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본교육

검색결과 2,652건 처리시간 0.029초

학교도서관 교구·설비기준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Standards for School Libraries Instructional Media and Equipments)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57-84
    • /
    • 2005
  • 교구$\cdot$ 설비기준은 학교 교육과정을 위한 기본 요소를 의미한다. 지식기반사회에서 학교도서관은 교육과정을 지원하고 정보활용과 독서지도를 위한 기본적인 교육환경이다. 따라서 학교도서관 교구 설비기준은 학교도서관의 사명을 담아야 하며, 교육적 역할에 적합한 구성요소를 포함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행 기준은 양적 질적 측면에서 불충분하다. 따라서 학교교구·설비기준 개정 시, 학교도서관 교구 ·설비기준은 특히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여야 한다. 1. 시설 지침; 2. 기본 설비 방안; 3. 교육적 역할에 적합한 교구 기준; 4. 기본 공간별 설비 종목; 5. 보다 상세한 정보기기 종목; 6. 특수학교도서관 기준 개선

공업전문대학 전기공학과 교육과정에 대하여

  • 전승구
    • 전기의세계
    • /
    • 제27권2호
    • /
    • pp.23-28
    • /
    • 1978
  • (차례) 1.공업전문대학의 교육목적 2.교육과정 (1)전기공학과의 교육목적 목표 및 방침 (2)교육과정 운영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3)모형교육과정작성(안) 기본방침 (4)모형교육과정(안) (5)교과목 내용 3.기준외곽시설(안)

  • PDF

핵심기본간호술 VR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융복합 연구 (A Convergence Research for Development of VR Education Contents fo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 김정기;유혜연;이영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714-72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VR 기본간호술 교육 콘텐츠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핵심기본간호술 20가지 중 간이혈당검사와 인슐린피하주사 항목은 간호술 항목에서 빈번히 수행하는 기본간호술 중 하나이며, 당뇨환자들에게 자가관리 교육을 할 때도 사용할 수 있는 항목이다. 본 연구는 이 항목을 가지고 학습자의 체험을 중심으로 가이드, 미션, 피드백의 3단계로 나누어 몰입형 VR기반 핵심기본간호술 콘텐츠를 설계하였다. 이 콘텐츠에서는 실제 간호술처럼 콘트롤러를 사용하지 않고 손가락 관절인식을 통해 손의 움직임을 트랙킹하여 몰입하며 훈련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임상 수행 능력 향상을 도울 수 있는 VR 간호술 교육 콘텐츠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기본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수행자신감 및 수행능력과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Knowledge, Attitude, Self-Confidence and Performance Ability on Basic Life Support in Nursing Students)

  • 곽윤실;허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26-137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기본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수행자신감 및 수행능력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4학년 8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와 수행능력 관찰평가 방법으로 시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기본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수행자신감이 높을수록 수행능력이 높았으며, 기본소생술에 대한 지식, 교육 횟수, 마지막 교육시기가 3개월 이내가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본소생술 수행능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3개월 이내 교육과 반복교육이 중요하므로 이를 위한 교육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울산덧배기의 전승을 위한 기본교육과정 연구 (A Study on the Basic Movement Instruction for Inheritance Education of Ulsan Dutbeki)

  • 최흥기
    • 공연문화연구
    • /
    • 제38호
    • /
    • pp.385-421
    • /
    • 2019
  • 풍속에 의해 자연스럽게 전승된 울산덧배기는 급격하게 변화한 현대사회의 환경과 함께 거의 사라져 가고 있다. 이 연구는 울산덧배기를 전승 교육하기 위하여 기본동작으로 교수하는 방법을 연구한 것이다. 강습 대상은 울산덧배기를 처음 접하는 사람 위주로 하였다. 교육과정은 먼저 울산덧배기를 배우는데 있어서 몸과 마음을 준비하는 상태이다. 그리고 울산덧배기의 기본 교육과정은 교육과정, 굿거리장단의 기본 동작, 자진모리장단의 기본 동작을 순서로 하였다. 다음은 연결 동작에 의한 춤사위 익히기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초보자가 시간과 공간이 제한된 강습실에서 울산덧배기를 전승받기 위한 방법이다. 이렇게 울산덧배기 춤을 교수하는 방법을 연구한 것은 풍속에 의해 자연스럽게 전승된 덧배기가 단절되어가는 현실에서 일반시민들에게 무형문화를 전승하기 위한 조치인 것이다. 이 연구의 성과는 사라져가는 울산의 무형문화인 덧배기를 보호하고, 이를 시민들에게 전승할 수 있게 기본적인 동작으로 교수하는 방법을 연구한 것이다.

유아교사의 메이커 교육 인식에 기초한 교사 교육과정 구성 방향 (The Composition of Teacher Curriculum based on Maker Education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이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605-61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의 메이커 교육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메이커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메이커 교육에 대한 교사 교육 과정 구성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메이커 교육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 결과 메이커 교육에 대한 개념 및 의미와 교육환경에 대한 인식은 낮게 나타난 반면 메이커 교육의 효과, 중요성, 가치, 지속적 적용과 발전가능성은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메이커 교사교육과 교육환경 구성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조사결과를 기초로 교사 교육과정 구성안은 크게 기본과정과 심화과정으로 분류하였다. 기본과정에는 메이커 교육과 메이커 스페이스의 개념 및 의미 등에 대한 기반 내용을 포함시켜 인식과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으며 심화과정에서는 다양한 도구, 재료 및 디지털 매체 활용방법과 메이커 교육 수행 방법 및 평가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메이커 교육활용 능력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메이커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과정 구성안은 향후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사들의 디지털 수업역량을 강화하는데 기본방향을 제안해 줄 수 있다.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과 교재의 재구성 방안

  • 이의원;김진상;이명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2권
    • /
    • pp.93-102
    • /
    • 2001
  • 수학은 합리적이고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양식(style)의 학문으로서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화하고 확장되는 개념의 집합체이다. 불확실한 미래사회에 대비하기 위하여 문제해결, 추론 및 의사결정의 기법은 학교수학에서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이러한 사회환경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7차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을 ‘자율적 ${\cdot}$ 창의적인한국인 육성’으로 설정한 교육부는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의 수학을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으로 규정하고, 1학년에서 10학년까지를 20개의 소단계(1-가에서 10-나)로 세분하고 있다. 그러나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지나치게 의식하게 되면, 학생들의 개인차나 협동학습, 학습평가 등의 교수 ${\cdot}$ 학습의 여러 측면에서 자칫 혼란이 우려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준별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뉴질랜드의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학생들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신장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교과서의 재구성 방안과 이에 따른 교사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초등학교에서의 ICT 통합 교육과정 설계 (A design of ICT-based integration curriculum in the primary school)

  • 김공실;김성백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A)
    • /
    • pp.845-847
    • /
    • 2003
  • 21세기는 정보기술과 함께 폭증하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가치 있는 정보를 선택, 판단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정보활용능력이 필수적인 사회로 전환되고 있다. 정보 사회 적응을 위한 기본소양 교육이 효과적으로 실천되기 위해서는 정보 소양 학습을 지원하는 다양한 활동이 있어야한다. 교과 교육의 정보화를 실현하는 한 방법으로 교육 과정의 통합적 접근이라고 할 수 있으며, 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은 복잡한 사회의 변화에 대한 종합적인 안목을 길러주고, 지식 정보의 폭발적 증가에 보다 적절하게 대응하게 해 준다는 점에서 그 교육적 정당성을 발견할 수 있다. 결국 교육과정의 통합은 급속한 사회의 변화를 교육체제에 조정시키는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교육적 의미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계화된 ICT 교육과정을 편성하였으며 그 편성 방향은 ICT를 기본으로 하여 여러 교과를 통합지도 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조직하고 이를 웹 기반 교수 학습 형태로 제시하였다.

  • PDF

미적분학의 기본정리에 의한 정적분 도입에 대한 고찰: 내용전문가와 학교 현장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definite integral by the 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 Focus on the perception of math content experts and school field teachers)

  • 허완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8권3호
    • /
    • pp.443-458
    • /
    • 2024
  • 본 연구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정적분을 '미적분학의 기본정리'로 도입하는 것에 대한 수학 학문적 관점과 실제 학교 현장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에 수학 학문적 관점과 학교 현장의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해석학 전공 교수 12명과 교사 3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학 학문적 관점에서 해석학 전공 교수들은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정적분을 '미적분학의 기본정리'로 도입하는 것이 정적분의 본질과 의미를 유의미하게 나타내기 힘들다고 하였다. 실제 학교 현장에서 교사는 정적분과 도형의 넓이와의 관계에 대한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미적분학의 기본정리'로 정적분을 도입할 경우 학생들은 정적분과 도형의 넓이와의 관련성을 인식하기 어려워한다고 하였다. 이후 시행 될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정적분을 '미적분학의 기본정리'로 도입함에 따라 본 연구를 통해 정적분 도입 및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미적분학의 기본정리'로 정적분을 도입할 때 정적분을 도형의 넓이와 관련지을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과 다양한 시각적 도구 및 매체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지적장애학생의 기본심리욕구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Happines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손성화;강영심
    • 지적장애연구
    • /
    • 제20권2호
    • /
    • pp.1-21
    • /
    • 2018
  •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행복감의 수준을 살펴보고, 기본심리욕구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 울산, 경남지역의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경도 지적장애 중·고등학생 191명을 대상으로 기본심리욕구와 행복감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를 통해 분석하였고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한 뒤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적장애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행복감은 평균이상이었으며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즉, 기본심리욕구의 하위영역인 자율성과 전반적인 행복감, 삶의 만족, 긍정적 정서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지적장애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행복감은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본 심리욕구가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적장애학생의 행복감에 자율성과 관계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행복감의 관계와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지적장애학생이 사회에서 독립적인 개인으로 행복하게 살아가도록 돕고 이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도록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