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육내 투여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2초

엉겅퀴 발효 추출물을 통한 남성 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 (Effect of Fermented Cirsium japonicum Extract on Testosterone Deficiency Syndrome)

  • 정병서;김성훈;김현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7호
    • /
    • pp.790-80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엉겅퀴 추출물(CE) 및 엉겅퀴 발효추출물(FCE)이 남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5주령 된 흰쥐에 추출물을 6주간 투여한 후, 간독성, 테스토스테론, SHBG, 정자수 및 정자 운동성, PSA, 복부지방, 근육량, 혈중지질, 운동수행능력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세포 실험을 통해 그 기작을 확인하였다. 천연 추출물에서 있을 수 있는 간독성을 측정하기 위해 간 손상의 지표인 AST와 ALT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E 및 FCE 투여 후 남성 갱년기에서 감소하는 테스토스테론의 혈중 농도가 증가하였고, 테스토스테론의 생체 내 활성을 저하시키는 SHBG의 농도는 반대로 감소하였다. 총 정자수와 정자 운동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CE 및 FCE 투여군에서 증가한 양상을 나타냈고, 이는 정자 형성과 활동성에 영향을 주는 테스토스테론 농도의 증가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전립선에 대한 부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PSA를 측정하였으나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지방조직과 근육에 대한 영향을 측정한 결과 지방조직량은 줄이고 근육량은 늘려 남성 갱년기에서 흔히 나타나는 체지방 증가 및 근육량 감소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남성 갱년기에서 흔히 동반되는 혈중지질대사 이상에 있어서도 CE 및 FCE 투여군이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은 감소시킨 반면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증가시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운동수행능력 측정 결과에서는 CE 및 FCE 투여군이 대조군보다 수영시간이 증가하였고, 이는 CE 및 FCE의 투여가 남성 갱년기에서 나타나는 활력의 저하를 회복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CE 및 FCE의 테스토스테론 증가기작을 알아보기 위해 세포실험을 통해 테스토스테론 생합성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 유전자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처리군에서 합성관련 효소는 모두 증가함을 나타내었고, 전환 관련 효소는 감소함을 나타내었으므로 엉겅퀴 추출물이 테스토스테론 합성을 직접 촉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E와 FCE를 비교해 봤을 때 전반적으로 FCE가 더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고, 이는 발효 과정을 통해 엉겅퀴 유효 성분의 증가에 따른 것으로 여겨진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CE 및 FCE가 남성 갱년기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좋은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4주간의 지구성 트레이닝과 thiamine 섭취가 골격근 내 PDH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iamine and endurance training of 4weeks for PDH activity in skeletal muscle)

  • 황혜정;김지수;장지웅;임기원;정승삼;최성근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3호
    • /
    • pp.649-658
    • /
    • 2016
  • 본 연구는 지구성 트레이닝과 thiamine(thiamine tetrahydrofurfuryl disulfide: TTFD)의 투여가 골격근 내 글리코겐과 PDH(Pyruvate dehydrogenase), 그리고 PDH 활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단백질인 PDK4(Pyruvate dehydrogenase kinase 4)와 PDP1(PDH phosphatase 1)의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6주령의 ICR 마우스를 대상으로 비운동집단(Sedentary; CON, TH), 운동집단(Exercise; EX, THEX)으로 나누어 4주간의 지구성 트레이닝과 체중 kg 당 50 mg의 thiamine을 경구투여 하였다. 4주간의 지구성 트레이닝은 간과 근육 내 glycogen의 저장량에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지만 thiamine 투여에 따르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골격근 내 PDH와 PDH 조절에 관련한 PDK4, PDP1의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4주간의 지구성 트레이닝에 따르는 효과는 관찰되었지만, thiamine 투여에 집단간 유의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장기간 지구성 트레이닝에 따른 골격근의 적응으로 인하여 thiamine 투여에 따른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지구성 트레이닝의 기간을 고려한 thiamine의 섭취 타이밍 그리고 탄수화물의 복합투여에 따른 PDH와 관련 단백질의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mprolium hydrochloride가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약물대사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mprolium hydrochloride on expression of drug metabolizing enzyme genes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박상협;김창환;도정완;최혜승;김이경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37-34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넙치의 해독 과정에서 amprolium hydrochloride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전 연구에서 보고된 amprolium의 LD50 값을 이용하여 두 가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는 30마리의 넙치를 5개의 대조군 및 실험군으로 나누었고 4, 8, 16, 32 mg/kg 용량의 amprolium을 근육 내 주사 투여하였다. 주사 후 8, 24, 48 시간에 간과 신장을 적출하여 약물 대사 효소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32 mg/kg 용량의 실험군에서 IL-1β mRNA의 높은 발현을 확인하였고, CYP1A는 이와 반대의 결과를 보였으며, 간에서 UGT와 GST mRNA의 발현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신장에서 amprolium 주사 투여 후 약물 대사 효소와 사이토카인 유전자의 억제가 관찰되었다. 또 다른 실험에서는 4, 8, 16, 32 mg/kg과 60, 80, 100, 120 mg/kg의 용량을 설정하여 근육 내 주사 투여하였다. 주사를 완료하고 6일 후 간을 적출하여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IL-1β의 발현은 4 mg/kg 용량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매우 높은 발현을 보였다. GST의 mRNA 발현 또한 4 mg/kg 용량 실험군에서 높은 발현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우리의 결과는 amprolium이 가축 산업의 가장 안전한 합성 항콕시듐 약물 중 하나로 간주되지만 넙치의 간접 또는 직접적인 물리적 또는 생물학적 독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고지방식이가 쥐의 Type-I 근육손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fat Diet on Type-I Muscle Loss in Rats)

  • 백경완;차희재;박정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1509-1515
    • /
    • 2013
  • '지질독성'이라는 용어는 근육과 같은 지방세포가 아닌 조직에서 여분의 지질 축적이 어떻게 세포의 기능저하와 괴사를 유도하는지를 설명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고지방을 투여한 근세포 배양에서 지질독성이 확인된 바는 있지만, 생체 내 시험에서, 특히 지질독성에 의해 대사적으로 영향을 받는 Type-I 근육에서 이러한 결과가 확인된 바는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고지방식이가 쥐의 Type-I 근육의 형태학적 변화와 세포사멸 단백질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6주간 고지방식이와 일반식이를 섭취한 쥐의 Type-I 근육 내 지질축적, 염증반응, 핵 침윤현상, cleaved PARP 단백질 발현을 각각 Oil Red O staining, H & E staining, Western blot 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6주 후 고지방식이 집단에서 지질축적, 염증반응, 핵 침윤현상, cleaved PARP 단백질 발현이 일반식이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Type-I 근육량은 일반식이 집단에 비해서 고지방식이 집단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고지방 식이가 지질독성에 의해 Type-I 근육의 세포괴사를 유도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고지방 섭취가 직접적으로 근 감소증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DNA 검정우에서 FSH 호로몬 투여가 난포란의 채란율에 미치는 영향

  • 진종인;이명열;박준규;이지삼;정장용;박희성
    • 한국수정란이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2년도 국제심포지엄
    • /
    • pp.87-87
    • /
    • 2002
  • 초음파기기를 이용한 난포란의 채란 기술은 유전적으로 우수한 수정란의 다량확보가 가능함으로써 가축개량에 널리 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초음파유도 난포란의 채란은 무엇보다도 회수율과 회수한 난포란의 질적 등급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등지방층두께, 일당증체량, 근내지방도 및 배최장근 단면적에 연관된 DNA marker가 검정된 한우로부터 FSH(FOLLTROPIN-V, Vetrepharm, Canada)를 투여하여 FSH 투여전.후의 포의 발달율과 등급별 회수율을 조사하였다. 공시동물의 발정주기에 관계없이 매주 무처리와 채란 12시간 전에 FSH를 각각 l00mg 과 200mg을 근육 주사하여 난포란의 채취를 유토하였다. 난소내 난포란의 채란은 SONOACE-600형 (Medison CO., 한국) 초음파기기를 사용하여 모니터 상에 검게 나타나는 난포를 17-gauge needle (Cook, Australia) 로써 70mmHg로 유지된 regulated vacuum pump를 이용하여 모두 채란하였으며, 소난포는 손가락 촉지를 이용하여 채란하였다. 난포의 크기는(large : $\geq$6mm, medium : 2-6mm, small $\leq$2mm) 무처리구에서 small(56.6%), medium(33.0%), large follicles(10.4%)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난포수는 106(8.2$\pm$3.6개) 였다. FSH 200mg 투여구에서는 medium(47.5%), small(32.5%), large follicles(20.0%)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난포수는 40(10.0$\pm$2.2개) 였다. FSH l00mg 투여구에서는 medium(45.6%), small(43.5%), large follicles (10.9%)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난포는 92(7.7$\pm$2.5개) 였다. FSH 투여전 초음파 image 상으로 관찰한 난포수와 FSH 투여 후 초음파기기와 손가락 촉지를 이용하여 난포의 발달 및 난포란의 채란율은 200mg 투여 구에서는 투여 전에 4.3$\pm$0.6개였으나 투여 후에는 9.3$\pm$2.1개로 증가하였으며, 채란율은 75.0% 였다. l00mg 투여구에서도 투여 전후에 각각 5.3$\pm$1.2개 및 8.2$\pm$2.3개였으며, 채란율은 81.6%였다. 난포란의 채란율은 무처리구에서 88.7%(7.2$\pm$3.9개)로 나타났으며, 회수한 난포란의 등급은 각각 0.0%(GI), 5.3%(GII), 28.T%(GIII), 66.0%(GIV)로 나타났다. FSH 200mg 투여구의 채란율은 87.5%(8.8$\pm$2.6개)로 나타났으며, 등급별회수율은 GI(2.8%), GII(8.6%), GIII(34.3%), GIV(54.3%)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FSH 100mg 투여구에서도 회수율은 89.1%(6.8$\pm$5.2개)였으며, 등급별 회수율은 각각 GI(8.5%), GII(13.4%), GIII(43.9%), GIV(34.2%)로 나타났다.

  • PDF

90% 췌장 절제 백서에서 둥굴레뿌리의 물추출물이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ater Extract of Polygonatum Odoratum (Mill) Druce on Insulin Resistance in 90% Pancreatectomized Rats)

  • 박선민;안승희;최미경;최수란;최수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619-625
    • /
    • 2001
  • 현재까지 인슐린의 작용력을 향상시키는 약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은 thiazolidinediones이 있고 그외에도 몇가지 종류의 물질에 대해서 그 효과를 조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한약재로부터 추출한 POD의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체중이 $338{\pm}35\;$ 인 Sprague Dawley 백서를 두군으로 나누어 한군은 sham 수술을 하여 정상군으로, 다른 한군은 90% 췌장 적제술을 하여 당뇨군(Px)으로 정하였다. Px 백서는 90% 췌장제거 수술을 한 후 2 주동안 혈당을 측정하여 공복 혈당이 9.4 mmol/L이상인 백서를 선택하였다. Sham 백서와 당뇨 백서는 다시 각각 2군으로 나누어 한군은(n=10) 하루에 POD을 0.3 g/kg 체중의 용량으로 식이에 섞어 공급하였고, 다른 한군은(n=10) 위약(P)을 8 주 동안 투여하였다. 식이는 40%지방 식이를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7 주 째 되었을 때 인슐린 저항성을 측정하기 위해 경동맥과 경정맥에 도관을 삽입하였고, 8주째에 $15{\sim}18$시간 금식후 EH clamp 실험을 실시하였다. POD와 P를 투여하기 전에 Px 백서의 혈당은 $9.9{\pm}0.6\;mmol/L$이었고, 정상군의 혈당은 $6.4{\pm}0.5\;mmol/L$이었다. EH clamp를 할 때 체중은 Px 백서에 비해 Sham백서에서 높았으며, 혈당은 POD 투여와 당뇨에 의한 차이가 있었다. Px 백서가 Sham 백서에 비해 기초 인슐린 농도가 낮았고, Sham 백서에서는 POD군이 P군에 비해 낮았다. 체내 포도당 제거 속도는 Sham+POD군이 $53.9{\pm}7.7$, Sham+P군이 $38.7{\pm}13.6$, Px+POD군이 $36.0{\pm}10.6$, Px+P군이 $29.2{\pm}6.8\;mg/kg$ 체중/min이었다. 체내 포도당 제거속도는 POD군이 P군에 비해 높았고, Px군이 Sham군에 비해 낮았다(P<0.01). Soleus 근육의 글리코겐 양은 POD군에서 P군에 비해 높았다. Px 백서에서는 soleus과 quadriceps 근육의 글리코겐 양은 정상군에 비해 낮았다. Soleus근육의 glycogen synthase의 활성은 P군에 비해 POD군에서 높았고(P<0.05), Px 백서가 Sham 백서에 비해 낮았다(P<0.05). Px 백서의 quadriceps 근육내 중성지방 축적량이 Sham 백서에 비해 높았는데, P에 비해 POD를 공급하였을 때 중성지방의 축적양이 낮아졌다. 결론적으로 POD은 당뇨와 정상 백서에서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인슐린 저항성의 감소 현상은 근육에서의 glycogen synthase 활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가축 및 실험동물의 비충류 감염에 대한 프라지관열($Cesocide^{\circledR}$ 주) 주사제의 치료효과 (Efficacy of Praziquantel ($Cesocide^{\circledR}$ injection) in Treatment of Cestode In(ections in Do%erotic and Laboratory Animals)

  • 엄기선;김승호;임한종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2호
    • /
    • pp.121-126
    • /
    • 1988
  • 프라지관텔 주사제의 조충류 피료 효과를 평가하였다. 개, 고양이, 산양, 사슴, 닭, 쥐 및 마우스 등 총 93마리 동물의 장관내에 기성하는 조충류 dipylidium caninum, Taenia pisiformis, Spirometra sp., Taenia taeniaeformis, Moniekia expanse, Moniexia sp., Raillietina sP. 및 인ymenolepis nana에 체중 kg당 프라지콴텔 12 mg, 9 mg, 6 mg, 3 mg, 1.5 mg을 대퇴부에 근육주사한 후 치료효과를 판정하였다. H. nana에 감염된 마우스는 6mg/kg 투여 후 3시 간부터 6시 간 사이에 충체를 배출하였다. 다른 조충류도 약제투여 48시 간 이내에 모두 체외로 배출되었다. H. nana 및 M. expansa를 제외한 모든 충체는 체외 배출시 심하게 손상되어 있었으며, D.cnninum의 충란낭은 붕괴되어 충란이 분리되었다. 조충의 종류와 감염강도 등에 따른 숙주 체중 kg당 투여 용량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Spirometra sp.에 감염되었던 한 마리의 개를 제외하고는 프락지관텔 6 mg/kg 1회 용량으로 완치되어 97.9% (46/47)의 치유율을 보임으로써 우수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천궁(Cnidii Rhizoma)의 메탄올 추출물이 GABA 및 Glycine 수용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THANOL EXTRACT OF CNIDII RHIZOMA ON THE FUNCTION OF RECEPTORS FOR GABA AND GLYCINE)

  • 이종태;이긍호;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5-66
    • /
    • 2005
  • 천궁의 메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진정 작용을 밝히기 위하여 staircase test를 시행하였으며, 근육이완 효과를 검색하기 위하여 rotarod test를 시행하였다. 진정 작용의 기전 구명을 위하여 GABA 및 glycine 수용체에 작용하는 약물인 picrotoxin, yohimbine, isoniazid, strychnine 등의 약물을 이용하여 발작 유도에 걸리는 시간을 비교 관찰하였다. 또한 생체에서의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Irwin의 행동시험 및 신경세포에 대한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MTT test를 실시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Staircase 실험에서 천궁 추출물을 10mg/kg 용량으로 경구 투여했을 때 climbing수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rearing수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42%의 감소를 보였다. 2. 30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했을 때, climbing수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rearing수에서는 51%의 감소를 유발하였다. 3. 근육이완 작용을 탐색하기 위한 rotarod 실험에서는 대조군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4. 천궁 추출물의 투여는 picrotoxin, isoniazid, yohimbine에 의한 발작에서는 큰 변화를 유발하지 않았으나, strychnine에 의한 발작 유도시간은 41%의 증가를 유발하였다. 5. 일반 행동에서도 특이한 변화를 유발하지 않았으며, 신경세포에 적용했을 때 특이한 독성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천궁의 메탄을 수용액 추출물은 현저한 진정 작용을 유발하며, 그 작용 기전으로서 glycine의 작용을 증가시켜 chloride ion의 세포내 유입으로 인한 억제성 신경전도를 유도한다고 사료된다. 또한 근육이완 작용도 나타나지 않았으며, 특이한 생체독성도 유발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향후 치과임상에서 진정요법의 한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 PDF

Oxytetracycline과 neomycin 복합제의 약욕에 따른 양식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근육내 잔류량 변화 (Muscle distribution level after dipping administration of a combination of oxytetracycline and neomycin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승민;전려진;정준범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7-4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넙치 (평균체장 및 무게: $20{\pm}2.0cm$, $70{\pm}5.0g$)에 옥시테트라사이클린(oxytetracycline, OTC)-네오마이신(neomycin, N) 복합제를 25-10 ppm 및 50-20 ppm으로 용해하여 2일 동안, 3시간씩 약욕을 실시하였고, 약물투여 중지 후 1일, 5일, 14일, 40일째에 시험군별로 각각 5마리씩 넙치의 근육을 채취하여 항생제 잔류농도를 조사하였다. OTC와 N 표준용액을 농도별로 희석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한 결과 각각 $R^2=0.9999$, $R^2=0.9952$로 양호한 직선성을 나타내었고, OTC와 N 회수율은 각각 90~93%, 88~95%가 관찰되었다. 잔류농도에 대한 측정결과, OTC와 N 복합제를 25-10 ppm 투여한 시험군에서 1일째 OTC는 $0.97{\pm}0.084{\mu}g/ml$이 검출되었고, N은 $0.118{\pm}0.079{\mu}g/ml$이 검출되었으나 5일째 이후부터 검출이 되지 않았다. OTC와 N 복합제를 50-20 ppm 투여한 시험군에서 1일째 OTC는 $1.324{\pm}0.062{\mu}g/ml$이 검출되었고 N은 $0.788{\pm}0.05{\mu}g/ml$이 검출되었으나 5일째 이후부터 검출이 되지 않았다.

투석하지 않는 만성신질환 환자에서 cilostazol 투여 중에 발생한 복벽의 자발성 근육내 혈종 (Spontaneous abdominal intramuscular hematoma in a non-dialysis chronic kidney disease patient under cilostazol therapy)

  • 강성희;유형민;나하영;고영경;권세웅;임채호;김선웅;조영일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1권2호
    • /
    • pp.139-143
    • /
    • 2014
  • Spontaneous intramuscular hematoma of the abdominal wall is a rare condition characterized by acute abdominal pain. It is often misdiagnosed as a surgical condition. It used to be associated with risk factors such as coughing, pregnancy, and anticoagulant therapy. Most cases of abdominal wall hematomas were rectus sheath hematomas caused by the rupture of either the superior or inferior epigastric artery, but spontaneous internal oblique hematoma was extremely rare. In this report, we present a case of spontaneous internal oblique hematoma in a 69-year-old man with non-dialysis chronic kidney disease who was taking cilostazol. The patient complained of abrupt abdominal pain with a painful palpable lateral abdominal mass while sleeping. The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showed an 8 cm-sized mass in the patient's left internal oblique muscle. The administration of cilostazol was immediately stopped, and the intramuscular hematoma of the lateral oblique muscle disappeared with conservative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