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고문

Search Result 22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Toward Automotive Ethernet Security

  • Kim, Huy Kang
    • Review of KIISC
    • /
    • v.29 no.1
    • /
    • pp.34-37
    • /
    • 2019
  • 지난 5년동안 전통적인 차량에 적용된 CAN 버스 상에서의 침입탐지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초기에 rule-base 로 탐지하거나, 단순한 경량 알고리즘을 통해 침입탐지를 하는 알고리즘이 주를 이루었다면, 최근에는 machine learning을 적용한 탐지 알고리즘들 역시 많이 개발되고 있다. CAN 용 침입탐지시스템이 그간 학계에서 주로 연구가 이루어 졌었다면 2019년 이후에는 상용차량들에 침입탐지시스템을 실제 탑재하여 출시될 예정에 있기 때문에, 이제는 산업계 주도적인 개발과 적용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여진다. 다만, CAN 버스의 설계 구조상 공격 노드를 특정하기 어렵다는 한계와 전송량 대역폭의 제한으로 인해 기술적인 한계가 있어 왔기 때문에, 최근에는 IP 체계가 적용되고 automotive ethernet 기반으로 차량 네트워크가 빠르게 적용될 예정에 있다. 이에, 본 기고문에서는 automotive ethernet 의 보안기술에 대해 살펴보고, automotive ethernet 상에서 침입탐지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지 살펴보고자 한다.

고효율 양자점 발광소자를 위한 양자점 나노구조체 제어

  • Im, Jae-Hun;Choe, Yeong-Ho
    • Information Display
    • /
    • v.20 no.1
    • /
    • pp.5-14
    • /
    • 2019
  • 양자점 발광소자 기술은 지난 20여년 동안 급격한 발전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양자점 발광체 및 소자기술 전반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의 결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양자점 발광소자기술의 상용화를 위해서 해결해야 할 문제는 소재(예: 무중금속 양자점 구현, 대량생산 등) 및 소자(예: 수명문제, 대면적 프린팅문제, 효율저하문제)에 걸쳐 산적해 있다. 본 기고문에서는 이상의 다양한 문제 중 양자점 발광소자의 효율저하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비록 양자점 나노구조체의 제어 및 발광소자 연구가 여전히 카드뮴 기반 양자점을 바탕으로 한 기초연구영역에 머물러 있지만, 향후 친환경 양자점 합성기술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게 된다면 우수한 효율과 안정성을 보이는 양자점 발광소자가 구현되리라 기대된다.

유럽의 5G 기반 협력 커넥티드 자율주행 기술 개발 현황

  • Choe, Yu-Jun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4 no.1
    • /
    • pp.41-48
    • /
    • 2019
  • 최근 유럽 위원회(European Commission)의 ICT 분야 연구에 대한 목표는 사이버 보안, 사생활 보호, 5G, 사물의 인터넷, 데이터 경제, 자유로운 데이터의 흐름(free flow of data) 등과 같은 디지털 정책 분야에 미래 EU(European Union) 자율주행 프로젝트의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7년과 2018년, 10개의 디지털 국경 커리도(Digital Cross-Border Corridors)가 발표되었고, 5G 기반 CCAM 서비스 실증을 확립하였다. 유럽 위원회는 이러한 5G 기반 CCAM 서비스 실증의 일환으로 2018년 3개의 대규모 프로젝트(5G-MOBIX, 5G-CARMEN, 5GCroCo)를 선정하였다. 본 기고문에서는 2018년 유럽 위원회에서 선정한 3개의 5G 기반 CCAM 프로젝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Recent Research Trend in Functional Glasses Through Computational and Theoretical Modeling (전산모델링 기반 기능성 유리 소재 연구동향)

  • Ahn, Yong Nam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24 no.3
    • /
    • pp.1-13
    • /
    • 2021
  • 유리 소재는 뛰어난 기계적, 화학적, 광학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특정 물성이 강화된 기능성 유리 수요가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유리 소재 분야에서의 연구 개발은 유리 특유의 비정질 구조 및 다원소 조성 특성에 의한 복합성 때문에 전통적으로 경험에 기반한 실험 기법에 의존하여 왔다. 그러나 적용 분야에 따른 맞춤형 물성 강화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핵심 물성 발현 원리 등을 원자 단위에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능성 유리 소재를 설계하는 접근법이 주목받고 있다. 원자단위 시뮬레이션 및 이론 기반 모델링은 유리 소재의 다양한 물성과 조성 변화에 따른 원자 구조의 상관관계를 매우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법이다. 본 기고문 에서는 밀도범함수이론, 분자동역학 및 위상속박이론을 활용한 기능성 유리 소재 개발 및 연구 동향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Recent Research Trend in Nonfullerene Electron Acceptors for Organic Solar Cells (비풀러렌 소재 기반 유기태양전지 연구 동향 및 전망)

  • Lee, Jaewon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24 no.5
    • /
    • pp.15-29
    • /
    • 2021
  • 최근 유기태양전지 분야의 큰 진보는 비풀러렌 전자수용체 소재의 등장에 의해 달성되었다. 비풀러렌 기반 유기광활성층은 기존 풀러렌 기반 소자의 내재적 한계로 지적되던 높은 에너지 손실을 극복하고 동시에 소재의 흡광대역 확장을 통한 광전류밀도 증가로 유기태양전지 성능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다. 더불어 비풀러렌 소재는 화학 구조의 개질 용이성으로 밴드갭 자유 제어가 가능하므로, 광활성층의 흡광 대역을 정밀하게 제어하면 반투명 태양전지, 실내 저조도 태양전지, 파장선택적 광검출기, 소재융합형 소자 등 다양한 광전자소자 응용이 가능하여 주목받고 있다. 본 기고문에서는 유기태양전지 광활성층에 활용되는 비풀러렌 소재의 최신 연구 동향과 전망을 다루고자 한다.

Recent Research Trend in Plastic Waste Upcycling via Hydrocracking Using Heterogeneous Catalysts (수소첨가를 통한 폐플라스틱 분해 기술 동향)

  • Ro, Insoo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24 no.2
    • /
    • pp.1-9
    • /
    • 2021
  • 플라스틱은 가볍고 물성이 뛰어나며 가공이 용이하면서도 낮은 가격 때문에 우리의 실생활에서 매일 사용되고 있다. 동시에 썩지 않는 특성 탓에 폐플라스틱에 의한 환경오염의 문제가 심해짐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일회용 포장재 및 용기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사용을 금지하는 규제 및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인류가 지난 수십 년간 생산한 플라스틱은 약 83억 톤이지만 이중 약 10%정도만 재활용 되었을 정도로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비율은 미비하다. 특히, 최근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택배 및 배달음식 주문량이 늘어남에 따라 플라스틱의 사용량이 급증하여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필요성은 더욱더 커지고 있다. 본 기고문에서는 불균일 촉매를 이용한 수소첨가 폐플라스틱의 분해에 관한 최신 연구동향을 다루고자 한다. 안정적이고 반응성 및 선택성이 뛰어난 촉매 개발은 폐플라스틱의 효과적인 분해를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Technology Trends of Indoor Air quality for Public transportation (대중교통 실내공기질 기술 동향)

  • Park, Mijeong;Choi, Jinsik;Park, Byung Hyun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23 no.4
    • /
    • pp.13-19
    • /
    • 2020
  • 수년간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으로 인한 실내공기질 관리방안에 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시민들이 하루에 1.75시간 이상 지하철 및 버스 등의 대중교통 내에서 머물고 있는 것으로 발표되고 있어 환경부에서는 2019년 대중교통에서의 공기질 관리 방안을 강화하는 것으로 발표한 바 있다. 최근 철도차량 등의 대중교통 차량에서 공기질 개선장치가 도입되고 있는 추세이긴 하나, 대부분의 기존 대중교통차량에서는 공기질 개선장치가 적용되어 있지 않고 대기질이 나쁨인 경우 실내 환기가 어려워 이용 시민들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강화되는 실내공기질관리법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대중교통 차량에서의 공기질 관리기술을 토대로 신규차량 뿐만 아니라 기존차량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본 기고문에서는 대중교통에서의 공기질 현황을 알아보고 효율적인 공기질개선을 위한 미세먼지 및 이산화탄소 저감에 관한 연구동향을 정리하고자 한다.

Recent Research Trend in Electrodes of Lithium Ion Battery based on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Approaches (전산재료과학 기반 리튬이온전지 전극 소재의 연구동향)

  • Kang, Haisu;Lee, Seung Geol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23 no.1
    • /
    • pp.42-54
    • /
    • 2020
  • 계속적인 충·방전이 가능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2차 전지는 친환경 소재로 주목받고 있으며, 노트북 컴퓨터와 휴대전화, 캠코더 등 소형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자동차의 핵심소재이다. 전기자동차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중대형 에너지 저장용 2차 전지 시장의 규모는 더욱 확대되고 있어 관련된 소재의 개발 경쟁과 관심이 날이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다. 따라서 소재개발 측면에서 2차 전지 핵심 소재의 물성 발현의 원리 등을 이해하고 최적 소재 설계를 위해서는 원자 레벨에서의 소재 설계 접근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실험적인 연구가 어려운 부분과 원자단위에서의 물질 현상에 대한 이해 그리고 연구 개발의 효율성 증진을 위해서 전산재료과학(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기술이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기고문에서는 리튬이온전지에서의 전극 소재에 대한 전산재료모사의 활용과 연구동향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Recent Research Trend in Oxide Semiconductor Gas Sensors for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산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가스 센서 연구동향)

  • Lee, Kun Ho;Lee, Jong-Heun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23 no.3
    • /
    • pp.32-41
    • /
    • 2020
  • 사람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에서 보내고 있으며, 실내에 존재하는 유해가스는 미량의 농도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금속산화물 반도체 가스센서는 감도가 우수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초소형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어 고가의 대형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실내 유해가스를 측정하는 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기고문에서는 금속산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가스 센서의 검지 원리를 고찰하고, 나노 구조 조절, 마이크로 리액터 및 이중층 구조를 이용한 가스 개질 등 실내 유해가스 측정을 위한 다양한 센서 설계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Recent Research Trend in Multifunctional Wearable Energy Storage Devices (다기능성 웨어러블 에너지 저장 장치 연구동향)

  • Park, Sangbaek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23 no.2
    • /
    • pp.23-39
    • /
    • 2020
  • 4차 산업혁명의 초연결/초지능 사회가 현실화 되면서 모든 제품이 배터리에 연결되는 사물배터리(battery of things) 시대가 열리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정형화된 에너지 저장 장치를 넘어 전자기기 각각에 걸맞은 스펙과 기능을 갖는 맞춤형 전지 개발이 화두이다. 특히 구부러지거나 변형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기계적인 변형에 안정한 에너지 저장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기능(투명성, 전기변색, 자가치유형, 친환경 등)을 갖는 지능형 전자기기가 개발됨에 따라, 이와 동등한 기능을 갖는 에너지 저장 장치도 요구되고 있다. 나아가 각각 개발된 웨어러블/다기능성 전자기기와 에너지 저장 장치를 어떻게 통합시킬지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기고문에서는 기계적 안정성, 기존 소자와의 적합성, 나아가 신기능성까지 갖춘 차세대 다기능성 웨어러블 에너지 저장 장치를 소개하고 이를 위한 복합나노구조 합성 및 소자 디자인 전략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