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광한루 편액시에 나타난 경관요소 분석

Analysis of the Landscape Elements in the Poems on the Tablets of Kwanghanru

  • Ahn, Deug-So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1.11.14
  • 심사 : 2011.12.27
  • 발행 : 2011.12.31

초록

광한루 편액에 기록된 누정제영시는 작가의 경관관과 주변 경관에 대한 지각의 내용을 담고 있다. 본 연구는 편액시를 조선시대 문인들의 등루시, 1930년대의 백일장시/청탁시로 구분하여 시에 등장하는 경관구성요소들을 구성요소의 특성, 감각기관, 시간축 및 공간축 등 4가지 측면의 분석 틀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경관요소를 분석하면 상징적 요소보다 물리적 요소의 빈도가 매우 높았으며, 물리적 요소 중에서는 자연적 요소의 출현빈도가 인공적 요소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개개의 시에 출현하는 경관요소는 조선시대 문인들의 등루시보다 백일장시/청탁시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시에 나타난 경관요소를 지각감각 측면에서 분석하면 시각적 요소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청각, 후각적 요소도 일부 나타난다. 시간축으로 분석하면 계절적 측면에서는 가을의 표현이 많았으며, 시간대는 저녁과 밤 시간대 표현이 많았다. 공간축에서는 근경요소가 원경, 중경 요소보다 높았다.

Poems written on the tablets hanging in Kwanghanru(a pavilion in Namwon, Jeollabuk-do) reveal each author's view of landscape and their recognition of the pavilion and it surroundings. This study consists of the following four analysis frames of the characteristics, sensations, and temporal and spatial axes of the landscape elements grouping tablet poems into two categories of deunglusi of Joseon's literary men, and baegiljangsi and cheongtaksi of the 1930s. The result of the landscape element analysis shows that physical elements are shown more frequently than symbolic ones. Among the physical ones, natural elements are used more often than artificial ones. The landscape elements appearing in each individual poem of baegiljangsi and cheongtaksi are relatively more than those of deunglusi. When the landscape elements are analyzed by sensational aspect, most of them are visual in nature, and there also appear some that are aural or olfactory in nature. Analyzed from a temporal axis, expressions related to autumn and evening and night are used frequently. From the spatial axis, foreground elements are preferred to middleground or background ones.

키워드

참고문헌

  1. 경인문화사 편집부(1995). 용성지. 서울: 경인문화사. pp. 251-452.
  2. 김용기, 이민정, 사공영보(1999). 시문분석을 통한 광주시 정자의 선호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7(1): 29-45.
  3. 김현, 김용기(1993). 소쇄원 목판본가 김인후의 소쇄원사십팔영 시문분석을 통한 별서 소쇄원의 경관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1(3): 11-19.
  4. 남원시(1999). 광한루예찬시선. pp. 25-314.
  5. 문영숙, 김용기(2002). 면앙집 분석을 통한 면앙정 경관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20(2): 1-10.
  6. 문화재청(2000). 광한루 실측조사보고서. pp. 55-83.
  7. 심우경, 박주성, 정용조(2010). 광한루원에 내재된 상상환경요소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1): 38-48.
  8. 이상희(2004).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2. 서울: 넥서스. pp. 398-399.
  9. 이원호, 김용기, 사공영보, 최종희(2003). 한시 용사에 나타난 조선시대 누정 경영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1(4): 27-38.
  10. 이은창(1984). 조선시대의 관아원림 연구: 영호남지방의 관아원림유적을 중심으로. 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 효대논문집. 29(1): 185-256.
  11. 이정화(2007). 도은 이숭인의 누정시(樓亭詩)연구. 한국사상문화학회. 한국사상과 문화. 36: 53-75.
  12. 이창룡(2006). 누각과 정자에서 읊은 남도의 시정. 서울: 푸른사상. pp. 3-8.
  13. 이현우, 김재식(2010). 누정편액(樓亭扁額)에 반영된 자연인식과 서정: 16세기 담양 시가문화권의 누정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3): 1-13.
  14. 정동오(1996). 춘향전을 중심으로 한 춘향의 집 주변 경관과 후원에 관한 고찰. 호남문화연구. 24: 49-70.
  15. 정훈(2008). 남원 광한루의 누정제영시 연구. 한국언어문학. 67: 319-342.
  16. Correy, A. (1983). Visual Percetion and Scenic Assessment in Australia. IFLA Yearbook. pp. 181-189.
  17. Litton, R. Burton(1968). Forest Landscape Description and Inventories. Pacific Southwest Forest and Range Experiment Station, U. S. Dept. of Agriculture, Berkeley. pp. 2-45.