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공압력

Search Result 16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Phase Equilibria of Ethane Hydrate in Porous Silica Gels (다공성 실리카 젤에서 에탄 하이드레이트의 상평형 측정)

  • Lee, Seung-Min;Cha, In-Uk;Lee, Ju-Dong;Seo, Yong-W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584-587
    • /
    • 2008
  • 최근 새로운 천연가스 수송/저장 방법으로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법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가스의 저장 매체로 다공성 실리카 젤을 사용하였다. 다공성 매질을 사용할 경우 물이 기체와 접촉하는 면적이 극대화되어 하이드레이트로의 전환율이 높아진다. 기공의 직경이 각각 6.0, 15.0, 30.0 nm의 실리카 젤을 사용하여 270 - 285 K의 온도 범위와 0.5 - 3.0 MPa의 압력 범위에서 기공 크기의 분포를 고려하여 에탄 하이드레이트의 3상 평형점 (하이드레이트 (H) - 물 (LW) - 기상 (V))을 측정하였다. 기공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벌크 상태의 에탄 하이드레이트에 비해 하이드레이트 평형 조건이 온도는 낮아지고 압력이 높아지는 저해효과가 커짐을 알 수 있었다. 천연가스 수송/저장으로의 응용을 고려할 경우 저해효과가 적은 30.0 nm 이상의 실리카 젤을 사용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심해저 천연가스 개발, 이산화탄소 심해저장 등의 가스 하이드레이트 응용 연구에도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PDF

윤활시스템용 오일필터로서 자성폴리머 필터의 여과 특성 연구

  • 최기영;안병길;최웅수;권숙인;권오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4.06b
    • /
    • pp.35-48
    • /
    • 1994
  • 본 연구는 윤활시스템용 오일필터로서 개발된 자성폴리머 필터의 충진밀도에 따른 여과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유속, 여과시간 및 자성유무 등의 변수를 변화시키면서 실험실적 방법으로 행해졌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는 얻었다. 1. 자성폴리머 필터의 충진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여과효율 및 압력손실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자성폴리머 필터의 기공 및 자성에 그 원인이 있다. 2. 자화 및 비자화된 자성폴리머 필터의 압력손실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여과효율은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자성의 영향에 의존함을 알 수 있다. 3. 자성폴리머 필터는 기존의 종이 필터보다 우수한 여과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다른 여과 메카니즘에 기인한다. 즉 종이 필터는 단지 기공에만 의존하는 표면여과방식인 반면 자성폴리머 필터는 기공(Porosity)과 자력(Magnetic Attration)의 기능을 지닌 심층여과 필터와 자성필터의 두기능을 지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발된 자성폴리머 필터는 실제 윤활시스템에 적용시 매우 효과적인 오일필터로 작용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hase Equilibria of Ethane and Propane Hydrates in Porous Media (다공성 매질에서 에탄 및 프로판의 가스 하이드레이트 상평형)

  • Lee, Seung-Min;Cha, In-Uk;Lee, Ju-Dong;Seo, Yong-W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10a
    • /
    • pp.182-185
    • /
    • 2008
  • 최근 새로운 천연가스 수송/저장법으로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법이 주목받고 있다.본 연구에서는 천연가스의 저장 매체로 다공성 매질인 실리카 젤을 사용하였다. 다공성 실리카 젤을 사용할 경우 물과 기체의 접촉면적을 극대화 시킬 수 있어 가스하이드레이로의 전환율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가스 주성분인 에탄과 프로판 기체를 사용하였으며, 기공의 직경이 각각 6.0 nm, 15.0 nm, 30.0 nm, 100.0 nm의 다공성 실리카 젤을 사용하였다. 에탄은 270 $\sim$ 285 K의 온도범위와 9 $\sim$ 25 bar의 압력범위, 프로판은 260 $\sim$ 280 K의 온도범위와 1.8 $\sim$ 2.8 bar의 압력범위에서 기공 크기의 분포를 고려하여 하이드레이트(H)-물($L_W$)-기상(V)의 3상 평형점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기공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각각의 벌크 상태의 에탄 및 프로판 하이드레이트에 비해 하이드레이트의 평형조건이 온도는 낮아지고 압력이 높아지는 저해효과가 커짐을 알 수 있었다. 천연가스 수송/저장으로서 응용을 고려할 경우 저해효과가 적은 100.0 nm이상의 다공성 실리카 젤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천연가스 수송/저장뿐만 아니라 심해저 천연가스 개발, 이산화탄소 심해저장 등의 가스 하이드레이트 용용 연구에도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 PDF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Nitrogen in Carbonaceous Micropore Structures with Local Molecular Orientation (국부분자배향의 탄소 미세기공 구조에 대한 질소의 흡착 특성)

  • Seo, Yang Gon
    • Clean Technology
    • /
    • v.28 no.3
    • /
    • pp.249-257
    • /
    • 2022
  • The adsorption equilibria of nitrogen on a region of nanoporous carbonaceous adsorbent with local molecular orientation (LMO) were calculated by grand canonical Monte Carlo simulation at 77.16 K. Regions of LMO of identical size were arranged on a regular lattice with uniform spacing. Microporosity was predominately introduced to the model by removing successive out-of-plane domains from the regions of LMO and tilting pores were generated by tilting the basic structure units. This pore structure is a more realistic model than slit-shaped pores for studying adsorption in nanoporous carbon adsorbents. Their porosities, surface areas, and pore size distributions according to constrained nonlinear optimization were also reported. The adsorption in slit shaped pores was also reported for reference. In the slit shaped pores, a clear hysteresis loop was observed in pores of greater than 5 times the nitrogen molecule size, and in capillary condensation and reverse condensation, evaporation occurred immediately at one pressure. In the LMO pore model, three series of local condensations at the basal slip plane, armchair slip plane and interconnected channel were observed during adsorption at pore sizes greater than about 6 times the nitrogen molecular size. In the hysteresis loop, on the other hand, evaporation occurred at one or two pressures during desorption.

Image-Based Computational Modeling of Porous Matrix Composites and Calculation of Poroelastic Coefficients (다공성 기지를 갖는 복합재의 이미지 기반 전산 모형화 및 기공 탄성 계수 산출)

  • Kim, Sung Jun;Shin, Eui Sup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8 no.5
    • /
    • pp.527-534
    • /
    • 2014
  • Poroelastic analyses of fiber-reinforced composites were performed using image-based computational models. The section image of a porous matrix was analyz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rosity, number of pores, and distribution of pores. The resolution, location, and size of the section image were considered to quantify the effective elastic modulus, poroelastic parameter, and strain energy density using the image-based computational models. The poroelastic parameter was calculated from the effective elastic modulus and pore pressure-induced strai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poroelastic analyses were verified through representative volume elements by simplifying various pore configurations and arrangements.

Evaluation of Pore Size of Porous Support using Modified Gas Permeation Method (수정된 기체투과법을 이용한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크기 평가)

  • 박재구;김현중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8 no.6
    • /
    • pp.568-574
    • /
    • 2001
  • 수정된 기체투과법을 이용하여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크기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수정된 기체투과법은 기공 내에서 유체흐름이 Hagen-Poiseiulle 법칙이 성립하는 영역으로 압력을 조절하여 투과유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수정된 기체투과법의 적합성 여부는 유체의 Reynolds number 및 기체분자의 평균자유행로를 통해 검토하였다. 다공성 지지체의 유량의 시간변화로부터 대표치를 결정하여 기공크기로 환산하였다. 본 방법에 의해 평가된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크기는 30$\mu\textrm{m}$~80$\mu\textrm{m}$ 이었으며, 평균치는 50$\mu\textrm{m}$로 평가되었다. 한편 화상해석법과 비교.분석한 결과 수정된 기체투과법을 통해 평가된 기공은 내부채널의 가장 작은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Micromechanical Computational Analysis for the Prediction of Failure Strength of Porous Composites (다공성 복합재의 파손 강도 예측을 위한 미시역학 전산 해석)

  • Yang, Dae Gyu;Shin, Eui Sup
    • Composites Research
    • /
    • v.29 no.2
    • /
    • pp.66-72
    • /
    • 2016
  • Porosity in polymer matrix composites increases rapidly during thermochemical decomposition at high temperatures. The generation of pores reduces elastic moduli and failure strengths of composite materials, and gas pressures in internal pores influence thermomechanical behaviors. In this paper, micromechanical finite element analysis is carried out by using two-dimensional representative volume elements for unidirectionally fiber-reinforced composites with porous matrix.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pores, effective elastic moduli, poroelastic parameters and failure strengths of the overall composites are investigated in detail. In particular, it is confirmed that the failure strengths in the transvers and through-thickness directions are predicted much more weakly than the strength of nonpored matrix, and decrease consistently as the porosity of matrix increases.

Effect of Hot Pressing Conditions in Fabrication of Membrane & Electrode Assembly for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에서 막-전극 어셈블리 제조지 Hot-pressing조건에 대한 영향)

  • 최경환;이승재;설용건;이태희;노용우;고영태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4.11a
    • /
    • pp.23-27
    • /
    • 1994
  •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막-전극 어셈블리 제조시 hot-pressing 온도와 압력조건을 변화시켜며 단위전지 성능을 관찰하였으며 이에 대한 분석은 열무게분석법(TGA), 기공도, 이온투과계수 등을 사용하였다. 또한 전지의 작동온도 및 압력을 변화시켜가며 전지의 성능을 관찰하였다. 성능 실험은 가습기의 온도와 cell의 온도, 압력을 변화시켜가며 측정하였다.

  • PDF

Promotion and Inhibition Phenomenon of Natural Gas Hydrates (촉진 및 저해 현상에 의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상평형)

  • Lee, Seungmin;Park, Sungmin;Lee, Youngjun;Kang, Boram;Seo, Yongw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217.1-217.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실제 천연가스 구성성분인 메탄 (90%)+에탄 (7%)+프로판 (3%) 혼합기체를 사용하여 심해저 퇴적부에 존재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개발과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법을 이용한 천연가스 수송 및 저장법 개발을 위한 열역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개발 연구에서는 심해저 퇴적층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기공의 직경이 6.0, 15.0, 30.0, 100.0 nm인 다공성 실리카 젤을 사용하여 기공 직경에 따른 3상(하이드레이트 (H)-물 (LW)-기상 (V)) 평형을 측정하였다.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저장법 연구에서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 압력을 낮추어 줄 수 있는 열역학적 촉진제인 TBAB(농도: 5, 10, 40, 60 wt%)와 THF(농도: 1, 5.56, 10 mol%)를 첨가하여 각각의 농도에 따른 혼합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3상 평형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공성 매질인 실리카 젤의 경우 기공 직경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벌크상태의 하이드레이트에 비해 평형 온도는 낮아지고, 평형 압력은 높아져 저해효과가 커짐을 알 수 있었고, 열역학적 촉진제를 첨가했을 경우 TBAB의 농도가 40 wt%, THF의 농도가 5.56 mol%일 경우 촉진 정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그 이상의 농도일 경우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 반응에 참여하지 않은 TBAB와 THF에 의해 오히려 촉진 정도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3}C$ NMR 분석을 통해 혼합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격자 형성과 기체 포집에 따른 구조적인 변화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 PDF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iC Ceramic Candle Filters Applicable to Hot Gas Filtration (고온 집진용 탄화규소 세라믹 캔들 필터의 특성 연구)

  • 홍민선;문수호;김순태;이동태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0 no.2
    • /
    • pp.120-131
    • /
    • 2001
  • 최근 세라믹 필터에 대한 연구는 열악한 환경 및 산성가스에 대한 저항성으로 인해 고온 가스 여과에서 가장 전망 있는 기술로 부각되는 시점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탄화규소(SiC) 세라믹 캔들 필터를 사용하여 IGCC와 PFBC의 새로운 전력생산 공정에서 배출되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성능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필터의 성능 평가는 고온.고압.고온.상압 조건에서 이루어졌으며 필터의 압력강하, 먼지 제거효율, 저항 계수, 그리고 열적.기계적 저항성 등을 파악하였다. 길이 30cm, 60cm 필터에 2종류의 먼지(코크스와 물유리 공정)를 이용하여 나타난 먼지 제거효율은 99.9% 이상을 보였으며 필터의 평균 기공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압력강하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탄화규소 세라믹 필터의 성능은 내부압력이 증가할수록 압력강하가 감소하고 유량이 증가할수록 압력강하가 증가함과 특히 유체에 대한 압력강하 변화는 온도의 영향보다는 상대적으로 내부압력에 더 많은 영향을 받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