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글로벌 역량

Search Result 38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The literature review of global innovation capability (글로벌혁신역량에 관한 이론적 고찰)

  • Yang, dong-woo;Jeon, woo-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19-120
    • /
    • 2011
  •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글로벌 혁신역량에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분석한 연구이다. 국내외 중소기업의 글로벌혁신역량에 관한 선행연구를 광범위하게 조사한 후 중소기업의 글로벌 혁신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잠재변수를 선정한다. 각 잠재변수별로 유의적으로 판명된 지표를 분석하여 기업내부역량 중 글로벌혁신역량에 중요한 요인인 CEO역량, 기술역량, 마케팅역량, 생산역량, 인적자원역량, 재무역량, 네트워크역량으로 재분류한다. 향후 잠재변수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상호교호작용효과를 배제한 잠재변수별 순효과(net effect)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역량과 수출금융제도가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Hong, Jeong-Gi;Heo, Cheol-M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06a
    • /
    • pp.197-201
    • /
    • 2020
  • 본 연구는 수출중소기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기술혁신역량과 수출금융제도가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글로벌마케팅역량의 하위 변수인 글로벌확장성을 매개변수로 하여 기술혁신역량과 수출금융제도와 수출성과 간의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독립변수는 기술역량의 하위변수인 연구개발역량, 기술축적역량으로 구분하였고, 수출금융제도를 사용하였다. 전국에 거주하는 수출중소기업의 재직자로부터 수집한 설문지 242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v22.0을 사용하여 3단계 매개모형을 기반으로 회기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기술혁신역량은 글로벌확장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혁신역량은 수출 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출금융제도는 글로벌확장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출금융제도는 수출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기술혁신역량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수출금융제도가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ICT Capability, Global Orientation and Export Marketing in Korean SMEs (중소기업의 ICT 역량, 글로벌지향성 및 수출마케팅의 관계에 대한 연구)

  • Rhee, Yang-Pok
    • Korea Trade Review
    • /
    • v.42 no.2
    • /
    • pp.251-276
    • /
    • 2017
  • The utilization of Digital and Social Network has become be a key success factor in business operations as information technologies evolve rapidly. This study is to identity the relationship between ICT & digital utilization, global orientation and export marketing capability in Korean SMEs. Survey data of Korean SMEs in south regional areas was collected and analyzed for empirical hypothesis test by PLS structural equation method.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CT utilization such as SNS, homepage and online portal does not impact directly on export marketing capability. It means that SMEs would not still take advantage of utilization of social network availability. Second, ICT utilization has positive influences on global market orientation and global network orientation. Finally, both global market orientation and network have significant impacts on export marketing capability. In conclusion, global orientation has full-mediation effects on relationship between ICT capability and global marketing. This study provides evidences and some practical insights that digital utilization have indirect influences on global marketing through global markets and network orientation in Korean SMEs. In information technology era, ICT utilization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SMEs' internationalization. Therefore, for sustainable growth and survival SMEs should manage and intensify ICT capability more strategically as one of core competence. The value of ICT capability in SMEs would be depended on their strategic perspectives toward digitalization. Additional empirical research about digital capability based on larger sample will be needed.

  • PDF

A Study of Project Management Capability in Global Information System Projects (글로벌 IS 프로젝트 관리 역량에 관한 연구)

  • Kim, Gyeung-M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33 no.3
    • /
    • pp.225-232
    • /
    • 2010
  • 글로벌 IS 소싱이 확산됨에 따라 다국적 팀원들로 구성된 글로벌 프로젝트 팀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상이한 시간대에 위치한 팀원 간의 상호작용이 필수적인 글로벌 프로젝트는 이러한 시간적, 공간적 복잡성 때문에 프로젝트의 성공적 수행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성공적인 글로벌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프로젝트 관리 역량에 대한 탐색적인 연구 조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글로벌 프로젝트 관리 역량을 정보 기술적 역량(IT capability)과 인적 자원 역량(human resource capability)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술적 역량으로는 팀원 간의 조정 및 지식 공유 등을 지원하는 협업 도구(collaborative tools)가 프로젝트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인적 자원 역량과 관련해서는, 기존에 중요시 여겨지던 기술적 지식들 보다는 경영학적 관리 지식 및 의사 소통 능력 등이 중요시 여겨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적 역량의 관점에서, 본 연구 결과는 해외소싱이 활발해 짐에 따라 프로젝트 관리자(Project Manager, PM)들이 가져야 하는 주요지식으로 기존의 기술적 지식의 비중은 급격히 줄어든 반면, 의사소통 능력, 해외개발 인력관리, 소싱전략 등과 같은 관리에 대한 지식과 비즈니스 업무지식이 점차 중요해 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의 해외 소성은 매우 초기 단계에 있지만 본 연구는 차제에 한국의 IT 인력 특히 PM 인력들이 갖추어야 하는 지식요건과 해외소성을 관리하기 위한 기술적 역량 등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역량이 글로벌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정영근;강지훈;안기돈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4.04a
    • /
    • pp.67-73
    • /
    • 2024
  • 유니콘기업을 목표로 하고 있는 국내 스타트업들이 아직까지 국내 투자유치와 코스닥시장 IPO를 목표로 삼고 있고, 해외 판로개척, 해외투자 유치 및 M&A를 통한 글로벌 진출이 활성화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현재까지의 제2벤처붐은 절반의 성공이라 볼 수 있다. 현 정부에서도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을 중요한 정책 아젠다로 보고 있는 바, 중소벤처기업들의 글로벌 진출 및 사업화 성공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경영성과에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해 국제경영이론 중, 글로벌진출 성공요인과 관련된 자원기반관점과 동적역량관점의 선행연구를 검토해보고, 기업의 혁신역량과 개방형 혁신활동이 기업의 글로벌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아직까지 스타트업 또는 벤처기업들을 대상으로 글로벌 진출 성공요인을 도출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이 있음을 밝힌다.

  • PDF

A Basic Study on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for Cultivating Global Business Communication Competence (글로벌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역량 배양을 위한 교육내용 개발에 대한 기초연구)

  • Kim, Bu-Ja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2
    • /
    • pp.91-10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when developing a course for cultivating global business communication competence.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sub-elements of global competence, the researcher selected the sub-elements of global business communication competence. A survey was conducted on 148 employees of 20 companie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the sub-elements of global business communication competence.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 sub-elements of relatively high importance-English email writing, reading and understanding of English materials and documents, telephone English, business English conversation,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communication skills, business knowledge-should be included in the educational contents of a course for cultivating global business communication compet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 Competence and English Learning Motivation - A Case of H University (글로벌 역량과 영어 학습 동기의 상관관계 연구 - H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Kim, Young-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3
    • /
    • pp.730-739
    • /
    • 2021
  •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 competence and English learning motivation, thereby finding an effective way to strengthen learners' global competence. Data are collected from 361 freshmen studying in a compulsory English course at H University in Seoul, using a survey with five-point Likert scale. Results reveal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global competence and all four components of English learning motivation(integrativeness, instumentality, intrinsic and external motivation). Especially the correlation between global competence and learners' integrativeness is found to be the highest. Thus, this paper proposes two applicable class activities under the assumption that strengthening integrativeness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promote global competence.

The impact of CEOs' capability & alliance management capability on the performance of venture's global alliance (중소벤처기업의 경영진 역량과 제휴관리역량이 글로벌 제휴의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Kim, Hyojung;Kwon, Ki Hwan;Choi, Wonyong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7 no.3
    • /
    • pp.251-278
    • /
    • 2015
  • Previous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drivers of alliance performance up to date. Unlike existing literatures, we examine the influence of alliance management capability as direct drivers on venture's alliance performance. Based upon organizational capability theory, we proposed that coordination capability, relationship capability, learning capability are main components of alliance management capabilities. In addition, we proposed capability of CEO as forth alliance management capability in global ventures. Using 78 global ventures as research sample, this study shows that these four alliance capabilities have considerable influence on financial performance of ventures with global alliances.

  • PDF

Reframing The Global Leadership Competencies Models (글로벌 리더십 역량 모형의 재구성)

  • Kim, Beom-Se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1
    • /
    • pp.215-228
    • /
    • 2012
  • This study aim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of what are the global leadership competencies(GLC) and what is the integrating framework of GLC? To attain the goal of reframing the GLC models with systematic research on GLC, the specific objectives are delineated as follows; the first objective is to identify the area of GLC. The second one is to extract the dimensions agreed with consensus. The third one is to suggest the reframed GLC model.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 analysis about GLC and global mindset, the two dimensions-subject and objects-of GLC model are emerged to classify the existing clusters of GLC. The extracted objects are self, others, culture, business, and global world. The dimension of subject who is global leader is more specifically divided into the knowing/doing process and three aspects of human activity lik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one. GLC are reframed and rearranged based on the two dimensions. As a results new framework for GLC with 11 clusters are presented. Knowing group of GLC contains personal, social, cultural, business literacy, and global mindset. Doing group of GLC contains personal, social, cultural, business savvy, and global change. Personal traits as a core character are at the core of the knowing and doing process of the self.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re suggested, and suggestion for further research is followed.

Study on the Influence of Personal Traits to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Globalization Capability - (개인특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글로벌역량의 매개변수를 중심으로-)

  • Lee, Ru-Ri;Lee, So-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5
    • /
    • pp.217-225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whether personal traits and globalization capability would affec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Survey using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toward 257 male and female adults aged 21 above across the nation. The analysis of the data shows that the desire for self-fulfillment, risk-taking propensity and sense of self-efficiency as personal traits have positive influenc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the globalization capability as mediating variable has meaningful influenc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at is, globalization capability under the control of respective personal trait makes positive influenc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Current study would support the potential entrepreneur and the educator to create effective entrepreneurial education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