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금연태도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8초

간호학생의 흡연지식 및 태도, 금연권고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Recommendation Among Nursing Students)

  • 오효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365-374
    • /
    • 2013
  •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을 대상으로 흡연지식 및 태도, 그리고 금연권고를 조사하고 금연권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일개 광역시 3개 대학교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간호학생 52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2년 10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간호학생의 금연권고는 학년별, 거주지, 주관적 건강지각, 흡연에 대한 인식, 흡연력 사정 경험, 금연권고 경험, 금연중재교육 참여의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간호학생들의 금연권고는 흡연지식과 흡연태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금연권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금연중재교육 참여의사, 흡연태도, 흡연지식, 금연권고 경험으로, 금연권고를 15.5%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간호학생들이 임상 환자를 대상으로 금연권고를 적극적으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학부에서 환자들을 위한 금연중재교육을 실시하여 바람직한 흡연태도와 흡연지식을 증가시키고 임상실습시 금연권고 경험을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동기강화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금연지식, 금연태도 및 금연행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otivational Counseling Program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Smoking Cessation and Smoking Cessation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 신은선;김수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444-45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동기강화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금연지식, 금연태도 및 금연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G광역시에 소재한 M중학교 3학년 21명(실험군)과 D중학교 3학년 21명(대조군), 총 42명이었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인 동기강화상담 프로그램은 Valasquez(2001)가 개발하고 임애리(2010)가 재구성한 집단 형태의 동기증진면담 매뉴얼을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는 금연지식, 금연태도, 일일흡연량 및 금연변화단계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백분율, t-test 등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기강화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금연지식(t=8.99, p=.000), 금연태도(t=2.77, p=.008) 및 금연변화단계점수(t=3.85, p=.000)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일일흡연량(t=-3.68,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동기강화상담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의 흡연예방과 금연 및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유용한 정신간호중재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의 금연중재 의도와 관련된 요인 (Factors Affecting Intention of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among Nursing Students)

  • 최숙희;김윤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431-440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금연중재 의도와 관련이 있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B시와 Y시 소재 2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214명으로, 자료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9월 12일부터 20일까지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SPSS 23.0을 이용하여 t-test,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금연중재 의도는 현재흡연 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금연의 건강적 이득에 대한 믿음, 금연중재에 대한 태도 및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순상관 관계를 보였다. 금연중재 의도와 관련 있는 요인으로는 금연중재에 대한 자기효능감(${\beta}=.634$ p<.001), 금연중재에 대한 태도(${\beta}=.191$, p=.002), 금연의 건강적 이득에 대한 믿음(${\beta}=.132$, p=.032) 순으로 상대적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의 금연중재의도에 대한 설명력은 64.2%로 나타났다. 즉, 금연중재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금연중재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금연의 건강적 이득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일수록 금연중재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금연중재 의도와 관련된 이러한 요인을 고려한 금연중재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된다고 본다.

흡연대학생의 흡연지식, 흡연태도가 금연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moking Knowledge, Smoking Attitude, and Smoking Cessation Intention of College Student Smokers)

  • 장희정;홍선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525-532
    • /
    • 2021
  • 본 연구는 흡연대학생들의 흡연지식, 흡연태도, 금연의도 정도를 확인하고 금연의도 예측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D광역시에 소재하는 2개 대학에 재학중인 240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2018년 10월 1일부터 11월 15일일까지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금연지식, 금연태도, 금연의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대학생의 금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는 금연 태도(β=0.20, p=0.002)였으며, 흡연량(β=0.19, p=0.002) 흡연시작 시기(β=0.20, p=0.001), 금연시도 유무(β=0.16, p=0.012)순이였으며 이들 변수들의 전체 설명력은 17.7%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흡연대학생의 금연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원주시 치과의원 종사자의 금연지도활동에 대한 실태조사 (Tobacco Cessation Activities of Dental Staffs in Wonju City)

  • 장선옥;신보미;조미행;이민선;김소라;김경진;양민주;김다혜;정원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97-404
    • /
    • 2009
  • 치과종사자의 금연에 대한 태도, 금연지도활동의 실태, 금연지도활동의 장애요인에 대한 자료를 조사 분석하여 금연지도활동을 확대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강원도 원주시 구강보건지료기관에 근무하는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간호조무사, 치과코디네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법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과종사자의 금연에 대한 태도점수의 평균 6점 만점에서 5.18점(${\pm}1.21$)으로 비교적 금연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치과종사자의 금연지도활동 점수의 평균은 12점 만점에서 6.67점(${\pm}1.85$)으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3. 금연지도활동의 장애요인으로는 금연문제를 거론하기가 힘들다는 응답이 42.3%로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나타났다. 4. 치과종사자의 금연지도활동 점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변수는 금연에 대한 태도, 연령, 금여권유 시, 금연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구강건강관리인력의 금연지도활동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정규교과과정이나 보수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행 지속적으로 금연지도활동에 대한 이론 및 기술교육을 통해 제공해야 하며, 금연중재 프로그램의 적용과 관련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 PDF

한국 해기사의 흡연 및 간접흡연 실태와 흡연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금연의도 (A Study on the Smoke and Secondhand Smoke status, Knowledge about Smoking, Attitude for Smoking behavior and Smoking Cessation Intention of Seafarers)

  • 김민경;김재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413-421
    • /
    • 2020
  • 육지와 떨어진 제약적 환경 때문에 선박에서 근무하는 해기사는 사무직근로자보다 보건소와 같은 금연지원체계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 해기사의 흡연 및 간접흡연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총 155명의 대상자에게 홉연 및 간접흡연 경험, 흡연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금연의도와 선박 내 흡연시설에 대해 설문하였다. 조사 결과, 대상자의 흡연율은 32.3%였고, 간접흡연율은 86.5%로 높은 수준이었다. 선박 내 금연구역이 있는 경우에도 대부분의 흡연행위가 휴게실과 같은 해기사들의 생활 공간에서 주로 발생한다고 답하였다. 또한 선박 내 지정흡연실이 없거나 환풍시설이 미비한 경우도 40%정도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대상자 중 금연교육을 받은 사람은 21.9%에 불과하였다. 흡연행위에 대한 태도는 34.58점(총 60점)으로 부정적이었고, 흡연에 대한 지식은 16.12점(총 20점)으로 중간보다 높았다. 흡연자 10명 중 9명은 금연을 시도한 경험이 있었으나 금연 의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한된 공간에서 근무와 생활을 병행하는 장기간 체류하는 해기사들의 흡연율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해기사가 활용 가능한 방법으로 주기적인 금연교육을 통해 동기를 부여하고 금연의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정기적으로 흡연 실태조사를 조사하여 간접흡연의 피해를 주기적으로 파악하는 한편, 선박 내 흡연관련시설 등 환경적 요인에 대한 법규를 재정비하는 등 제도적 정비가 필요하다.

금연 TV광고의 내용분석 연구 -한국과 미국의 차이에 기반한 건강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적용- (Content Analysis of Anti-Smoking TV advertisements: Different Adaptation of Health Communication Theories between Korea and the U.S.A.)

  • 홍은희;이철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76-87
    • /
    • 2012
  • 이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텔레비전 금연 광고를 내용분석하여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금연 광고의 메시지 구성에 있어서 모델이 되는 이론들에서 제시하는 요소를 종합하고 이러한 요소가 실제 한국과 미국의 금연광고에서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 특히 한국과 미국의 문화적인 차이에 따른 광고 메시지의 차이를 발견하는 것을 주요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의 금연광고와 같은 기간의 미국 금연광고를 샘플링하여 총 71개의 TV광고를 건강증진재단의 자료를 통해서 내용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금연광고는 건강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이론인 건강신념모델, 합리적행동이론, 사회인지이론등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시청자들에게 흡연에 대한 태도를 부정적으로 만들고 흡연을 하지 않게 하는 행동적인 목적을 수행하고 있음을 밝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금연광고는 사회적 규범의 메시지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흡연에 대한 태도 메시지를 사용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이나 모델링을 사용한 메시지는 가장 적게 사용한 반면, 미국의 경우에는 자기효능감이나 모델링을 사용한 메시지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차이의 이유는 문화적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금연광고에서 사용된 정서는 국가별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양국 모두 공포와 유머가 제일 빈번하게 사용되었으며 슬픔이나 단순정보전달, 분노는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되었다. 청소년층만을 대상으로 광고가 제작된 경우는 양국 모두 많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금연광고에서 자주 사용된 메시지 유형과 그렇지 않은 유형을 발견함으로써 건강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적 요소가 실제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연구함으로써 금연광고의 학문적 이해에 기여하였다.

금연공익광고의 메시지 유형 분석 (Analysis of the Contents of Anti-Smoking Advertisement)

  • 소현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89-94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금연공익광고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러한 특성이 흡연억제에 효과적인지를 살펴 금연공익광고의 제작 시 고려할 점을 제시하였다. TV금연공익광고 68편이 메시지 소구유형, 메시지 프레임, 메시지 지향성, 커뮤니케이션 목표 및 광고유형에 근거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TV금연공익광고는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주로 사용하였다. 첫째, 흡연의 신체적 영향을 강조한 신체적 유형 메시지, 둘째 흡연의 부정적 결과를 보여주는 부정적 프레임 메시지, 셋째 자기지향적 메시지, 넷째 흡연 태도변화를 목표로 하는 메시지, 다섯째 스토리텔링 기법. 본 연구결과와 기존 금연광고 연구의 결과를 고려하여 우리나라 금연공익광고의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이 토론되었다.

금연홍보 캠페인의 메시지 효과평가 -영상홍보물을 이용한 탐색적 연구- (Evaluation of Anti-Smoking Public Relations Message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s Using Televised Health Messages-)

  • 이철한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4권
    • /
    • pp.223-247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금연홍보 영상물 메시지의 전달방법이 흡연에 대한 신념, 태도, 행동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영상물 제작에서, 정보결손모델, 건강신념모델, 계획된 행동이론, 사회인지 이론을 바탕으로 금연 메시지를 구성하여 이를 실험연구를 통해서 각각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금연 메시지의 효과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요소로는 메시지의 측면성, 자아효능감, 규범적 압력이 도출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한 메시지의 효과를 흡연자와 금연자 집단으로 나눠 이원변량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금연자가 양면적 메시지로 구성된 실험물에 노출되었을 때, 그리고 규범적 압력의 메시지가 포함된 실험물에 노출되었을 때 금연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여부에 관계없이 규범적 압력이 포함된 실험 영상물이 사회적 흡연 신념을 억제시키는 설득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흡연여부와 관계없이 양면적 메시지와 규범적 압력이 포함된 영상물을 선호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는 자아존중감의 메시지에 노출된 집단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양면적 메시지와 규범적 압력의 메시지의 주효과가 일부 흡연신념을 통해서 나타난 것에 비해서 흡연여부의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흡연자와 비흡연자 간의 흡연태도가 차이가 없음을 의미하는 것인데 이는 흡연자가 금연자와 마찬가지로 담배의 신체위해성이나 심리적, 사회적 이유로 흡연하는 것이 좋지 않다는 것을 인식한 상태에서 흡연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금연메시지를 구성하는 이론적 토대에 따라 영상물을 대상으로 한 실험연구를 수행했다는 점으로 향후 실제 금연 캠페인에 적용할 수 있는 메시지 전략도출에 기여를 하였다는 점이다.

  • PDF

초등학교 학생들의 흡연 경험과 흡연에 대한 태도 분석 (Analysis of smoking experience and their smoking attitude among elementary schoolers)

  • 김정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권2호
    • /
    • pp.53-64
    • /
    • 2015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흡연 경험 실태, 흡연에 대한 태도, 흡연 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횡단면 기술적 연구 방법을 통하여 충청도와 강원도 소재 초등학교의 4,5,6학년 학생들 중 총 810명을 편의표본추출방법으로 선정하였으며, 흡연 유무에 따른 특성과 흡연에 대한 태도를 일반화 선형 방법을 이용하여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사전에 Y 대학교의 연구윤리심의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810명의 학생들이 조사에 포함되었는데, 이들 중 7.3%의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이 흡연 경험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분석 결과, 흡연 경험이 있는 친구를 가진 학생들, 친구의 담배 권유를 거부가 어려운 학생, 그리고 남학생들이 유의하게 흡연 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금연교육은 친구의 담배 권유를 거부할 수 있는 인지 프로그램을 포함한 남학생들을 대상으로 같은 또래들의 정서에 맞는 맞춤 금연 교육 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하며, 원하지 않는 흡연 경험으로 인한 피해로부터 초등학생들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학교의 금연교육을 강화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