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긍정심리

Search Result 1,26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Comparisons positive psychology exper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using PPE-M (PPE-M을 이용한 고등학생들의 긍정심리체험 비교)

  • Hong, Jin Kon;Kim, Tae K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7 no.2
    • /
    • pp.135-163
    • /
    • 2013
  • This study dealt with the measurements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in relation to mathematics learning by using PP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ositive psychology of the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grade and gender variables. Measured data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gifted students and the general students through a t-test. In addition, differences were analyzed by grade and gender variables. And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se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urse variabl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meaningful in PPE-M total score.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all of 5 areas and 19 factors except for 4 factors (Insight, Honesty, Full with pride, and Achievement).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 levels. The comparison between the gender in the ordinary students shows meaningful difference in 11 factors, not in 12 (Judgment, Insight, Honesty, Prudence, Modesty & Kindness, Gratitude & Happiness, Flow, Superiority feeling, Achievement, High pleasure, Full with pride, and Self-efficacy). Affiliation makes meaningful difference in 22 factors except for Honesty.

Effects of Informal Learning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무형식 학습과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Kim, Joon-Hwa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12
    • /
    • pp.195-202
    • /
    • 2017
  • Previous studies on salesperson's performance have concentrated on increasing job satisfaction through compensations and benefits or effective communication processes and have not sufficiently considered the emotional aspect of salesperson's selling behavi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formal learning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of IT salespeople. Data were collected from 159 IT salespeople and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informal learning of IT salespers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significantly a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job satisfaction/customer ori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informal learning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and to strengthen the reflected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The Effects of Authentic Leadership o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Teamwork Competence -Focusing on Nurses of General Hospitals- (진성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과 팀워크역량에 미치는 영향 -종합병원 간호사를 중심으로-)

  • Yoon, Sun-Hwa;Kim, Hae-Ry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5
    • /
    • pp.191-205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authentic leadership(AL) wi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PPC) and teamwork competence(TC) and the mediation effect of PPC to facilitate theoretical and practical development of AL. For the empirical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ample of 172 nurses working at general hospital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to test the hypotheses. Results showed that the AL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PPC as well as TC and the PPC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TC. And further, the PPC is found as playing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L and the TC. These results provided the positive influence of authentic leadership on work team.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effectiveness of nurse organizations. Lastly, limitations were indicated and some possible directions for authentic leadership and its relationship to work team were suggested for future studies.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resilience on adjustment of college life of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Shin, Hyun-Hee;Jang, Su-Hyu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3 no.2
    • /
    • pp.321-329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resilience on adjustment of college life and to suggest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adjustment of college life of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0 to September 30, 2020 using a structural questionnaire, which was completed by 197 nursing students in G cit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WIN (Version 22.0). The factors affecting the adjustment of college life of nursing students include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ß=.36, p<.001), subjective health status (ß=.22, p<.001), resilience (ß=.21, p=.024), and major satisfaction (ß=.11, p=.047). These factors accounted for 47.0% of the adjustment of college life (p<.001). It is important to find ways to improve the level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nursing students and there is a need to include education programs or practical interventions to strength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Leader's use of Humor on Employee's Innovativen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과 유머사용이 부하의 혁신성향, 직무만족, 조직시민운동에 미치는 영향)

  • Chung, Dae-Yong;Park, Kwon-Ho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725-728
    • /
    • 2010
  • 변혁적 리더십이 비전제시, 동기부여 등으로 부하 직원의 심리상태에 영향을 주고 변화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조직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Lyttle, 2007; 이동섭 최용득, 2009)가 최근 발표된 바 있다. 또한 리더의 유머사용이 직원에게 긍정적인 마음과 동기를 심어줌으로써 긍정심리자본형성에 중요요인이라는 연구결과(Lyttle, 2007)처럼, 인재중시의 측면에서 재미있고 훌륭한 일터의 구현을 제공 및 기여하는 리더의 유머 경영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Avolio, Howell, & Sosik, 1999). 본 연구는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과 유머사용이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변수로 하여 부하의 혁신성향, 직무 만족,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국내중소제조업을 대상으로 검증하고 최종적으로 대안모형을 탐색하였다. 근로자 272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모든 가설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또한 변혁적 리더십은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으로 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내 중소기업의 경우 리더가 리더십 발현과 유머사용으로 부하 직원의 동기를 부여하고 긴장을 완화시켜주는 등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심리형성에 기여함으로써 혁신성향,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피부미용 창업자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을 조절변수로

  • Kim, Seong-Ok;Choe, Jong-In;Kim, Myeong-Su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11a
    • /
    • pp.175-180
    • /
    • 2022
  • 최근 몇 년간 COVID19로 인한 팬데믹 상황과 전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인플레이션을 겪으면서 각종 산업 분야의 경기 불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용 산업 분야도 예외가 아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피부미용 업종은 실물 경기의 영향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서비스산업 분야다. 고객을 직접 만나야만 이루어지는 피부미용업은 COVID19가 가져온 비대면 사회화 과정에 대책없이 충격을 받은 산업 분야라고 볼 수 있다. 불황 속에서도 산업이 성장하려면 지속적인 성장 강화 교육과 제도적 차원이 지원이 필요하다. 피부미용업 분야로 진출하는 여성의 대부분 생계를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 성공한 사례들은 보면 내재된 기업가 정신들을 함유하고 있을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한 분석과 긍정심리자본 요소가 창업 성과를 높이고 지속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부족하다면 구성원들의 학습역량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피부미용업 창업자에게 기업가 정신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보고 긍정심리자본 요소가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 되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의 피부미용업에 종사하는 창업자들로 기업가정신이 기업가정신이 긍정심리자본을 조절변수로 두었을 때 창업 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과적 경로를 검증하고 이를 통한 피부미용업의 창업자들에게 창업과 성장을 위해서 필요한 교육이나 준비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The relationship among mother's adult attachmen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ffection parenting in low income class and middle income class (저소득층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성인애착 영향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 효과: 중산층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 Min, Ha Yeoung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7 no.3
    • /
    • pp.1-20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adult attachmen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ffection parenting in low-income class and middle income class The subjects were 339 mothers who reared 3-5 old age child in Daegu and Gyoungbuk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single and hierachical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Win 15.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dult attachment fully exerted indirect effects on affection parenting mediated by psychological well-being in low income class of mothers. (2) But adult attachment partly exerted indirect effects on affection parenting mediated by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dle income class of mothers.

Developing, and Testing the Effects of a Group Program for the Low Income Depressed Elderly Women Living Alone, Which Integrated Positive Psychology and Solution-Focused Therapy (저소득 우울 여성 독거노인 대상 긍정심리.해결중심 통합 집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Lee, Hyunju;Um, Myungyo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6 no.3
    • /
    • pp.101-13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the effects of a group program on the subjective well-being and depression of the low-income depressed elderly women living alone. Conceptual framework was based on the positive psychotherapy and a broad range of intervention techniques of the solution focused therapy was integrated into the program by using assimilative integration methods. A quasi-experimental nonequivalent comparison group design was used to test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newly developed group program was implemented to the intervention group and a reminiscence group program was implemented to the comparison group for 10-session. And no intervention group received only home-based routine care services as usual. Results suggested that the newly developed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and decreasing the depressive symptoms of the low-income depressed elderly women living alone. It was also proved that the newly developed program maintained its gains up through 11-week follow-up.

  • PDF

청소년 기업가 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정신 교육만족도의 조절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 Bae, Mi-A;Kim, Jong-S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11a
    • /
    • pp.35-39
    • /
    • 2021
  • 청소년 기업가정신에 관한 관심과 기업가정신 교육의 필요성이 중요시됨에 따라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부터 체계적인 기업가 정신 교육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기업가정신, 긍정심리자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가 정신교육의 만족도가 조절효과를 갖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별과 부모 창업의 여부를 통제한 상태에서 기업가정신의 주요 구성요소 '진취성', '위험 감수성', '혁신성'과 긍정심리자본의 '희망', '자기효능감', '회복 탄력성', '낙관주의'를 독립변수로 하였는데,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중학생) 총 204명의 응답을 회수 후 실증분석을 시도 했다. 또한 기업가정신 교육의 만족도를 조절변수로 하는 연구 모형을 상정하였는데, 이는 기업가정신 및 긍정심리자본과 창업 의지의 관계에서 기업가정신 교육의 만족도가 조절 효과 여부를 확인하여 기업가정신 교육의 중요성을 밝히고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잠재적 창업가가 될 수 있는 청소년의 기업가정신 영향요인을 검증하고 연구자료에 다양하게 비교할 수 있는 참고자료로서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긍정심리자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정신교육 만족도를 중심으로

  • 고유영;김종성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31-35
    • /
    • 2023
  • 기업가정신은 기업가정신교육을 통해 개발할 수 있으며 창업의 성공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창업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청년 기업가정신 교육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창업을 위한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창업에 대한 높은 목표와 열정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창업 교육에 대한 연구에서는 이러한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 어렵고 창업의지와 이를 촉진하기 위한 기업가정신교육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긍정심리자본과 창업의지의 관계를 검증하고, 나아가 기업가정신 교육 만족도가 긍정심리자본과 창업의지 간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한 여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총 113명의 표본 집단을 수집하였고, SPSS 28.0을 활용해 측정 항목의 타당성 및 가설 검증을 실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