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글쓰기 대상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19초

발성사고법을 이용한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 과정 탐색 (An Investigation of Students' Science Writing Processes Using Think-aloud Method)

  • 유지연;강석진;김지영;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881-892
    • /
    • 2013
  • 최근에는 효과적인 과학 글쓰기 전략 개발을 위해 완성된 글뿐 아니라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인지 과정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가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과학 주제에 대한 문제 해결 글쓰기 과정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의사소통 기술과 성취수준을 고려하여 선정된 중학교 2학년 학생 7명을 대상으로 발성사고법을 활용한 글쓰기 활동을 한 후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글쓰기 과정은 생성, 개요 조직, 목표 설정, 변환, 평가 및 수정의 6개 과정 요소로 분류되었다. 학생에 따라 각 과정 요소가 나타나는 빈도나 순서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었다. 글쓰기 과정에서 과정 요소들이 나타나는 유형을 체계적 전략, 암묵적 계획 전략, 시행착오 전략, 임의적 전략의 4가지로 분류하였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에서 학생들의 반성적 사고와 읽기틀의 관계에 대한 고찰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Students' Reflective Thinking and the Reading Framework in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Approach)

  • 성화목;황소영;남정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46-159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에서 읽기틀과 반성적 사고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는 중학교 2학년 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31명을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29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에서 학생들의 반성적 사고와 읽기틀의 관계에 대한 고찰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읽기틀이 포함된 5개의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을 처치하였으며, 비교집단에는 읽기틀이 포함된 3개의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과 읽기틀이 포함되지 않은 2개의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반성적 사고에서 각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각각의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에 따른 반성적 사고의 변화 경향을 분석한 결과 읽기틀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지 않은 비교 집단의 경우 실험 집단에 비해 반성적 사고의 점수가 마지막 활동에서 하락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에서 읽기틀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은 학생들의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생명 과학I 수업에서 과학 글쓰기 활동이 고등학생의 과학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ience Writing Activities on High School Students' Scientific Thinking Ability in Life Science I Class)

  • 이정은;정은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3호
    • /
    • pp.476-491
    • /
    • 2013
  • 과학교육의 목표가 지식의 습득에서 지식 형성과정을 강조하는 것으로 변화하면서, 학생들에게 과학적 사고 연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학습 방법으로 과학 글쓰기가 부각되고 있다. 현행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과학 글쓰기와 토론을 통하여 과학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및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도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생명 과학I 수업에서 과학 글쓰기 활동이 학생들의 과학적 사고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생명 과학I 수업에 활용 가능한 6차시의 과학 글쓰기 활동지와 과학적 사고력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고등학교 1학년 6학급 224명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3개의 학급에는 과학 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을 하고 다른 3개의 학급에서는 강의식 수업을 총 6차시 실시하였다. 생명 과학 I 수업에 과학 글쓰기 활동을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과학적 사고력이 향상되었고, 과학적 사고력의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귀납적 사고력, 연역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의 4가지 범주 모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과학적 사고력 영역의 평가 준거별 분석 결과에서는 귀납적 사고력의 경우 평가 준거 '근거'와 '설명'에서 향상되었고, 연역적 사고력에서는 평가 준거 '결론'과 '설명'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비판적 사고력에서는 평가 준거 '주장', '근거', '설명', '반증'에서, 창의적 사고력에서는 '창의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의 모든 평가 준거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적 사고력 함양을 위한 과학 글쓰기 활동의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다양한 과학 글쓰기 활동을 위한 자료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이 학생들의 글쓰기에서 나타난 다중 표상에 미치는 영향 및 다중 표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The Impact of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Approach on Students' Use of Multiple Representations in Science Writing and Students' Recognition about Multiple Representations)

  • 남정희;박지연;이동원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759-767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탐구적 과학 글쓰기(SWH)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글쓰기에서 나타난 다중 표상에 미치는 영향 및 다중 표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는 광역시에 위치한 남녀공학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3개 학급 94명의 학생을 실험집단으로, 2개 학급 64명의 학생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집단은 총 8개 주제의 탐구적 과학 글쓰기 프로그램을 수행하였고, 비교집단은 같은 기간 동안 전통적인 실험수업을 수행하였다. 학생들이 작성한 요약 글쓰기에서 나타난 다중 표상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평균이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다중 표상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 모든 학생들이 개념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표현 하는데 있어서 다중 표상의 필요성과 효과를 인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 다중 표상을 사용하는 수준에는 차이가 있으며 이는 다중 표상 사용에 대한 이해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1학년 과학 영재의 가설-연역적 탐구 실험 글쓰기 유형 분석 (The Analysis of Writing Types on the Hypothetical Deductive Inquiry Experiment of the 7th Gifted in Science)

  • 강성주;박희경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2호
    • /
    • pp.309-335
    • /
    • 2011
  • 과학 탐구 과정 및 과학 학술지의 논문 양식을 기초로 글쓰기 분석틀을 만들었으며, 중학교 1학년 과학 영재의 글을 글쓰기 분석틀에 근거하여 분류하였다. 연구 대상 학생들의 글을 임시적 설명의 유무와 결론의 형태를 기준으로 7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고, 그리고 각 유형별 사례를 연구 방법 또는 연구 결과 및 자료 해석 내용의 기술 횟수와 글쓰기에서 연구 방법 또는 연구 결과 및 자료 해석이 기술된 위치를 기준으로 단선형, 복선형, 결론 보강형으로 나누었다. 단선형은 연구 방법 또는 연구 결과 및 자료 해석이 1회 일 때, 복선형은 연구 방법 또는 연구 결과 및 자료 해석이 2회 이상, 결론 보강형은 연구 방법 또는 연구 결과 및 자료 해석을 1회 이상의 과정을 통해 결론을 내린 후 다시 앞에 제시한 과정 이외의 연구 방법 또는 연구 결과 및 자료 해석이 나타날 경우라 하였다. 학생들은 과학 글쓰기를 통하여 과학자와 같이 글을 쓸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의 글쓰기 유형은 학생들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으로써 적용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글쓰기에 나타난 띄어쓰기 오류 양상 및 지도 방향 (An Analysis of Korean Word Spacing Errors Made by Chinese Learners)

  • 왕원
    • 한국교육논총
    • /
    • 제40권1호
    • /
    • pp.59-7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글쓰기 자료에 나타난 띄어쓰기 오류를 분석하고, 설문조사와 인터뷰 내용을 통해 오류 원인을 분석하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띄어쓰기 교육 지도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국인 유학생의 글쓰기 자료 30편을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와 아울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학습자들의 글쓰기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148회 띄어쓰기 오류가 발견되었으며, 띄어 써야 하는데 붙여 쓴 오류(77.6%)는 붙여 써야 하는데 띄어 쓴 오류(22.4%)보다 훨씬 더 많이 나타났다. 붙여 쓴 오류 중 '명사+명사', '관형사(형)+의존명사'와 띄어 쓴 오류 중 '조사'의 오류 빈도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에 본고는 명사와 조사를 대상으로 연역적 측면과 귀납적 측면을 출발하여 띄어쓰기 지도 방향을 제시했다.

  • PDF

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 수업 적용의 효과: 고등학교 화학 I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he Argument-Based Claim and Evidence Writing Approach: Focus on High School Chemistry)

  • 조희;최애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69-77
    • /
    • 2015
  • 본 연구는 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 교수 학습 전략을 적용하여 조별 논의 후와 학급 논의 후에 주장과 증거 글쓰기의 변화, 비판적 사고력의 변화, 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 소재 고등학교 2학년 2개 학급의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화학 I의 10개의 주제에 대하여 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 수업을 하였다. 조별 논의 후에 주장 점수는 9개 주제에서 증거점수는 10개 모든 주제에서, 학급 논의 후에 주장 점수는 7개 주제에서 증거 점수는 10개 모든 주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설문에서 학생들은 조별 논의를 하는 과정에서 문제 상황을 이해하게 되어 주장과 증거를 만들 수 있었고, 학급 논의를 통해 충분한 증거를 제시할 수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 능력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결과 또한 이를 뒷받침한다.

사회적 상호작용과 도구 개선을 강조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에 대한 중학교 과학 영재 학생들의 인식 (The Perception of Middle School Science-Gifted Students on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 and Tool Improvement)

  • 신은지;최원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1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소재의 국립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중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상호작용과 도구 개선을 강조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을 실시하여 STS 관계와 수업의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과 도구 개선을 강조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 후 학생들은 STS 관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과학 영재 학생들은 실험 도구와 기술이 과학이론 발전에 기여하며, 과학 기술만으로 모든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어려우며, 과학이 사회적 상호작용 활동이라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또한 과학 영재 학생들은 동일 주제로 여러 시간 진행한 집중 탐구, 동료 평가 등을 이용한 다른 조원과의 의사소통, 같은 조원과 문제를 해결하는 의사소통, 탐구 과정에서 도구를 개선하는 활동, 익숙한 재료와 현상을 이용한 탐구 등을 통해 STS의 관련성을 인식하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중학생 대상의 과학 영재 수업에서 학생들이 STS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실험 도구를 활용한 문제 해결 경험, 동일 주제로 탐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시행착오 경험, 연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도구의 개선 경험, 동일한 주제로 탐구 활동을 진행하는 동료와의 의사소통경험, 다른 조와 탐구 결과를 공유하는 경험, 학생에게 익숙한 소재와 현상을 이용한 탐구 활동 등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과학 글쓰기를 통한 고등학생의 지구 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시스템 사고의 분석 (An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Systems Thinking and Understanding of the Earth Systems through their Science Writing)

  • 이현동;김태수;이효녕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91-104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글쓰기를 통해 고등학생의 지구 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시스템 사고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글쓰기 활동에 활용한 자료는 지구과학 I 교과 내용 중 지구환경 변화에 관련된 3가지 주제(지구 온난화, 화산분출, 사막화)이며 이와 관련된 과제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자료는 고등학교 2학년 학생 8명을 대상으로 투입하였으며 작성한 과학 글쓰기 내용을 바탕으로 DAET-C 체크리스트와 지구 시스템에 관련된 개념을 구성요소로 하여 인과지도를 작성한 후, 이를 근거로 하여 시스템 사고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학생들은 지구 시스템의 구성, 지구 시스템의 상호작용, 지구과학적 소양, 시스템 순으로 지구 시스템을 이해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 내용을 바탕으로 각각의 주제별로 인과지도를 작성한 결과 피드백 순환 고리가 나타난 학생은 연구에 참여한 8명 중 지구 온난화 관련 주제에서는 4명, 화산 분출 관련 주제에서는 1명, 사막화 관련 주제에서는 4명의 학생이 지구 시스템에서 하위 요소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는 시스템 사고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구환경 변화가 지구계 하위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복잡한 과정 속에서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고를 하고 있었으나, 지구 시스템의 순환에 대한 과정에서 시스템 사고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글쓰기 활동을 활용하여 지구 시스템 교육과 시스템 사고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플립러닝 기반 영어수업의 글쓰기 과제에 대한 오류수정 피드백이 영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과 수업 만족도 예측요인 규명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Corrective Feedback about Learners' English Writing through Flipped Learning on English Improvement and the Factors Influencing Class Satisfaction)

  • 황희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49-5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플립러닝 모형을 적용한 영어수업에서의 글쓰기 과제에 대한 오류수정 피드백이 학습자의 영어 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수업 만족도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오류수정 피드백에 대한 반응과 감정을 선정하고, 이들의 예측력을 규명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94명의 대학생으로 두 개의 집단인 플립러닝을 적용한 실험집단 48명과 전통적 교수법을 적용한 통제집단 46명으로 나누어 평가시험과 글쓰기 과제를 사전·사후로 실시하고, 수업 처치 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플립러닝을 기반으로 한 수업 방법이 학습자의 영어 성취도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류수정 피드백에 대한 반응과 감정 모두 수업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플립러닝형 수업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