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글로벌 패션 브랜드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5초

글로벌 명품 패션 브랜드와 한국 현대 예술가의 콜라보레이션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Collaboration between Global Luxury Fashion Brands and Korean Contemporary Artists)

  • 박근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13-22
    • /
    • 2023
  • 최근 들어 구찌, 생로랑, 루이뷔통과 같은 글로벌 명품 패션 브랜드들이 한국 현대 예술가들에게 특별한 관심을 보이고 적극적인 콜라보레이션 작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이것은 이전까지의 패션 브랜드의 협업 작업과 구별되는 새로운 변화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글로벌 명품 패션 브랜드와 한국 현대 예술가와의 콜라보레이션 사례를 조사하고, 그 유형과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그 경향과 특징을 살펴보고 의미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패션브랜드들은 다양한 장르의 한국예술작품의 특징을 브랜드 컨셉과 추구하는 가치와 융합하여 새로운 감성의 고부가가치의 상품을 창출하고, 패션 상품과 한국의 현대 예술 작품을 함께 미학적 측면에서 감상과 담론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자 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의 예술 문화적 정서를 활용하여 국내 고객들이 친근감을 가지고 브랜드 스토어를 방문할 수 있도록 마케팅의 측면에서도 협업을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현대 패션 산업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패션과 예술의 다양한 콜라보레이션을 위한 창의적인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국내 유ㆍ아동복 브랜드의 글로벌 전략방안 - 패션아웃소싱을 중심으로 -

  • 김문숙;유진경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0-52
    • /
    • 2003
  • 디지털 시대를 맞이한 오늘의 패션기업은 정보화ㆍ글로벌화 및 양극화된 고객의 욕구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글로벌 전략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아웃소싱은 차별화 된 소비자의 기호와 경쟁환경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경쟁력 강화의 주요한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다. 지금까지 아웃소싱에 관한 많은 연구가 IT산업을 중심으로 수행되어 온 반면, 패션분야에서의 아웃소싱에 관한 연구는 초기단계에 있어, 점차 확산되어 가는 패션산업에서의 아웃소싱에 대하여 학문적 자료의 제시가 필요한 상황이다. (중략)

  • PDF

글로벌 패션 소비자의 진 브랜드 구매행동 - 미국, 중국, 프랑스 소비자를 대상으로 - (Global Fashion Consumers' Purchase Behavior of the Jean Brands - Focused on USA, Chinese, and French Consumers -)

  • 박진아;고은주
    • 복식
    • /
    • 제61권10호
    • /
    • pp.119-134
    • /
    • 2011
  • The present study proposes and tests an integrative model for global consumers to examine the relation among fashion marketing mix, brand attitude, brand loyalty, and purchase intention in the jeans market. The questionnaire surveys 692 consumers in the United States, China, and France.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that are used are as follow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SEM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fashionability, perceived quality, and advertising have a direct and also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itude; however, advertising didn't have a direc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SEM analysis show that brand attitude leads to brand loyalty, while also showing a direct and indirect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Furthermore, the multi-group analysis reveal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M among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China, and France.

소비자의 글로벌 마인드와 글로벌 패션 브랜드의 옥외 광고에 대한 호의도가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sumer Global-Mindedness and Global Fashion Brand Out-Of-Home Advertising on Brand Evaluation)

  • 김앙영;황선진
    • 복식
    • /
    • 제67권2호
    • /
    • pp.1-16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consumer global-mindedness affects global fashion out-of-home (OOH) advertising which global consumer culture positioning applie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global fashion brand OOH advertising, perceived fashion brand globalness, perceived quality and brand reput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238 general people in 20~30s in seoul and were analyzed by using statistic methods such a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d modelling by running both SPSS 18.0 and AMOS 7.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indicated that the fit indexes were satisfied and the overall model of this study showed a favorable goodness of it from the results of confirmatory analysis. Secondly, consumer global-mindedness had a positive impact on preference towards global fashion OOH advertising. Finally, preference towards global fashion brand OOH advertising positively affected perceived fashion brand globalness, perceived quality and fashion brand reputation. The results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hat fashion brands fully understand consumers' tendency and the benefits of marketing can be maximized through global positioning OOH advertising on subways which makes consumers recognize fashion brands as global ones.

한국 패션 브랜드 글로벌 마케팅 전략 -미국 진출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Global Marketing Strategies for Korean Fashion Brands -Focused on Companies Entered the US Market-)

  • 신수연;조정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2-3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appropriate marketing strategies for Korean fashion companies wishing to enter the US market. In-depth-interview with documentary research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even Korean fashion companies launching in the US market as wholesalers or retailers. The interviews were executed from May to July 2007.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in accordance with Marketing Mix(4P's). In most cases, the brand targets are female customers of 20's to early 30's. The products carried by the companies are trendy with a tint of vintage and oriental feelings. The price ranges from middle to high level. Most brands are engaged in wholesaling through trade shows to sell the merchandise for department stores or specialty stores, but recently are trying to convert to retailing. Trade shows and show rooms are used as one of the promotion tools, but celebrity marketing has also been active for the promotions. Most companies suggested their superior qualities of the products as their strength, and the lack of experience and information as their weakness. Most companies forecast that the influence of FTA between Korea and the US may be limited because of Korea companies' overseas outsourcing system.

브랜드 지식과 감정이 글로벌 패션 브랜드 선택 확신에 미치는 영향 -해외 거주 경험의 조절 효과- (Effects of Brand Knowledge and Affect on Brand Choice Confidence of Global Fashion Brands -Moderation Effect of Overseas Residence Experience-)

  • 김수영;이유리;추호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837-848
    • /
    • 2012
  • This study examines how the overseas residence experience of Korean consumers influences the relationship of global fashion brand knowledge and brand choice confidence. We contrast two kinds of consumer brand knowledge, using the concepts of Alba and Hutchinson's expertise and familiarity. Considering the effect of positive affect on intuitive information process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positive affect in consumer brand knowledge and brand choice confidence link. The proposed model was tested with structural-equa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expertise and familiarity effect the positive affect. Positive affect, in turn, influences brand choice confide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cesses underlying global fashion brand knowledge and brand choice confidence link are different between the consumers with overseas residence experience for more than a year and the consumers without it. The route from expertise to positive affec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onsumers with overseas residence experience but not on the consumers without it; however, the route from familiarity to positive affect and the path from positive affect to brand choice confidence have a greater impact on the consumers without overseas residence experience than the consumers with it. We find that the consumers with overseas residence experience favor expertise in the process underlying global fashion brand knowledge and brand choice confidence link, whereas the consumers without it favor familiarity and affect based thought.

글로벌 소비자문화 수용성에 관한 연구 - 타당성과 소비자동조성 및 글로벌 패션브랜드 구매태도와 관련성 - (Susceptibility to Global Consumer Culture - Scale Validation and Relationships with Consumer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and Attitude toward Purchasing Global Fashion Brands -)

  • 전경숙;박혜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419-1429
    • /
    • 2009
  • This study tests the validity of the Susceptibility of Global Consumer Culture (SGCC) Scale that is composed of three dimensions, conformity to consumption trend, quality perception, and social prestige, on Korean consumers. The study also identifies the relationships with consumer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and attitude toward purchasing global fashion brands. Utiliz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college students aged over 20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Three hundred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aired t test, and path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SGCC scale measured by three dimensions fit well for young Korean consumers. Path analysis showed that identical conformity positively influences all three dimensions of the SGCC scale and that informational conformity positively influences purchasing intention toward global fashion brands. Among the three dimensions of SGCC, quality perception and social prestige positively influence purchasing intention toward global fashion brands.

Yohji Yamamoto 브랜드에 나타난 복식 디자인 특성 연구 - 2019 F/W-2024 S/S 파리 컬렉션을 중점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esthetics in the Yohji Yamamoto Brand -Focusing on the 2019F/W-2024S/S Paris Series-)

  • 양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95-103
    • /
    • 2024
  • 본 연구는 21세기 일본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패션 디자이너 중 한 명인 요지 야마모토의 작품을 고찰하였다. 이 연구는 파리 패션 위크(2019 F/W-2024S/S)에 전시된 요지 야마모토 여성 기성복 컬렉션에 초점을 맞췄다. 연구 방법에는 사례 분석 및 이미지 요약이 포함됩니다. 이 연구는 Yohji Yamamoto 브랜드의 발전과 디자인 스타일을 분석했습니다.VOGUE에서 2019 F/W-2024S/S 총 399장의 트랙 이미지를 다운로드하고 실루엣, 색, 소재 및 프로젝트 네 가지 측면에서 분석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러한 미학 사상은 야마모토 요지의 독특한 미학의 핵심 요소로 브랜드 스타일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스낵 컬처와 패스트 패션 (Snack Culture and Fast Fashion)

  • 윤을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12-627
    • /
    • 2016
  • 본 연구는 오늘날 현대인의 일상에 하나의 문화현상으로 자리 잡은 스낵 컬처와 가성비 및 트렌드를 중시하는 소비패턴에 빠르게 대응하고 있는 패스트 패션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문화현상으로서의 스낵 컬처와 패스트 패션이 갖는 공통적인 속성을 파악하는데 있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낵 컬처와 패스트 패션은 속도와 짧은 시간, 간편화로 대표되는 3S의 속성을 지닌다. 둘째, 스낵 컬처는 재미있고 다양한 콘텐츠로 사용자의 욕구에 집중하며, 패스트 패션은 다양한 디자인으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한다. 셋째, 스낵 컬처는 IT기술을 근간으로 패스트 패션은 업무와 조직, 유통 체계의 기술적 혁신을 기반으로 성장하였다. 넷째, 스낵 컬처는 개방과 공유를 통해 세계와 소통하며 하나의 맥락을 글로벌화 시키고, 패스트 패션은 매출확대와 규모의 성장을 통해 다국적 기업으로 글로벌화 되고 있다. 다섯째, 스낵 컬처는 다-대-다의 관계로 소통하는 속성을 기초로 소셜 캠페인을 통해 다중의 상호 작용을 극대화시켜 시너지효과를 발휘하며, 패스트 패션은 협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