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술개발성과

Search Result 4,14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he Effect of Prior Art Search on Patent Output from National R&D Program (선행기술조사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특허성과를 중심으로)

  • Im, Bu-Ru;Park, Kyoo-Ho;Lee, Keun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19 no.1
    • /
    • pp.177-201
    • /
    • 2011
  • This study is trying to estimate the effect of survey of prior art on the technological performance of national R&D program, with the purpose to enhance understa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tilization of patent information and R&D activities. Patent and Technology Trend Research, one of the survey of prior art which gives the information about existing technology and patent trend to the project team has been carried out since 2005. In this paper, effects which Patent and Technology Trend Research has on the technological performance of national R&D projects are estimated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model considering input factors, characteristics of an agent and supplier of money. The result is that Patent and Technology Trend Research has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the grant and applic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patent. This result can give an hint that the utilization of patent information make the R&D process efficient and effective.

  • PDF

연구개발과제의 양적.질적 성과분석지수 개발 : IT핵심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Yu, Seung-Hun;Lee, Jong-Sik;Kim, Sang-Tae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9.02a
    • /
    • pp.413-433
    • /
    • 2009
  • 질적인 측면을 충분히 감안하지 못한 양적 성과분석은 연구개발 과제의 성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양적 성과와 질적 성과를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종합적인 성과분석지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성분 분석과 동일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특허 출원 건수, SCI 게재논문 건수, 기술이전 건수라는 3가지 양적 성과지표와 이에 대응되는 특허 심사청구 항수, 논문게재 학술지의 IT, 총 연구비 대비기술료 비중의 3가지 질적 성과지표를 성과지표로 고려하면서 성과분석지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주성분 분석의 적용 결과 특허 출원 건수(0.2160), SCI 논문게재 건수(0.1510), 기술이전 건수(0.1564), 특허 심사청구 항수(0.2257), 논문게재 학술지의 IF(0.2218), 기술료 비중(0.0291)의 가중치를 얻을 수 있었다. 이 6가지 평가지표는 종합평가지수라는 하나의 틀로 결합되어 개별 과제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양적 성과지표와 질적 성과지표로 구분하여 평가할 수 있다. 가중치 결정 방법에 따라 평가결과가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지만, 가중치 결정 방법과 상관없이 양적 성과지표 평가결과와 질적 성과지표 평가결과는 크게 달랐다.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과제평가등급과의 상관관계를 따져보았더니 질적 성과지표와 과제등급과의 상관관계가 양적 성과지표와 과제등급과의 상관관계보다 더 크다는 것이다. 따라서 성과분석에 있어서 질적 성과지표를 반영한 질적 성과분석이 반드시 수행될 필요가 있다. 앞으로 특허 인용도 등 보다 다양한 질적 변수를 확보하여 성과분석지수를 보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

ICT기반 창업자의 기업가정신과 기술혁신이 기술개발성과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Yang, Seon-A;Hwang, Bo-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23-28
    • /
    • 2019
  •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는 창업자들의 경우 대부분 창업자가 보유한 기술을 기반으로 ICT관련 기술을 활용한 사업을 시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ICT창업의 경우 보유한 기술에 대한 가치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보유한 기술의 수준이 높으면 기술성과가 높을 것이라는 막연한 생각을 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ICT창업의 경우도 다른 창업과 다르지 않게 많은 성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인이 필요합니다. 본 연구는 ICT기반 창업자의 기업가정신과 기술혁신역량이 기술개발성과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을 통해 ICT창업자가 갖추어야할 역량과 다양한 요인에 대해 밝히고자 합니다. 기존연구는 일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다수였으며 최근 급속도로 늘어난 ICT기반 창업자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그렇기 때문에 ICT기반 창업자에 대한 적용은 시기적절한 연구라 할 수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다양하게 정의된 기업가정신 및 기술혁신역량의 구성요인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고 이를 독립변수로 하여 기술개발성과와 경영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대해 실증 연구하였다.

  • PDF

The Effects of Information Search on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and Performance (정보탐색이 신제품개발 과정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 Shim, Duksup;Ha, Seongwook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 /
    • v.21 no.4
    • /
    • pp.109-127
    • /
    • 2020
  •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information search on new product development (NPD) process and performance with a sample of 82 NPD projects in 5 firms. The information search is consisted of general sources, internal sources, and external sources. The performance is consisted of technological and market performance. Findings show that information search from internal sources increases the technological knowledge of the NPD team, and information search from external sources increases the market knowledge of the NPD team. The technological and market knowledge of the NPD team increases its technical performance respectively. Only the market knowledge of the NPD team increases its market performance. Overall, the technological knowledge of the NPD team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search from internal sources and its technical performance. The market knowledge of the NPD team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search from external sources and its technical perform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search from external sources and its market performance. There is no other significant mediation relationships between the information searches and the performances.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Assessment of Small and Medium Business R&D Project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Kim, Yong-Sung;Han, Kyeong-Seok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9 no.3
    • /
    • pp.595-603
    • /
    • 2018
  • Recently, the government has been interested in the creative economy in order to create new added value through industries and cultures, jobs, and growth engines for talented people who have creative ideas. The government emphasize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s a core task for the realization of the creative economy in the '5th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Promotion Plan' based on th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Promotion Act' in order to ensure that the technologies developed through R&D projects lead to new industries and job crea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what kind of variables are influenced by specific variables in the utilization and process of the developed technology to lead the results as the proportion of national R&D budget is increasing and it is linked to the achievement of R&D purpose. Therefore,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for practitioners wh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ME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s. As a result, Readiness, Technological Performance and Competency Assessment effect Performance Assessment positively.

A Similarity Analysis on National R&D Programs and Paper Outputs using Network Analysis (국가연구개발사업과 논문성과간 네트웍 분석을 통한 사업별 유사성 분석)

  • CHANG, Hansoo;HONG, HONG;CHOI,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263-1269
    • /
    • 2017
  • 정부의 연구개발투자로 수행되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세부과제 단위로 매년 도출되는 6대 성과(논문, 특허, 기술료, 사업화, 인력양성 지원, 연수 지원)를 집계한다. 성과 중 하나인 SCI급 논문은 한 논문을 다른 연구과제의 성과로 제출하는 경우도 많아서 동일 논문성과를 다수의 과제에서 공유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과 그 성과로 도출된 SCI급 논문간의 네트워크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데이터는 2015년도에 수행된 연구개발과제의 성과로 제출된 11,179편의 SCI급 논문 중 2개 이상의 과제 결과로 도출된 논문이다. 또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SCI급 논문 성과는 세부과제 단위로 집계되므로 SCI급 논문-세부과제간 네트워크는 정보량이 과다하다. 따라서 SCI급 논문에 대한 네트웍 분석은 세부과제를 포함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간의 네트워크로 한 단계 높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논문-사업간 2모드 네트워크를 1모드 네트워크로 전환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하였다.

  • PDF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Collaboration and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in Small & Mid-sized Venture Companies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역량, 협업, 신제품개발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Lee, Rok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5 no.1
    • /
    • pp.185-195
    • /
    • 2020
  • This study is intended to determine that there is a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and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in small and mid-sized venture companies, and that the introduction of collaboration as a means to step up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will improve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to employees who are engaged in R&D work for small and mid-sized venture companies based in Korea,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showed that technology strategy, technology learning and open innovation belonging to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in small and mid-sized venture companies had an effect on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In other words, the selection of collaboration as a wider array of core strategies on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showed that collaboration was a strategy affecting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In addition, the moderating rol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in boosting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collaboration showed that common collabor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tepping up technology strategy, and collaboration as a core strateg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ize of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by strengthening technology strategy and open innovation.

R&D Investment and Project Performance : Research on Industrial R&D Programs of Government (연구개발투자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정부의 산업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Chang, Keum-Young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18 no.1
    • /
    • pp.75-9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ive policy implications for relevant policy-makers by analyzing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of industrial R&D programs of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type of project leader organization(Big Enterprises, SMEs, Ventures Businesses,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Universities), cooperative or noncooperative R&D among industry-university-research institution, total number of project participant organization, total R&D investment, and the ratio of private investment to total R&D investment. The dependent variables are domestic or foreign patents granted and domestic or foreign papers accepted. The method of analysis is Poisson Regression analysis operated by STAT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follows ; Universities show higher R&D performance compared to enterprises or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in terms of patents and papers as well. Venture businesses show higher patent performance compared to SMEs.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between total number of project participant organization and R&D performance is not supported. The higher total R&D investment, the higher R&D performance. The higher the ratio of private investment to total R&D investment, the higher R&D performance.

  • PDF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개발 성과의 경제적 파급효과 추정에 관한 연구 - 기계분야 K연구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 Gwak, Gi-Ho;Park, Ju-Hyeong;O, Seung-Hun;Lee, U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409-422
    • /
    • 2017
  •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은 과학기술의 연구개발을 통해 국가 및 산업계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정부가 설립하고 운영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기관으로 1966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설립 이후 2017년 현재까지 50년에 걸쳐 총 25개의 기관이 설립되어 운영 중에 있다. 설립 목적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출연(연)은 연구개발 성과를 활용하여 기술이전 지원을 통한 기업체 경영 성과 달성, 전문 연구 인력 배출, 정부 정책 수립 및 지원을 통한 산업 경쟁력 강화 등의 다양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창출해왔다.. 그러나 출연(연) 연구개발 성과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논의는 비교적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기계분야 K연구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출연(연) 연구개발 성과의 경제적 파급효과 산출을 위한 분석 틀을 제시하였다.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의 틀은 크게 출연(연)의 연구개발성과가 이전 확산되는 산업의 경제적 성장에 대한 기관의 기여도를 산출하는 '하향식 접근'과 기술이전 지원, 전문 연구 인력 배출 등 기관의 연구개발 활동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개별적으로 산출하여 더하는 '상향식 접근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하향식 접근'과 '상향식 접근'의 활용은 두 방식을 통해 산출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출연(연) 연구개발성과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결과가 다양한 출연(연) 연구개발 성과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산출하는데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기술사업화 역량과 외부기술획득활동이 신제품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Jeong, Sang-Eun;Yang, Yeong-Seok;Kim, Myeong-Su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225-230
    • /
    • 2018
  • 본 연구는 기술사업화 역량과 외부기술획득활동이 신제품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최근의 기술창업기업은 기존 조직 내부의 기술들 이외에 외부의 다양한 기술들을 들여와 기존 기술과 융 복합하여 기술 사업화를 도모하여 치열한 글로벌 경제 환경 속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정책적으로도 글로벌 경쟁력과 첨단기술을 갖춘 중소 벤처기업 육성 안이 대거 포함되어 기술기반의 기술창업기업을 창출하고 육성하여 기술사업화를 촉진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기술사업화의 핵심적 요소로 간주되고 있는 기술사업화역량 및 외부기술획득활동은 여러 측면에서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기술기반의 기술창업기업의 창출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기술사업화 역량과 외부기술획득활동이 신제품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기술창업기업의 신제품개발성과 향상을 위하여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술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기술기반의 기술창업 기업의 기술사업화 역량과 외부기술획득활동이 신제품개발성과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성공적인 기술사업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확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