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금은화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4초

식중독 유발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금은화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Lonicerae Flos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s)

  • 배지현;김미순;강은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42-64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균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예로부터 민간과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 온 금은화를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해 보았다. 금은화를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ly acetate, methanol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각각 용매별로 계통 분획하고, 열수추출물을 얻은 후, 9종의 식중독 유발세균(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Salmonella paratyphimurium, Shigella flexneri,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dysenteriae, Pseudomonas aeruginosa, Shigella sonnei)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금은화 추출물의 농도별 항균 활성 검색에서는 금은화의 ethyl acetate 추출물이 가장 큰 항균 효과를 보였으며 Shigella dysenteriae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균주였다. 금은화의 ethyl acetate 추출물과 인진쑥의 ethyl acetate 추출물을 혼합하여 항균력을 측정해 본 결과, 두 추출물을 섞어 첨가했을 경우가 단독으로 사용했을 시 보다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금은화의 ethyl acetate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자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Shigella dysenteriae의 배양액에 금은화의 ethyl acetate 추출물을 각각 3,000ppm 농도로 첨가했을 시, Staphylococcus epidermidis의 생육이 12시간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고, Shigella dysenteriae의 생육도 12시간까지 지연시킬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금은화의 ethyl acetate 추출물은 Staphylococcus epidermidis와 Shigella dysenteriae의 성장을 억제시킴을 알 수 있었다.

자운고가(紫雲膏加) 금은화(金銀花)가 흰쥐의 창상(創傷)에 미치는 효과(效果) (The Effects of Jawoongo plus Flos Lonicerae on The Artificial Wound on Rats)

  • 이금택;최병태;이용태;고우신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2-141
    • /
    • 1999
  • 자운고가(紫雲膏加) 금은화(金銀花)가 창상치유과정(創傷治愈過程)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살펴보고자 혈청중(血淸中)의 Leukocyte, CRP, Cortisol의 변화 및 상처크기의 축소율(縮小率)을 실험(實驗)한 결과 백혈구의 변화에서는 Sample II 가 Control에 비해 감소(減少)의 유의성을 나타내었고 CRP함량(含量)의 변화에서는 뚜렷한 유의성을 나타내지 못하였고 Cortisol함량(含量)의 변화에서는 Sample II 가 Control에 비해 감소(減少)의 유의성을 나타내었지만 Sample III와 비교시에는 Sample III의 감소(減少)의 유의성이 높게 나타났다. 상처(喪妻)의 축소율(縮小率)은 실험 10일과 15일째 Control에 비해 유의성이 인정(認定)되었다. 이상(以上)을 살펴볼 때 자운고가(紫雲膏加) 금은화(金銀花)가 창상치료(創傷治療)에 대해 효과적(效果的)이며 약재(藥材)로서의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자운고(紫雲膏)와 비교하였을 때는 금은화(金銀花)의 첨가가 창상치료(創傷治療)애 크게 유의성있는 변화를 나타내지 못하였지만 자운고(紫雲膏)의 단독(單獨) 투여(投與)시보다는 나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앞으로 한방(韓方) 연고(軟膏)의 개발을 위하여 더 많은 연구(硏究)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장내 상피세포 점막 투과성에 대한 유산균 및 금은화의 효과 (In Vitro Profiling of Bacterial Influence and Herbal Applications of Lonicerae Flos on the Permeability of Intestinal Epithelial Cells)

  • 이신지;이명종;정지은;김호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7호
    • /
    • pp.881-887
    • /
    • 2012
  • 유산균과 금은화, 발효 금은화는 장누수 증후군과 연관된 장 상피세포 점막 투과성 감소에 대하여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유산균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방법과 유산균을 이용해 발효시킨 금은화를 증가된 장 투과성 및 장내미생물 불균형으로 인한 장누수 증후군과 관련된 일련의 증상들을 치료하고 면역관련 질환 및 만성 염증성 질환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대한 앞으로의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cetaminophen의 간독성에 미치는 수종 생약추출물의 효과 (The Effects of Traditional Drug Extracts on Acetaminophen-induced Hepatotoxicit)

  • 정기화;정진호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172-172
    • /
    • 1993
  • Acetaminophen(이하 AAP)은 간의 mixed function oxidase system에 의해 toxic metabolite로 대사되어 간괴사를 일으킨다. 최근에는 지금까지 임상적으로 사용되어온 한약이나 생약의 cytochrome P450의 활성과 간의 glutathion 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AP의 간독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규명하고자 민간이나 한방에서 보간 또는 해독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생약을 screening하였다. 그 결과 간의 약물대사 효소계에 엉힝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강활(Angelica koreana)과 민간이나 한방에서 간질환치료의 목적이나 해독제로 쓰여온 시호(Buplerum falcatum), 토복령(Smilax china) 및 금은화(Lonicera japonica)가 AAP로 유발된 간독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방법: 예비실험을 통해 강활, 시호, 토복령 및 금은화의 MeOH ext.가 AAP로 유도된 간독성에 방어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hexane, ether, ethyl acetate 및 butanol로 계통분획하여 랫트에 전처치한 후 고농도의 AAP를 투여하여 간 손상을 일으키고 혈청중의 효소활성과 지질ㆍcholesterolㆍbilirubin함량 등을 측정하였다.

  • PDF

간손상에 대한 해독제 개발 및 안전성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유은영;김상건;정기화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327-327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간손상에 대한 해독제의 연구 및 안전성 평가연구로서 H$_2$-rcccptor길항제와 한방에서 건위역으로 이용되는 생약추출물 (생강, 정향 및 후박나무의 수피추출물, 강활, 시호, 토복령 및 금은화)이 화합물로 유발된 간독성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였다. 또한 식물의 2차 대사산물로서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향신료 등의 첨가제로 이용되는 monotcrpcnoids중 $\alpha$-pinene, limonenc, gcraniol 및 cincol 이 phase II 효소계중 glutathione S-transferase(GST)의 class alpha 및 mu family계 효소와 microsomal cpoxidc hydrolase(mEH)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 PDF

금은화 추출물을 이용한 미생물 발효 생성물의 항산화 특성 (Antioxidant Properties in Microbial Fermentation Products of Lonicera japonica Thunb. Extract)

  • 신정희;유선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5-102
    • /
    • 2012
  • 최근에 합성 항산화제를 대체할 천연물에서 새로운 항산화 물질을 찾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천연물 중에 Lonicera japonica Thumb은 항균, 항염증, 항바이러스, 해독작용, 혈중 지질 감소, 해열작용 등 약리적인 효능뿐 아니라 다양한 항산화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는 금은화 열수, 알코올 추출물을 기질로 전통발효식품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NHP1 균주로 발효과정을 진행한 후 항산화 물질 및 래디컬 소거능이 변화하는지를 관찰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전통 발효식품으로부터 발효를 위한 균주를 분리한 후 16S rDNA 염기서열을 비교하여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 NHP1로 명명하였다. 발효를 위한 기질인 Lonicera japonica Thumb는 열수 및 70% ethanol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열수 및 ethanol 추출물의 발효는 2 L 발효기에 1.2 L 추출물을 함유한 배지를 공급하고, $30^{\circ}C$ 및 100 rpm의 조건으로 48 시간 수행하였다. 발효 전 후의 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DPPH 소거능 및 ABTS 변화를 측정한 결과, 발효 전 총 페놀양은 열수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56.5{\pm}4.9$ GAE mg/g, $72.7{\pm}5.3$ GAE mg/g이었고, 발효 후 각각 30.2%, 12.9% 증가되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모든 용매에서 발효 후에 유의적으로 약 75% 이상 증가되었다. 발효 후 총 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한 것에 비해 DPPH 소거능은 비례적으로 증가되지 않았으나, ABTS 항산화능은 발효에 의해 50% 증가되었다. 그동안 선행 연구에서 금은화의용매 추출물에 대한 기능성연구를 진행한 것이 대부분인 것에 비해,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금은화 추출물에 발효기술을 접목한다면 항산화 기능 및 다른 기능성이 대폭 증가되어 기능성 건강식품 및 미용식품의 소재로의 사용이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금은화와 회화나무꽃으로부터 항산화성분의 추출 :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이용한 최적화 (Extraction of Antioxidants from Lonicera japonica and Sophora japonica L.: Optimization Using Central Composite Design Model)

  • 한경호;줘청량;홍인권
    • 공업화학
    • /
    • 제30권3호
    • /
    • pp.337-34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금은화와 회화나무꽃으로부터 항산화성분을 추출하는 용매추출공정의 최적화를 위해 반응표면분석법 중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이용하였다. 반응표면분석법의 반응치로는 추출수율과 DPPH 라디칼소거활성을 설정하였고, 독립변수로는 추출시간, 주정/초순수 부피비, 추출온도 등을 설정하였다. 중심합성계획모델로 최적화과정을 수행한 결과 금은화의 경우 최적조건은 추출시간(2.08 h), 주정/초순수의 부피비(41.53 vol.%), 추출온도($55.08^{\circ}C$)이었으며, 이 때 수율(37.38 wt.%), DPPH 라디칼소거활성(40.37%)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회화나무꽃의 경우 추출시간(2.13 h), 주정/초순수의 부피비(62.89 vol.%), 추출온도($50.42^{\circ}C$)에서 개별 최대값인 수율(35.43 wt.%), DPPH 라디칼소거활성(55.27%) 값을 나타내었다.

생약(生樂) 약침액(藥鍼液)이 암예방(癌豫防) 효소계(酵素系)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Aqua-acupuncture Solution of Medicinal Plants on Induction of Anticarcinogenic Phase II Enzymes)

  • 임종국;문진영;조경희;손윤희;남경수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17권1호
    • /
    • pp.11-17
    • /
    • 2000
  • 금은화, 당귀, 감두를 이용하여 조제한 각각의 약침액을 이용하여 암예방효과를 살펴 보았다. 발암물질을 무독화시키는 QR 생성 유도를 생쥐의 간암세포인 Hepa1c1c7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금은화 약침액, 당귀 약침액, 감두약침액을 처리한 Hepa1c1c7에서 QR생성이 유도되었으며 GSH 생성을 살펴본 결과 Hepa1c1c7 세포에서 실험에 이용된 모든 생약 약침액에 의한 GSH 생성이 증가하였고, GST 생성 또한 증가하였다.

  • PDF

한국산 생약으로부터 해독물질의 개발(제2보) 흰쥐 간장내의 카드뮴 축적에 미치는 금은화 추출물의 영향 (Development of Antitoxic Agents from Korean Medicinal Plants. Part 2. Effects of Lonicerae flos Extract on the Accumulation of Cadmium in Liver)

  • 백승화;유일수;이종섭;한두석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223-227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tallothionein (MT) induction by Lonicerae rios in cadmium chloride intoxi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Generally, detoxication effects by Lonicerae fios extract increased to the increase of extract concentrations. When 90 mg/kg dosage of Lonicerae fios extract was administered, it showed the highest antitoxic effects in metallothionein induction. From the above results, Lonicerae rios extract increased metallothionein concentration and decreased the toxicity of cadmium in liver.

  • PDF

사염화탄소 유발 간독성에 대한 금은화의 작용 (Effect of Lonicera Japonica Flower on CCl4-induced Hepatotoxicity)

  • 박선관;최병기;이은방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0권1호
    • /
    • pp.32-36
    • /
    • 2002
  • Methanol extract of Lonicera Japonica (Caprifoiaceae) flower significantly inhibited serum GPT, GOT, LDH and AIP activities at the doses of 500 and 1,000mg/kg in $CCl_4$-intoxicated rats. As confirmed with the fiactions of hexane, chlorofo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the butanol fraction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 of increased activity of serum GPT, LDH and AIP in $CCl_4$-intoxicated rats, indicating that the most active components might be contained in the butanol fr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