞서 성숙도를 평가하여 전체 시스템의 효과와 구현 가능성을 비교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기술 개발의 계획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항공우주개발 프로젝트에서 개발기간과 비용에 대한 TRL의 영향 분석 (TRL Impact on Development Schedule and Cost in the Aerospace Project)

  • 황형원;김홍래;장영근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64-272
    • /
    • 2012
  • 시스템개발 프로젝트에서 기술성숙도(TRL; Technology Readiness Level)는 개발기간과 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만약 프로젝트 주관기관의 핵심기술요소(CTEs)에 대한 기술 성숙도를 정확히 평가하여, 그에 따른 개발기간과 일정의 영향 정도를 세밀히 분석한다면, 개발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예산 추가와 일정 지연과 같은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술성숙도가 항공우주개발 프로젝트의 개발기간과 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무인기시스템 개발사업에 적용하여 개발기관의 기술성숙도 수준 차이에 따른 개발기간과 비용의 정량적인 변화를 분석하였다.

국방 핵심기술의 성숙도(Readiness Level)평가를 활용한 국방기술가치평가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Defense Technology Valuation Using the Readability Level Assessment of Core National Defense Technology)

  • 이형석;신충진;강석중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2호
    • /
    • pp.1710-1719
    • /
    • 2019
  • 본 연구는 다양한 기술의 융합과 체계통합기술이 고도로 복잡하게 요구되는 국방기술을 이해하고, 분야별 특성이 반영된 가치평가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치평가 대상 무기체계의 기술 수준의 척도, 기술 간의 통합(체계통합기술)척도, 제조준비 및 성숙도 척도를 측정요소별 항목에 맞추어 측정하여 시스템성숙도를 확인하고, 시스템의 성숙도를 활용한 핵심기술의 계량적인 가치예측모형의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방기술의 가치를 기술분야별 특성을 고려하여 이에 맞는 가치평가방법을 제안하는 연구이다. 각 분야의 역량있는 기술전문가들에 의해 분야별 기술적인 특성이 반영된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되고, 전체 시스템의 완성도를 정량적인 수치로 표현할 수 있는 시스템성숙도(SRL)를 활용하여 국방기술가치를 평가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가중치 산출방법을 활용한 획득방안 분석단계의 기술성숙도평가 개선방안 (Improvement for Technology Readiness Assessment with Weighting Method for Defense Acquisition Project)

  • 김미선;노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38-544
    • /
    • 2021
  • 기술성숙도평가는 기술적 위험을 사전에 식별하여 무기체계 개발사업의 위험도를 관리하는 절차이다. 현재 규정상 기술성숙도는 해당 레벨의 충족항목 비율 및 미충족 항목이 사업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 대책수립 여부 등을 고려하여 판정한다. 그러나 미충족 항목이 사업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기준이 규정에 제시되지 않기 때문에 평가자의 주관적 판단에 기술성숙도평가 결과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위험성이 존재한다. 또한 기술성숙도 체크리스트 내 각 항목의 중요성이 사업별로 상이하나 기술성숙도 평가 과정에서 고려되지 않는 제한점이 있다. 특히, 전투기 등 국외도입 복합체계와의 연동이 기술적 위험요소로 언급되는 사업의 기술성숙도평가 수행 시 체크리스트 내 구성품 개발기술수준 또는 체계 구조정의 등과 관련한 항목 대비 체계 연동 및 외부 인터페이스와의 통합 등과 관련한 항목의 만족여부가 상대적으로 중요하나 평가 결과에는 이와 같은 요소가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현재 기술성숙도평가 절차의 보완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기술성숙도평가 개선방안을 통해 사업별 특성 및 기술성숙도 체크리스트 세부항목의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술성숙도평가 결과의 신뢰성과 객관성을 개선가능하다. 제안하는 개선방안의 기대효과는 복합체계인 항공기의 성능개량 사업을 예시로 분석 및 제시한다.

AHP 기법 기반 디지털 큐레이션 성숙도 모델·지표 가중치 연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디지털 큐레이션 성숙도 모델을 중심으로 (A Study on Weighting for Digital Maturity Model & Indicators based on AHP Technique: Focusing on Digital Curation Maturity Model of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 김성훈;박진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43-262
    • /
    • 2023
  • 정보관리기관은 기관의 디지털 성숙도를 효과적으로 평가하고 개선 방향을 명확히 하여 급속도로 발전하는 정보기술 환경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급변하는 정보환경 속에서 정보관리기관의 효과적인 평가 및 방향설정이 용이하도록 디지털 전환의 관점에서 KISTI가 개발한 디지털 큐레이션 성숙도 모델의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AHP기법을 통해 모델의 대분류와 중분류에서 상대적 중요도를 가중치로서 도출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해 보면, 전체 모형의 대분류를 100점 기준으로 측정할 때 기술은 27점, 데이터는 24점, 전략은 19점, 조직(인력)은 16점, (사회적)영향력은 14점으로 계산 가능하였다. 그리고 각 대분류 내 중분류에 대해서도 세부항목 별 가중치를 각각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영역별 가중치를 디지털전환 성숙도 평가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보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무기체계개발에서 시스템 성숙도와 기술적 성능 달성도를 연계한 시스템 성능 측정 방법 (On an Approach to Measuring the System Performance by Utilizing the Combined System Readiness Level and Achieved Technical Performance in Weapon Systems Development)

  • 권일호;이재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163-4170
    • /
    • 2013
  • 최근의 무기체계 연구개발에서 실패의 주요인은 요구되는 핵심성능의 미충족과 기술성숙도 부족이다. 이러한 실패의 가능성에 대한 위험관리를 위해서 기술성능측정 관리와 기술성숙도 평가의 수행이 필요하다. 하지만 일반적인 기술성능측정 관리 기법의 적용은 컴포넌트 수준 이하에 대한 측정으로 시스템 통합의 효과를 반영하는 데는 제한이 있다. 한편으로 시스템 통합에 대한 효과를 반영하기 위한 시스템 성숙도 측정 방법이 제시되었지만 성능과 기술성숙도를 분명하게 연계시키지는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컴포넌트 수준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확대하여 시스템 수준에서의 기술적 성능 달성도 평가방법과 함께 시스템 성숙도를 연계하는 시스템 성능 달성도 측정 기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무기체계개발에서 위험관리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컴포넌트기반 개발 프로세스 성숙도 모형설계 (The Design for Component based Development Maturity Model)

  • 나희동;김태우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2년도 창립기념 학술대회
    • /
    • pp.152-157
    • /
    • 2002
  • 컴포넌트 기반 개발 프로세스는 그 동안의 구조적 분석/설계 기법과 정보공학, 객체지향 등의 공학적 분석기술을 수용하고 있다. 따라서 CBD를 적용하려는 조직은 다양한 소프트웨어 공학적 기법과 아키텍처 설계 기술들을 습득해야 하였다. 또한 CBD의 핵심 역량인 반복적 개발 프로세스와 아키텍처 설계 역량을 갖추기 위해 각 개발업체 들은 CBD기술의 도입초기에 상당한 혼돈과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CBD를 조직차원에서 습득하고 적용하는 과정을 5개의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의 목표를 설정한 컴포넌트 개발 프로세스 성숙도 모형을 제시한다. CDMM(Component based Development capability Maturity Model)으로 명명한 본 개발 능력 성숙도 모형은 소프트웨어 개발조직이 CBD를 습득하기 위해 어떤 단계를 거쳐야 하는지 또한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핵심기술이 어떤 것들인지를 제시한다. 이는 향후 CBD를 확산시키고 컴포넌트 기술을 통한 생산성향상과 소프트웨어 개발비 절감을 위해 기업과 국가의 정책적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ITFIND 정보를 활용한 기술 성숙도 수준 진단 방법 (ITFIND Information Utilizing Technology Maturity Level Diagnostics)

  • 황철현;박상휘;임혁;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763-768
    • /
    • 2016
  • IT기술 동향 정보는 정부/공공 정책과 산업계의 R&D의 투자 의사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정보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기술 동향 정보는 공공 데이터 개방에 필수적인 정보이기 때문에 해당 기술을 담당하는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별로 지속적으로 생산 및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기관에서 제공되는 기술 동향정보를 통합하여 하나의 성숙도 수준으로 진단할 수 있는 방법과 가능성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기술 성숙도 진단을 위한 데이터 수집과 처리 저장, 최적화된 서비스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종합적인 시스템 구성 방법과 ITFIND 서비스에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종합적인 성숙도 수준 진단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보정을 통해 더 정확한 수준 진단을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닝 지원정책 활용성숙도 분석을 통한 정책 효과성 제고 방안 (Measures for e-Learning Policy Effectiveness Improvement through Analysis of Maturity of Korean Policy Application)

  • 노규성;박상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11-19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 정부의 이러닝 기술개발(R&D) 지원 정책에 대한 이러닝 공급업체의 정책 활용 성숙도를 분석하고, 기업 경영상 애로사항이 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정책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12년 이러닝 산업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실태조사 자료 중 정부의 정책에 대한 기업의 인지, 경험, 향후 이용의향 설문 항목을 활용하여 6단계의 성숙도 모델이 도출이 되었으며, 이에 대한 운영, 기술개발, 마케팅 등 경영상 애로사항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이러닝 업체들은 자금 관리, 개발 기술의 사업화에 어려움이 많을수록 기술개발 지원정책 활용 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원 정책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