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경

검색결과 289건 처리시간 0.031초

작약 비가림재배에 따른 병 발생 억제효과 및 생육 특성 (Effect of the Rain Shelter Cultivation on Disease Occurrence Inhibition and Growth in Peony(Paeonia lactiflora Pallas L.))

  • 김세종;박준홍;김정혜;박소득;최부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50-155
    • /
    • 2001
  • 작약 비가림 재배시 생육 특성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비가림 재배시 노지 재배에 비해 맹아기와 개화기가 각각 9일, 15일빨랐으며 경장, 경수 등도 더 크거나 많았다. 병발생은 녹병, 탄저병, 횐가루병, 뿌리썩음병은 비가림 재배가 노지 재배에 비해 현저히 감소 되었으나 점무늬병은 비슷하였다. 근장, 근수, 근경은 비가림 재배가 노지 재배에 비해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뿌리 수량도 비가림 재배가 10a당 2,395kg으로서 노지 재배의 2,201kg, 1,892kg에 비해 27%, 9% 증수 되었다. 품질면에서 뿌리 색도는 비가림 재배가 노지 재배에 비해 더 양호하였으며 상품 수량도 향상되었다.

  • PDF

제 3 대구치의 치근단 농양으로 인한 측두하악장애 (Temporomandibular Disorder Caused by Periapical Abscess of Third Molar)

  • 조은애;권정승;안형준;김성택;최종훈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2호
    • /
    • pp.143-147
    • /
    • 2013
  • 측두하악장애 중 개구제한은 일반적으로 저작근, 측두하악관절의 통증,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 측두하악관절의 유착이나 강직, 저작근의 근경축 등에 의해 발생한다. 하지만 이비인후과적인 질환, 신경 및 혈관질환, 종양, 염증, 감염 등에 의해 측두하악장애와 유사한 통증 및 개구제한이 유발 될 수 있다. 따라서 병력 조사 및 임상 검사 시 이러한 이차적 질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특히 초진 시 전형적인 측두하악장애의 소견을 보인다고 할지라도 적절한 치료 및 환자의 자기 관리에도 불구하고 증상의 호전이 없거나 지속적인 악화 소견을 보이는 경우에는 염증, 감염, 종양 등의 가능성에 관한 포괄적인 재평가가 필수적이다. 본 증례에서는 제 3 대구치의 치근단 농양이 익돌하악간극(pterygomandibular space)으로 확산되어 발생한 내익돌근(medial pterygoid muscle)의 통증 및 개구제한에 관하여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시비양(施肥量)에 따른 택사(澤瀉)의 수양(收量) 및 Alisoi-B monoacetate 함양(含量) 변화(變化) (Effect of Fertilizer Levels on Yield and Alisol-B monoacetate Content of Alisma plantago-aquatica var. orientale Samuelsson)

  • 김정곤;류길림;황인목;맹봉길;윤경하;이상갑;강상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40-344
    • /
    • 1996
  • 고품질(高品質) 택사(澤瀉)의 다수확(多收穫)을 위하여 시비양(施肥量)에 따른 택사(澤瀉)의 생육(生育) 및 유효성분(有效成分)인 alisol-B monoacetate의 함양변북(含量變北)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시비양(施肥量)의 증가(增加)는 지상부(地上部)의 생육증진(生育增進)에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수양(收量)은 20-10-20 구(區)에서 가장 높은 287kg/10a 정도로 관행(慣行) 시비구(施肥區)보다 약 25% 증수(增收)되어 가장 높았으나30-15-30 구(區)는 20% 증수(增收) 되었다. 시비양(施肥量)에 따른 식물체중(中) 질소(窒素)와 린산(燐酸)함량은 증비(增肥) 할수록 줄기보다 잎의 함량이 높았으나 기타 무기성분(無機成分)은 대차없었다. 유효성분(有效成分)인 근경(根莖)내의 alisol-B monoacetate의 함양(含量)은 증비(增肥)할수록 함량이 증가되는 경향으로 30-5-30 시비구(施肥區)에서 4737.6ppm 으로 관행시비구(慣行施肥區)보다 66% 증가(增加)되었다.

  • PDF

하지 근경련에 대한 기존 양방적 치료와 보완대체요법: 문헌조사 (Conventional Western Medicine an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on Leg Cramps: A Literature Review)

  • 권찬영;이보람;조재흥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3-29
    • /
    • 2017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review is to investigate the use of conventional Western medicine (WM) an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on leg cramps. Leg cramps are the occurrence of muscular spasm in the leg muscles which occur frequently in the elderly and are frequently observed in the clinical field. Methods: Relevant clinical studies were searched from five medical databases including PubMed, KISS, RISS, OASIS, and J-STAGE. Systematic review, clinical studies, an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Results: In total, 27 clinical studies, 9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nd 1 clinical practice guideline met the inclusion criteria. Included studie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type of intervention. Studies on quinine and magnesium have been most studied in WM and CAM, respectively. Although quinine shows some clinical effects on leg cramps, however, the risk of side effects are suggested. In addition, magnesium failed to improve the clin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most studies. Five case reports using Oriental herbal medicine (OHM) were included and OHM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leg cramps without side effects, however, the quality of evidence was low. Clinical studies on other interventions were lacking.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is no definite treatment standard for leg cramps until now, and there are limitations such as low level of evidence and side effects for each treatment. OHM can be an effective alternative to conventional intervention on leg cramps, therefore, related clinical studies are needed.

유기질비료 시용이 무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s of Organic Fertilizers on the Growth and Yield of Radish (Raphanus sativus L.))

  • 김철호;윤화모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29-36
    • /
    • 1992
  • 유기질비료 시용이 봄 및 가을 작형에서 무 품종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실험을 실시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무의 엽장, 엽중, 근장, 근경, 근중등 생육은 봄, 가을작형 모두에서 3요소, 발효계분 + 1/5 량NK추비, 발효계분, 계분, 무처리구 순으로 촉진하는 경향이었으며, 엽의 chlorophyll 함량과 질소함량도 생육에서와 같은 처리순으로 증가하였다.2) 봄 및 가을작형의 수량에 있어 발효계분 450kg 처리구는 3요소구에 비해 저하되는 경향이었으나 전국평균 수량을 상회하였다.3) 발효계분처리로 4회연속재배한 경우보다 1회재배한 경우보다 3요소처리구와의 무 생육차가 감소하였다.4) 무 재배후 토양의 질소 및 마그네슘함량은 처리간 비슷한 경향이었으며 pH, 유기물함량과 인산 및 칼슘함량은 3요소구에 비해 발효계분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 PDF

어깨 충돌 증후군을 가진 중년 여성에게 모션테이핑이 근경직도 및 근긴장도와 통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tion Taping on Muscle Tone, Muscle Stiffness, and Pain in Middle-Aged Women with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 이영훈;이재범
    • PNF and Movement
    • /
    • 제17권3호
    • /
    • pp.431-439
    • /
    • 2019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otion taping on muscle stiffness, muscle tone, and pain in middle-aged women with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Methods: The participants comprised 30 middle-aged women with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This study measured muscle stiffness, muscle tone, and pain.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tape was attached after physical therapy; the control group only received physical therapy. In the intervention period, the treatment program was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for a total of four weeks, and the valu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a correspondence test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t a significance level of 0.05, and the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as made using an independent test. Resul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a difference in muscle stiffness, muscle tone, and intensity of pain.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s emotional domain regarding muscular stiffness and pain and the experimenta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tone and grade of pain, and intensity of pain for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when physical therapy and motion taping were administered to middle-aged women with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it had a more positive affect on the sensory and emotional parts of the muscle tone and pain compared to physical therapy alone.

제주고사리삼(Mankyua chejuense B.-Y. Sun, M.H. Kim & C.H. Kim)의 생장 형태 및 식물계절학적 특성 (Growth Pattern and Phenology of Mankyua chejuense B.Y. Sun, M.H. Kim & C.H. Kim)

  • 현화자;문명옥;최형순;김찬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5-101
    • /
    • 2014
  • 본 연구는 고사리삼과에 속하는 제주고사리삼 잎의 생장 패턴 및 식물계절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제주고사리삼은 지하경을 이용하여 무성번식 하는 종으로서 한 클론의 길이는 52 cm까지 자랐으며, 뿌리가 생장하는 동안 새로운 근경과 잎이 형성되었다. 제주고사리삼 잎은 7월에 출현하기 시작하였으며, 생장은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은 7월 ~ 9월 동안에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잎은 10월까지 생장을 마치고 이후 성숙된 포자낭에서 포자가 방출되기 시작하였으며, 11월부터 잎의 노화가 시작되어 이듬해 2월이 되면 대부분의 포자엽과 영양엽이 노화되고 4월 이후에는 잎 전체가 시들어 없어졌다. 이와 같이 제주고사리삼 잎의 생육기간은 7월에서부터 이듬해 4월까지 10개월이었으며, 노화의 시기는 자생지 마다 다소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자생지의 미세 환경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황(地黃)(Rehmannia glutinosa) 근경중(根莖中)의 무기성분(無機成分)과 Catalpol 및 당함량(糖含量)과의 관계(關係) (Relationships between the Inorganic Constituents Contents and the Catalpol and Sugar Contents in the Rhizoma of Rehmannia glutinosa)

  • 박병윤;장상문;최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3호
    • /
    • pp.249-254
    • /
    • 1989
  • 지황(地黃)의 주(主) 약효성분(藥?成分) catalpol함량(含量)에 대한 무기성분(無機成分) 및 당류(糖類)들의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이들의 성분(成分)들의 상호관계(相互關係)를 조사(調査)하였다. 지황(地黃)의 질소함량(窒素含量)은 catalpol 및 에탄올엑기스함량(含量)과 정(正)의 상관(相關)을, 회분(灰分), galactose 및 fructose함량(含量)과는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지황(地黃)의 Ca함량(含量)는 catalpol, 에탄올엑기스 및 수제(水製)엑기스함량(含量)과 고도(高度)의 부(負)의 상관(相關)을 회분(灰分), 산불용성회분(酸溶不性灰分), fructose 및 galactose함량(含量)과는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Catalpol 함량(含量)은 에탄올엑기스 및 수제(水製)엑기스함량(含量)과는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을, 회분(灰分) galactose 및 fructose 함량(含量)과는 부(負)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다. 지황(地黃)의 에탄올엑기스 및 수제(水製)엑기스함량(含量)은 회분함량(灰分含量)과 고도(高度)의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 PDF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스트레칭이 근경직도 및 집중력과 시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ong-Term Smartphone Usage Time and of Stretching on Stiffness, Concentration, and Visual Acuity)

  • 고민균;송창호;유진호
    • PNF and Movement
    • /
    • 제17권1호
    • /
    • pp.57-68
    • /
    • 2019
  • Purpose: This study is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long-term smart phone usage and of stretching on muscle stiffness, concentration, and visual acuity. Methods: Forty healthy young adult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were measured for muscle stiffness, concentration, and visual acuity before smartphone usage and after 30 minutes, 60 minutes, and 90 minutes of smartphone usage.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e intervention group (n=20) and the control group (n=20). Five minutes after the stretching exercise and eye exercise intervention, the participants were remeasured. Results: After long-term smartphone usage, increases in muscle stiffness and concentr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whereas decreases in visual acu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After the stretching exercise and eye exercise intervention, muscle stiffnes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and visual acuity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stretching exercise and eye exercise intervention, showed no significant pre- or post-test difference.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long-term smartphone usage effectively improved concentration but increased muscle stiffness and decreased visual acuity. Appropriate stretching and eye movement during long-term smartphones usage should mitigate the effects on muscle stiffness and visual acuity. Furthermore, smartphones should be considered an effective tool for concentration training when coupled with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applications.

광한루 편액시에 나타난 경관요소 분석 (Analysis of the Landscape Elements in the Poems on the Tablets of Kwanghanru)

  • 안득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98-206
    • /
    • 2011
  • 광한루 편액에 기록된 누정제영시는 작가의 경관관과 주변 경관에 대한 지각의 내용을 담고 있다. 본 연구는 편액시를 조선시대 문인들의 등루시, 1930년대의 백일장시/청탁시로 구분하여 시에 등장하는 경관구성요소들을 구성요소의 특성, 감각기관, 시간축 및 공간축 등 4가지 측면의 분석 틀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경관요소를 분석하면 상징적 요소보다 물리적 요소의 빈도가 매우 높았으며, 물리적 요소 중에서는 자연적 요소의 출현빈도가 인공적 요소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개개의 시에 출현하는 경관요소는 조선시대 문인들의 등루시보다 백일장시/청탁시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시에 나타난 경관요소를 지각감각 측면에서 분석하면 시각적 요소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청각, 후각적 요소도 일부 나타난다. 시간축으로 분석하면 계절적 측면에서는 가을의 표현이 많았으며, 시간대는 저녁과 밤 시간대 표현이 많았다. 공간축에서는 근경요소가 원경, 중경 요소보다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