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금연프로그램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32초

금연프로그램이 청소년 흡연자의 니코틴 의존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Nicotine Dependency and Self-Efficacy for Adolescents)

  • 백경신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82-288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a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Method: This study was designed to use one group with one pre-test and two post-tests. One post-test was done immediately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and the other after eight weeks. The subjects were 21 male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smokers whe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e smoking cessation program consisted of 5 sessions with smoking cessation education and e-mail service after the program. Variables in this research were nicotine dependency (using Fagerstrom Tolerance Questionnaire) and self-efficacy.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Results: Immediately after the program and eight weeks later, nicotine dependency for continuous smoker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program: Z=-2.319, p=.020, eight weeks later: Z=-1.999. p=.046) and self-efficacy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program: Z=-3.024. p=.002. eight weeks later: Z=-2.381. p=.017). Conclusions: The smoking cess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decreasing nicotine dependency in the continuous adolescent smokers and in increasing their self-efficacy, Further study needs to be made with a lager number of smoking adolescents using control group design.

  • PDF

금연프로그램이 흡연근로자의 흡연량과 니코틴의존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Amount of Smoking and Nicotine Dependence and Self-efficacy of Smoking Cessation for Smoking Workers)

  • 박미경;강경숙;김남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1073-1079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the amount of smoking and nicotine dependence and the self-efficacy of smoking cessation for smoking workers. Methods: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38 smokers and was divided into two: 16 smokers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2 in the control group.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smoking cessation program consisted of two sessions and was implemented for two hours daily for five days.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SPSS/WIN 11.0 program with $X^2-test$, t-test or Mann-Whitney U and ANCOVA. Results: After the treatment, those belonging to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decreased amount of smoking, a decreased nicotine dependency and increased self-efficac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smoking cessation program was effective for diminishing the amount of smoking, decreasing nicotine dependence and improving self-efficacy. Therefore, this program is recommended as a smoking cessation strategy for adult smokers.

범이론적 모델에 근거한 한국 대학생의 금연행위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moking Cessa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Transtheoretical Model in Korean College Students)

  • Paek, Kyung-Shin;Riley, Tracy A.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27-39
    • /
    • 2010
  •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금연행위 변화단계를 설명하는데 있어 범이론적 모델 구성요소들의 기여정도를 조사하고 범이론적 모델에 근거한 대학생의 금연행위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일반교양 과목을 수강하는 334명의 대학생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을 통해 범이론적 모델의 구성요소인 금연행위 변화단계, 자기효능감, 의사결정균형 및 변화과정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금연행위 변화 5단계에 따라 자기효능감, 의사결정균형 및 변화과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자기효능감은 금연행위와 관련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학생의 금연 유도를 높이기 위해 범이론적 모델를 적용하는 것이 유용함을 확인하였고 금연행위 변화단계를 고려한 개별화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대학생의 금연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이 요구된다.

성별에 따른 흡연자의 금연의도 관련 요인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Quit Smoking of Current Smokers by Gender)

  • 노영민;이예진;김지연;노진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321-328
    • /
    • 2019
  • 본 연구는 흡연자의 금연의도의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 성별 간의 차이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지역사회건강조사 2017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39,435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이분형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성별,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가구소득, 주관적 건강수준, 금연시도 경험, 금연캠페인 노출경험, 금연교육 경험, 하루 흡연량이 흡연자의 금연의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 흡연자와 다르게 남성 흡연자는 교육수준과 가구소득이 금연의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흡연자 중 낮은 교육수준과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금연캠페인과 교육이 필요하며, 특히 성별 차이를 고려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건강믿음모형을 이용한 금연성공자의 재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금연클리닉 등록자를 중심으로 (Factors Associated with Relapse to Smoking Behavior Using Health Belief Model)

  • 김희숙;배상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6권2호
    • /
    • pp.87-100
    • /
    • 2011
  • 이 연구는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하여 6개월 금연에 성공한 사람들의 장기적인 금연 지속 여부와 재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08년 1월부터 2009년 2월까지 C시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하여 6개월 금연에 성공한 920명 중 조사에 응한 남성 159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자료는 금연클리닉 등록카드와 2010년 9월 20일부터 10월 20일까지 실시된 우편설문을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에 포함된 변수는 응답자들의 흡연상태, 인구사회학적 특성, 금연클리닉 등록 당시의 흡연관련 특성, 금연클리닉을 통하여 제공받은 서비스, 건강행태, 건강믿음모형의 구성 변수 등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6개월 금연성공자 중 지속적 금연성공자는 57.2%, 중간 흡연자는 17.0%, 재흡연자는 25.8%였다. 재흡연자들의 재흡연 이유는 스트레스가 쌓여서 76.2%, 본인의 의지가 약해서 16.7%, 주위의 유혹에 의해서 7.1%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과거의 흡연관련 특성, 제공받은 금연상담서비스, 건강행태 요인 등은 6개월 금연 성공자의 1년 후 재흡연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건강믿음모형의 구성요소 중 (1) 흡연으로 인한 질병의 발생 가능성, (2) 흡연으로 야기되는 질환의 심각성, (3) 금연의 건강증진에 대한 도움, (4) 금연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사회생활에 대한 장애정도, (5) 자기효능감이 단변량분석에서 재흡연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열 로짓 분석을 시행한 결과 이 중 (4) 금연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사회생활에 대한 장애정도, (5) 자기효능감만이 재흡연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자기효능감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를 통해 보건소 금연클리닉을 통하여 6개월 금연에 성공한 남성들 중 상당수가 재흡연을 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재흡연자들은 다시 담배를 피우게 된 이유를 스트레스의 증가나 자신의 의지부족 때문이라고 하였으며, 재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금연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수나, 과거의 금연습관보다는 심리학적 요인, 특히 자기효능감과 금연과 관련된 인지된 장애임도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금연클리닉 등록자 중 재흡연 위험이 높은 사람을 선별하여 맞춤식 관리를 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금연 클리닉 등록자를 위한 스트레스 해소나 자기효능감 강화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일개 중소도시의 금연클리닉 등록자 중 남성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우편조사로 인한 낮은 응답률, 조사 시기에 따른 회상 오차, 금단 증상, 행동계기(cue to action), 금연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같은 변수가 누락되는 등 연구방법론 상에 제한이 있어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주의를 요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서울 위생 병원 5일 금연 학교를 방문한 우리나라 흡연자의 특성 및 입원 금연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moker, Enrolled in '5 day Smoking Cessation School' and The Effect of Inpatient Smoking Cessation Program)

  • 이병수;강기훈;채은하;김명찬;정재일;장희종;이상훈;조동식;신재규;김휘정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5호
    • /
    • pp.411-418
    • /
    • 2004
  • 연구배경 : 우리나라의 성인 흡연율은 세계적으로 높고 청소년과 여성의 흡연율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흡연이 이렇게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효과적인 금연 프로그램이 필요한 상태이다. 이에 본 병원 금연 학교의 입원 금연 교육의 효과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8년 1월부터 2001년 1월까지 본원 금연학교를 수료한 64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흡연자들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입원 대상 금연교육 대상자 235명중 응답 가능한 100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특성 및 금연 성공 유무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금연 학교 등록자의 금연 동기로는 건강이 가장 많았고, 흡연 동기로는 스트레스가 가장 많았다. 입원 금연학교의 최소 1년 이상 금연율은 60%를 보였다. 입원 금연 교육 대상자에서 흡연 시작 연령과 직업이 금연 성공 유무와 의미 있는 연관을 보였다. 금연을 실패한 경우 일상 생활의 스트레스가 가장 흔한 원인이 였고, 1주에서 1개월 내에 흡연 재발이 많았다.

동기면담 금연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금연에 미치는 효과 (Effectiveness of a Motivational Interviewing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Cessation Change in Adolescents)

  • 하영선;최연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9-27
    • /
    • 2012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an Adolescent Motivational Interviewing Cessation program on smoking cessation change. The study was done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9 high school students from G city, who were in school from September 1 to October 30, 2009. The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20) and participated in the motivational interviewing cessation program or to the control group (19) who did not participate. Data analyses involved ${\chi}^2$-test, independen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and utilized the SPSS program.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less daily smoking, nicotine dependence and smoking temptation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tage of change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a motivational interviewing cessation program delivered to adolescents who smoke is an effective method of encouraging cessation, and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adolescents who smoke.

금연프로그램이 흡연 남자대학생의 변화과정, 유혹상황, 의사결정균형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Processes of Change, Situational Temptation and Decisional Balance in Male University Student Smokers)

  • 김주성;이선옥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3-123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processes of change, situational temptation, and decisional balance in male university student smokers. Method: Utilizing a quasi-experimental design, 78 male university students consisted of an experimental group (n=48) and a control group (n=30). A smoking cessation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a period of 6 months while no program was given to the control group. Study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outcome variable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Descriptive analysis, $\chi^2$-test, t-test, and ANCOVA were used with SPSS 18.0 program for data analysis. Results: After treatment with this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processes of change (experiential and behavioral processes of change) tha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for situational temptation (positive social, negative affect, and habit strength). Conclusion: The smoking cessation program may have positive effects on process of change and smoking temptation for male university student smokers.

남자 흡연 대학생의 금연 자기효능감, 우울 및 사회적 지지가 니코틴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lf- efficacy for Smoking Cessation,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Nicotine Dependency in the College Male Smoker)

  • 이지은;이정화;홍주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249-258
    • /
    • 2017
  • 본 연구는 남자 흡연 대학생의 금연 자기효능감, 우울 및 사회적지지가 니코틴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경북지역 2개 대학교 남학생 149명 대상으로 2016년 9월 7일~18까지 설문조사 하였고, SPSS 22.0을 사용해 서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남자 흡연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및 흡연관련 특성 중 학년 및 전공계열에 따라 니코틴 의존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니코틴 의존도는 금연 자기효능감(r=-.54, p<.001), 사회적지지(r=-.26, p=.001)와 음의 상관관계를, 우울(r=.33, p<.001)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니코틴 의존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금연 자기효능감(${\beta}=-.48$, p<.001), 우울(${\beta}=.17$ p=.027)로 나타났고, 이들 변수의 니코틴 의존도에 대한 설명력은 34%이었다. 결론적으로, 남자 흡연 대학생을 위한 금연중재프로그램 적용 시 금연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보건소 금연클리닉 이용자의 금연성공 관련요인 (Factors relating to Success to Quit Smoking among Citizens Receiving Smoking-Cessation Clinics Services in a Public Health Center)

  • 임영실;이무식;홍지영;김현수;김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169-5175
    • /
    • 2014
  • 이 연구는 일개광역시 보건소 금연클리닉 서비스 이용자의 금연관련 요인을 찾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2007년 일개광역시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된 이용자 2,125명이었다. 빈도분석, 카이제곱검장,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이 이용되었다. 6개월 금연 성공률은 39.8%였다. 남성, 65세 이상에서 금연률이 높았다. 고혈압, 주 2회 이상 음주자, 규칙적인 운동자, 10ppm 이상의 일산화탄소량 일수록 금연성공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다른 독립변수는 금연성공률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연령, 사용된 니코틴패치 수, 총 의뢰횟수 등이 금연성공과 유의한 기여요인으로 도출되었다. 특히 총 의뢰횟수가 가장 높은 오즈비를 보였다. 규칙적인 의뢰가 보건소 금연클리닉 프로그램에서 금연성공의 가장 효과적인 중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