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의 활성

검색결과 1,370건 처리시간 0.025초

다른 지면 조건에서의 푸시업 플러스 운동이 어깨 안정근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A Effect of the Shoulder Stabilizer Muscle Activity During a Push-up-Plus on a Different Condition Surface)

  • 김진섭;이동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호
    • /
    • pp.399-40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지 면이 다른 조건(안정, 상지 불안정, 하지 불안정, 상하지 불안정)에서의 푸시업 플러스운동이 어깨 안정근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18명의 정상인이 자발적인 참여를 했다. 측정 방법은 지지 면이 다른 조건에서 푸시압 플러스를 수행 하는 동안 위세모근, 큰가슴근, 앞톱니근을 표면 근전도로 기록 하였다. 연구 대상자에게는 총 7일 동안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값은 푸쉬업 플러스를 실시한 실효치 값의 평균으로 제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반복 측정된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위세모근과, 큰가슴근은 다른 조건의 지지 면과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하지만 앞톱니근에서는 상하지가 불안정한 조건일 때 푸쉬업 플러스 운동을 하는 동안 근 활성도가 가장 많이 향상되었다(p<.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깨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푸쉬업 플러스 운동 방법으로는 상 하지가 모두 불안정한 지지 면을 제공 할 때 가장 효과적 이였다.

인체모형 옮기기 시 발의 배치와 옮기는 지면 높이가 허리척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ot Placement and Height of Bed Surface on Load of the Lumbar Spine During Transfer Activity)

  • 김원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83-291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인체모형을 이용하여 옮기기 활동을 하는 동안 발의 배치(11자 배치와 $90^{\circ}$배치)와 옮기는 지면의 높이(휠체어 좌석과 같은 높이와 다른 높이)가 허리척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자발적으로 실험참여에 동의한 건강한 남성 15명을 대상으로 4가지 조건에 따라 옮기기 활동을 실시 하였다. 옮기기 활동 동안 허리척추의 작업부담을 알아보기 위해, 위팔두갈래근, 척추세움근, 넙다리근의 근활성도를 표면근전도로 측정하였고, 힘판을 이용하여 수직 지면반발력을 측정하였고, L4/L5에 가해지는 압박력을 3DSSPP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오른쪽 넙다리근의 근활성도를 제외한 나머지 근육의 근활성도는 각 조건 사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직 지면반발력은 각 조건 사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또한 L4/L5에 가해지는 압박력은 같은 높이인 경우 발의 배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따라서 옮기기 시 발을 11자로 배치하는 것보다 발을 90°로 배치하는 것이 체중이 한쪽으로 쏠리는 경향과 L4/L5 압박력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환자 옮기기 시 이를 적용하는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경추성 두통 환자의 근육 특성과 자세 및 근활성도의 융복합적 분석 (An Convergence Analysis of Muscle Characteristics, Muscle Activity and Posture in Patients with Cervicogenic Headache)

  • 윤종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265-271
    • /
    • 2021
  • 본 연구는 경추성 두통 환자의 진단 기준을 정립하고, 임상평가와 운동치료 시 효율적 방법 제공을 목적으로 경추성 두통환자들을 15명을 실험군으로 건강한 대상자 15명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그룹 간, 근육의 특성과 자세, 근활성도를 비교 분석하고, 실험군의 각 변수들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뒤통수밑근 경도와 위등세모근의 긴장도, 경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자세 변화 비교에서는 목 기울기 각도와 첫 번째 등뼈 경사각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목빗근의 근활성도 변화 비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실험군에서 근육의 특성, 자세, 목빗근의 근활성도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뒤통수밑근의 긴장도가 증가할수록 뒤통수밑근의 경도가 증가함을 나타내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p<.001), 위등세모근의 긴장도가 증가할수록 위등세모근의 경도도 증가하여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경추성 두통환자의 평가와 치료 시 본 연구의 결과를 참고한다면, 보다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를 발전시켜 더 많은 연구대상자들을 평가하고 차이를 비교하는 연구와 다양한 직업군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체간 안정화운동이 만성 요통환자의 근력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on the Isometric Muscle Power and Muscle Activation in Chronic Low Back Pain)

  • 김형수;형인혁;김은영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15-124
    • /
    • 2008
  • 본 연구는 만성 요통환자의 치료적 중재에서 체간 안정화 운동의 방법 중 매트 볼 운동군, 슬링 운동이 요통장애지수, 근력,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각 중재 군들은 6주 동안 주 5회,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일반적 중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요통장애지수는 중재 기간에 따라 매트 볼 운동군, 슬링 운동군에서 중재 기간이 증가됨에 따라 감소하여 통증과 장애정도가 효과적으로 감소하였다. 2. 근력은 매트 볼 운동군, 슬링 운동군은 모든 각도에서 중재 6주 후에 증가하여 효과적으로 증가하였다. 3. 근활성도는 복횡근은, 내복사글 복직근은 매트 볼 운동군, 슬링 운동군에서 근력이 증진됨에 따라 근활성도는 증가하였고, 외복사근은 매트 볼 운동군에서만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결과를 종합해 보면 요통환자의 치료적 중재에서 체간 안정화 운동은 각 기간 별로 요통장애지수, 근력과 각 근육의 근활성도에서 효율적 영향을 미치며, 보다 많은 적용을 통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

생약재의 식품부패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 도정룡;김기주;이명기;김병삼;임상동;조진호;김영명;김용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200.1-20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식품의 부패에 관여하는 미생물인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 Salmonella typhimurium Lactobacillus plantarum에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생약제의 효능을 살펴보았다. 금산 약초시장에서 구입한 생약재로부터 물 추출물과 70%에탄을 추출물을 제조하여 6종의 세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탐색한 결과, 생약재 물 추출물의 경우에 가자 추출물은 E. coli, P. aeruginosa B. subtilis, S. aureus, S. typhimurium, L. plantarum의 6가지 균종에 대해서 모두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복분자와 지유의 물추출물에서는 L. plantarum의 균종을 제외한 5가지 균종에 대해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소목 과 황련의 추출물에서는 E. coli를 제외한 5가지 균종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정향 추출물에서는 E. coli균주에 대해서는 약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나, B. subtilis, P. aeruginosa, S. aureus, S. typhimurium의 4종의 균주에 대해서는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외에 감초 추출물은 P. aeruginosa, 석곡 추출물은 S. aureus, S. typhimurium, 계피 추출물은 S. typhimurium, 산수유 추출물은 B. subtilis, S. aureus, 파고지는 S. aureus균종에 대해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70% ethanol 추출물은 대부분의 생약재에서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가자, 감초, 강황, 복분자, 석곡, 소목, 오미자, 작약 ,정향, 지유, 파고지, 호장근, 황련 의 13가지 생약재 추출물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가자의 70% ethanol추출물의 경우는 물 추출물의 결과에서 같이 6가지 균종에 대해 모두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복분자, 작약, 정향, 지유의 70% ethanol 추출물은 L. plantarum균을 제외한 5가지 균종에 대해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소목의 70% ethanol 추출물의 경우에는 E. coli 균을 제외한 5가지 균종에서 높은 항균 활성을 보였으며, 이외에 생약재는 강황, 석곡, 황련, 호장근의 70% ethanol 추출물은 4가지의 균주에 대해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파고지, 오미자의 70% ethanol 추출물은 3가지 균주에 대해서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천궁, 육두구, 오수유, 갈근, 계피, 가시오가피의 70% ethanol 추출물은 2가지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이 우수한 생약재를 농도별로 활성을 조사한 결과, 물 추출물과 10% Ethanol 추출물 모두 낮은 농도에서도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삼킴 장애가 있는 뇌졸중 노인 환자에서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과 Shaker 운동의 목뿔위 및 목빗근 활성 비교 (Comparison of Chin Tuck Against Resistance and Shaker Exercise on Suprahyoid and Sternocleidomastoid Muscle Activity in Stroke Older Patients with Dysphagia)

  • 김본이;이슬;문종훈;원영식
    • 재활복지
    • /
    • 제20권3호
    • /
    • pp.179-193
    • /
    • 2016
  •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과 shaker 운동은 목뿔위근의 강화를 사용되는 중재법이다. 이전의 연구들에서는 삼킴 장애가 있는 환자들 대상으로 두 운동을 비교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삼킴장애를 가진 뇌졸중 노인 환자에게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과 shaker 운동이 목뿔위근, 목빗근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0명의 삼킴 장애가 있는 뇌졸중 노인 환자가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가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등척성, 등속성), shaker 운동(등척성, 등속성)을 순서대로 수행하였으며, 10회 반복하였다. 저항성 고개 숙이기를 수행한 후, 대상자들은 근피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5분간 휴식을 하였다. 두 운동 동안 목뿔위근과 목빗근의 활성을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은 그룹 내 저항성 고개 숙이기와 shaker 운동에서 근활성에 대한 차이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과 shaker 운동은 목뿔위근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은 shaker 운동보다 목빗근에서 유의하게 낮은 활성을 보였다(p<.05). 삼킴 장애가 있는 뇌졸중 노인환자에게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이 shaker 운동보다 삼킴 기능 향상을 위한 더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여대생의 비만에 따른 보행패턴, 근활성도 및 균형지수의 비교 (Comparisons of Gait Pattern, Muscle Activity and Balance Index according to Obesity in Female College Student)

  • 김찬규;이병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259-266
    • /
    • 2015
  • 본 연구는 비만인의 보행과 관련된 근거자료를 제시하고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한 임상적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하였다. 신체 건강한 여대생 40명을 정상체중집단(20명), 비만집단(20명)으로 분류하여 보행패턴(smartstep), 균형지수(biodex balance SD), 근활성도(surface EMG)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정상체중집단에 비해 비만집단의 경우 체중으로 인한 압력과 부하를 이겨내고, 체중 증가로 인한 신체 불균형 상태에서 발목관절 움직임을 증가시켜 보행함으로써 발목 움직임에 작용하는 근육의 활성도가 더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비만인의 하지 근골격계 질환예방을 위해서는 하지 근육의 근력강화 및 지속적인 균형훈련과 보행 훈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양한 스쿼트 자세 수행 시 전신진동자극이 하지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scle Activation Change of Lower Limb According to Whole Body Vibration During Different Squat Exercises)

  • 서신배;강승록;유창호;민진영;권대규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33-4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스쿼트 자세를 수행할 때 전신진동자극이 하지의 근 활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피험자는 20대 여성 10명(나이 $21{\pm}1.3$년, 키 $160{\pm}2.1cm$, 무게 $52{\pm}4.6kg$)으로 구성되었다. 피험자들은 진동판 위에서 하이스쿼트(HS), 로우스쿼트(LS), 외다리 스쿼트(OS), 뒤꿈치 들고 하이 스쿼트(HU&HS)의 4가지 동작을 수행하였다. 근전도는 하지의 근육(대퇴직근, 외측광근, 중간광근, 내측광근)을 측정하였다. 진동자극은 10초 무자극, 10초 진동자극을 제공하였다. 그 결과 모든 운동 자세와 측정 부위에서 진동 자극을 제공하였을 때 근 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HS +24.8%, LS +23.1%, OS +20.1%, HU&HS +17.9%). 또한 OS 자세는 LS자세나 HU&HS자세보다 근 활성이 유의하게 높은 증가를 보였으며, LS자세는 HU&HS보다 유의하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 PDF

혈류제한 유산소운동 프로그램의 웰니스를 위한 효과검정 - 근활성도와 운동신경원을 중심으로 - (Effect for Wellness of Blood Flow Restriction Aerobic Exercise Program - Focusing on Mscle Ativity and Mtor Nurons -)

  • 정대근;강정일;장준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225-233
    • /
    • 2021
  • 본 연구는 정상인을 대상으로 건강을 위한 유산소 능력과 관계가 깊은 하지에 혈류제한 유산소 훈련을 시행함으로써 하지 근활성도와 운동신경원을 정량적으로 비교·분석하여 효과적인 혈류제한 운동프로그램의 효용성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압력 정도가 140 mmHg으로 혈류제한하여 트레드밀 위에서 유산소 운동을 적용한 집단 10명을 실험군I, 트레드밀 위에서 유산소 운동만 적용한 집단을 11명을 대조군으로 각각 무작위 배치한 후, 트레드밀에서 4주간, 주 3회, 1일 1회, 1회 30분간 중재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중재 전 표면근전도를 활용하여 근활성도와 운동신경원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실험군I의 집단 내 전후 비교에서 넙다리곧은근,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 및 장딴지근의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대조군의 집단 내 전후 비교에서는 넙다리곧은근,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 및 장딴지근의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집단 간 변화 비교에서는 넙다리곧은근의 활성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하지 혈류제한과 병행하여 유산소운동을 접목하는 것은 엘리트선수 육성과 관절이 약한 노인 등 재활 트레이닝에 기능적인 활동을 회복시킬 수 있는 부상방지 운동프로그램 등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연구에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정상인이 아닌 대상의 영역을 확대하고, 압력강도에 따른 다각적인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정상성인과 아동의 보이타의 가슴유발점 자극 시의 근활성도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Muscle Activity of Voita's Brust Zone Stimulation in Normal Adults and Kids)

  • 이준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237-242
    • /
    • 2019
  • 본 연구는 연구를 충분히 수행할 만한 근력과 관절 가동범위를 가진 건강한 정상성인 10명과 정상아동 10명을 대상으로 보이타의 반사적 뒤집기(reflex turning) 치료를 실시하여 정상성인과 아동에게 가슴유발점 적용 시 배곧은 근, 배속빗근, 배바깥빗근에 대한 근활성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정상성인과 아동에게 보이타의 가슴유발점 자극 시의 오른쪽과 왼쪽 배곧은근, 배속빗근, 배바깥빗근의 근활성도 비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본 연구는 앞으로의 연구들에 대해 초석을 다진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추후 관련 연구에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