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Muscle Activation Change of Lower Limb According to Whole Body Vibration During Different Squat Exercises

다양한 스쿼트 자세 수행 시 전신진동자극이 하지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서신배 (전북대학교 헬스케어공학과) ;
  • 강승록 (전북대학교 헬스케어공학과) ;
  • 유창호 (전북대학교 바이오메디컬공학부) ;
  • 민진영 ((주)소닉월드) ;
  • 권대규 (전북대학교 바이오메디컬공학부)
  • Received : 2014.02.15
  • Accepted : 2014.02.26
  • Published : 2014.02.28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leg muscle activities during whole body vibration (WBV) training with various squat position exercises. Subjects performed four different squat exercises on a vibration platform (VM-10, Sonicworld Co.) Ten healthy women volunteers (age $21{\pm}1.3years$, height $160{\pm}2.1cm$, weight $52{\pm}4.6kg$) were selected. EMG signals four leg muscles were taken and analyzed. The exercises were performed both with 10 seconds WBV and without 10 seconds WBV. Muscle activities during WBV were compared with non-vibration stimulus. In the result, EMG signals caused by WBV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compared with non-vibration stimulus in all leg muscles and squat exercises. The increase in muscle activity caused by Whole body vib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LS and OS compared with HU&HS.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스쿼트 자세를 수행할 때 전신진동자극이 하지의 근 활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피험자는 20대 여성 10명(나이 $21{\pm}1.3$년, 키 $160{\pm}2.1cm$, 무게 $52{\pm}4.6kg$)으로 구성되었다. 피험자들은 진동판 위에서 하이스쿼트(HS), 로우스쿼트(LS), 외다리 스쿼트(OS), 뒤꿈치 들고 하이 스쿼트(HU&HS)의 4가지 동작을 수행하였다. 근전도는 하지의 근육(대퇴직근, 외측광근, 중간광근, 내측광근)을 측정하였다. 진동자극은 10초 무자극, 10초 진동자극을 제공하였다. 그 결과 모든 운동 자세와 측정 부위에서 진동 자극을 제공하였을 때 근 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HS +24.8%, LS +23.1%, OS +20.1%, HU&HS +17.9%). 또한 OS 자세는 LS자세나 HU&HS자세보다 근 활성이 유의하게 높은 증가를 보였으며, LS자세는 HU&HS보다 유의하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